레이블이 학이시습 | 트랜스미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학이시습 | 트랜스미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6월 6일 수요일

트랜스미러: writing style// unclear turns of synonyms or change of terms


Almost every author employs various synonyms not to repeat the same word. But, what if those synonyms to carry the same meaning are used for a relatively specific concept or notion? In that case, can those different words successfully convey the same meaning to readers?

This too is an exercise in assessing, understanding, or finding some point in writings. Below is an example:

(1)
[J]ust as the existence of a price system doesn't guarantee a good outcome ( ... ), the absence of prices doesn't necessarily guarantee an inefficient one. There are lots of “market-like” ways of getting people ( ... ) to express their preferences and to use these wants and desires as inputs into deciding who gets what. Market prices are just one of them ( ... ). But how do these preferences get translated into allocations, if not through the wisdom of central planners, or the magic of the market?
(2)
The field of market design is, in a sense, the blue-sky-thinking branch of economics. ( ... ) It gets economists away from thinking inside the box, and a very small one at that. Think about it like this. Suppose you want to help people commute safely and efficiently across the East River, from Brooklyn to Manhattan. Traditional economics is the equivalent of assuming that the only two ways of doing so are bridges or ferry. Mechanism design imagines the broad set of possibilities─zip line, catapult, people mover─then figures out which will work best.
(3)
It
's what, in technical terms, is called constrained optimization ( ... ). Mechanism designers consider the restrictions imposed by laws, human nature, our sense of right and wrong, and the strategizing that kidney patients, school applicants, and others may engage in to get a better organ or education. And they design a mechanism to best to fulfill society's needs and wants within those constraints.
(4)
It
's economics as engineering or plumbing rather than economics as physics.
(Inner Lives of Markets, p. 133)
In paragraph (1), there apears a contrast between two opposed concepts. On the one hand, there are terms like a ‘price system’, ‘market prices’, and the ‘market’. And, on the other, there are terms like the ‘absence of prices’ and ‘central planners’, which have the meanings opposed to the formers. Meanwhile, the term “‘market-like’ ways” hints there is a middle road between those contrasted concepts or meanings.

In paragraph (2), a new term, ‘market design’, surfaces; this seems to suggest that it'll take baton from “‘market-like’ ways”. In consecutive sentences, the pronoun, ‘it’ carry the term ‘market design’ forward. But, then, suddenly appears another new term ‘mechanism design’. From then on, in (3) and (4), this one displaces the former ‘market design’.

So, does ‘mechanism design’ mean ‘market design’? Does ‘mechanism designer’ mean ‘market designer’? And, does ‘design[ing] a mechanism’ mean ‘design[ing] a market’? This flow of synonyms seems quite awkward. Isn't some more explanation necessary to relate those two terms, market and mechanism?

2018년 5월 29일 화요일

트랜스미러: tenses// another example for tenses and situation times

REF: Inner Lives of Markets, p. 127


Tenses in turns of sentences and their intertwining with situation times are always not easy to grasp. Here is another example:

In the following example, turns of tenses seem to flow like: Indicative present (introducing indicative past) ~ future in the past ~ subjunctive past

These rules help explain why the merchants of London capitulated to the fair wardens' demand so quickly. Getting booted out of the fair would be the equivalent of being blacklisted from Amazon in a world where that was the only way of reaching your customers, which isn't that far from the circumstances businesses operates in today. Devastating. Their businesses would have collapsed.

─ 1. The first sentence begins with its main verb at indicative present, 'help explain', then introduces a past situation with indicative past: 'the merchants of London capitulated...'

─ 2. The second sentence may be seen as London merchants' uttering in the past, described (captured, or interpreted) by the speaker:
  • "Getting booted out of the fair will be the equivalent of being blacklisted...", [thought the merchants of London at the time.] →
  • Getting booted out of the fair would be the equivalent of being blacklisted... in a world where that was the only way of...
Here, a future in the past('would be') is situated in the frame of a past situation (indicative past, 'was')

─ 3. Then, in the same second sentence, the speaker assesses that future-in-the-past description ('would be' with 'was') with his positioning at indicative present ('which isn't...').

─ 4. The third sentence, 'Devastating', seems to continue 'future in the past': [Getting booted out of the fair would be] [d]evastaging.

─ 5. Finally, the last sentence is concluded with subjunctive past : [If they had gotten booted out of the fair,] 'Their business would have collapsed.'

2018년 2월 7일 수요일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The transfer of retirement accounts from large pension pools to...

경제학; 스티글리츠


The transfer of retirement accounts from large pension pools to individual accounts has increased overall administration fees. Research shows that the average 401(k) participant could lose up to a third of future savings in fees. Meanwhile, asset management fees have been a top drive of Wall Street's revenues in the last two decades.


1. 그동안 은퇴 연금에 가입하는 계좌를 커다란 합동 자금으로 운영되는 대형 연금에서 서로 다른 뮤추얼 펀드로 운영되는 개별 계좌로 이전함에 따라 전반적인 관리 비용이 늘어났다. 연구에 따르면 기업 퇴직 연금에 불입하는 평균적 가입자가 미래에 도달할 저축 금액에서 보수를 지불하느라 날리는 비용이 최대 3분 1에 달할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지난 이십 년 동안 월 스트리트가 벌어들이는 수입에서 제일가는 돈줄의 하나가 자산 운용으로 벌어들이는 보수였다.

2. 은퇴 연금 계좌를 대형 연금에서 개별 계좌로 이전하는 추세는 전반적인 관리 비용의 증가를 불러왔다. 연구에 따르면 연구에 따르면 기업 퇴직 연금에 불입하는 평균적 가입자가 미래에 도달할 저축 금액에서 보수를 지불하느라 날리는 비용이 최대 3분 1에 달할 수 있다. 한편, 지난 이십 년 동안 월 스트리트가 벌어들이는 수입에서 제일가는 돈줄의 하나가 자산 운용으로 벌어들이는 보수였다.


※ "은퇴 연금 계좌를 대형 연금에서 개별 계좌로 이전"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대형 연금에 가입하는 연금 계좌들도 다 개별 계좌였던 것 아닌가? 이 세상에 연금 계좌는 모두 다 개별 계좌이지 개별 계좌가 아닌 연금 계좌도 있나? 독자들이 읽다가 "대형 연금에 가입해 있을 때는 창수도 영수도 모두 개별 계좌가 아닌 집단 계좌로 가입해 있었나 보다"라고 이해하면 되는 거지, 뭐 그렇게 세세한 내용을 독자가 알 필요가 있겠느냐? 나라 간의 서로 다른 제도에서 생기는 이해의 괴리나 모호한 전달은 번역에서 다뤄야 할 문제가 아니다. 번역은 그냥 있는 대로 번역하여 모호한 채로 이해하도록 놓아 두는 게 최고다! 오, 예.


The final reason why mutual fund fees are excessive is simply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retirement market itself. In this market, the $9.2 trillion that savers had invested in IRAs and 401(k)-type plans, as of 2010, is divided between thousands of "different" mutual funds in dozens of investment classes ( ... ... ) Large asset pools, such as state and local pension funds, can also use the leverage that comes from size to negotiate lower asset management fees, and administrative costs per investor are naturally lower since those costs are divided amongst a greater number of people. (Retirment Savings Drain, 2012)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Going forward,the government should look to follow the lead of Australia

경제학; 스티글리츠


Meanwhile, $1 tillion is outstanding in student loans. It is already having an impact in reduce life prospects, from having to forgo work at jobs dedicated to the public good simply because they don't pay enough, to forcing our young people to postpone building families. Going forward,the government should look to follow the lead of Australia and adopt universal income-based repayment, in which repayment consists of a set percentage of future income. Students could then repay their students debts more easily─at much lower transactions costs─through withholding


1. 한편, 학자금 융자로 나간 돈 가운데 상환되지 않은 채무 잔고가 1조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로 인한 악영향이 벌써 삶의 전망이 위축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공익에 헌신하는 직무의 일자리에 지원하고 싶어도 단지 보수가 불충분하다는 이유 때문에 포기해야 한다든가, 다른 한편으로는 젊은이들이 가정을 꾸리는 시기를 미룰 수밖에 없는 처지에 몰리고 있다. 앞으로 정부는 호주의 선례를 따라서 융자 자격을 모든 대학의 모든 학생에게 부여하는 보편적인 학자금 융자를 학생들이 졸업 후에 실제로 버는 소득을 기준으로 상환하는 방식을 수용할 길을 찾아야 한다. 즉 미래에 벌 게 될 소득을 기준으로 융자 설정 시점에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만 상환하는 식이 되어야 한다. 이런 식으로 하면, 학생들은 소득에서 일정액을 떼는 원천 징수를 통해─훨씬 낮은 거래 비용으로─학자금 채무를 좀 더 용이하게 상환할 수 있을 것이다.

2. 한편, 학자금 융자로 나간 돈 가운데 상환되지 않은 채무 잔고가 1조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로 인한 악영향이 벌써 삶의 전망이 위축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익에 헌신하는 일자리를 갖고 싶어도 단지 보수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포기해야 하거나 젊은이들이 가정을 꾸리는 시기를 미룰 수밖에 없는 처지에 몰리는 등의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정부는 호주의 선례를 따라서 보편적인 수입 기반 상환 방식, 즉 장차 얻게 될 소득의 일정 비율을 상환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할 방도를 찾아봐야 한다. 이런 식으로 하면 학생들은─훨씬 낮은 거래 비용으로─학자금 채무를 좀 더 용이하게 상환할 수 있을 것이다.


※ "universal income-based repayment"라는 용어에서 뭐가 보편적(universal)이라는 것일까? '소득 기반 상환(income-based repayment)'이 보편적이라는 것일까? '앞으로 보편적인 상환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누가 진술한다면, 지금은 보편적이지 않은 상환 방식이라는 것일까? 보편적인 상환 방식은 뭐고, 보편적이지 않은 상환 방식은 또 뭘까? '장차 얻게 될 소득의 일정 비율을 상환'하는 것이 '보편적'이란 것의 정의일까? 정말? 이걸 왜 의심해야 할까? 왜냐하면 '장차 얻게 될 소득의 일정 비율을 상환한다'라는 의미는 'income-based repayment'라는 말로 충분히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원저의 어디에서도 이에 대한 설명은 없고 그냥 퉁치고 넘어갔다. 아마도 이는 원저 자체가 수많은 구체적 사안을 언급하는 보고서 형식으로 출발한 탓에 의도하는 독자층이 애초에 일반 독자가 아니라 정책 결정자들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즉 "universal income-based repayment"라고 말하면 다 알아듣는다고 간주해서 썼다고 봐야한다. 그런데 미국의 관련자들이 다 알고 있으면 한국의 독자들도 다 알고 있는 건가?

※ 어느 출처를 보면 이런 말이 나온다.
Most current and proposed models, including international ones, differ in two important ways. The first concerns whether the system should be “universal.” That is, should it cover all students, regardless of income or other characteristics, and should it apply to all types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covered under the existing student aid system, including undergraduate, graduate and professional programs? ( ... ... ) This model has been adopted by Australia and is evident in the current mix of income-contingent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We favor a single, comprehensive income-based system that is universal without segmentation, with the same design features applying to all students across all types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now eligible for federal studnet aid, including those in graduate and professional programs. (예전 검색 결과 속의 한 논문, 2014)
그러니까 학자금 융자 시스템의 설계에서 통용되는 "universal income-based repayment"라는 용어 속의 "universal"이라는 말은 "모든 학생들과 모든 학교를 포괄해야 한다"는 뜻이며, "income-based repayment"와는 별도의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다. 다른 출처를 하나 더 보자.소득 기반 상환─이 용례에서는 '소득에 따라 달라지는(income-contirngent)' 상환─이 "보편적"이라는 말은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는 뜻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더불어 호주와 영국과 뉴질랜드가 이런 보편적인 방식이라는 정보도 덤으로 알게 해 주는 정보다. 
The income contingent loan (ICL) system for financing higher education provides an innovative solution. ( ... ... ) The ICLs operating in Australia, England and New Zealand are universal─all students are eligible. The South Korean and Japanese systems leave large numbers of people who could benefit from an ICL without one ( ... ... ) For Japan to be following the South Korean ICL example is unfortunate ( ... ... ) (A Better Way to Fund Higher Education in Japan, 2017)

편집자가 이런 그간의 사정과 검색의 배경을 고려하기가 어렵기는 할 것이다. 역자가 쓸데없이 다른 내용을 찾아보고 필요없는 것을 갖다붙였다! 어쨌거나, 다음과 같이 이해는 하고 넘어가자.

3. 한편, 학자금 융자로 나간 돈 가운데 상환되지 않은 채무 잔고가 1조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로 인한 악영향이 벌써 삶의 전망이 위축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익에 헌신하는 일자리를 갖고 싶어도 단지 보수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포기해야 하거나 젊은이들이 가정을 꾸리는 시기를 미룰 수밖에 없는 처지에 몰리는 등의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정부는 호주의 선례를 따라서 모든 대학의 모든 학생에게 융자 자격을 부여하는 보편적인 방식에 더하여, 장차 얻게 될 소득의 일정 비율을 상환하도록 하는 수입 기반 상환 방식을 채택할 방도를 찾아봐야 한다. 이런 식으로 하면, 학생들은 소득에서 일정액을 떼는 원천 징수를 통해─훨씬 낮은 거래 비용으로─학자금 채무를 좀 더 용이하게 상환할 수 있을 것이다.

2018년 2월 6일 화요일

TransMirror:문장다시보기/ mass incarceration reduces employment opportunities

경제학; 스티글리츠


( ... ... )  mass incarceration reduces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wages, and increases dependency on public assistance for a large share of the population. A study by the Vera Institute for Justice found that the total public cost of incarceration was more than $31,000 per inmate in 2010.


1. 대규모 인원의 수감은 고용 기회와 임금 소득을 줄이며, 커다란 인구 비중의 공적인 지원에 대한 의존성을 높인다. 베라 사법 연구소의 연구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교도소 수감에 따르는 공적인 비용 총액은 2010년에 수감자 1인당 3만 1천 달러를 넘는다.

2. 대규모 인원의 수감은 고용 기회와 임금 소득을 줄이며, 공공 지원에 의존하는 인구 비중을 높인다. 베라 사법 연구소의 연구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교도소 수감에 따르는 공적 지출 비용은 2010년에 수감자 1인당 3만 1천 달러를 넘는다.

3. 대규모 인원의 수감은 고용 기회와 임금 소득을 줄이며, 교도소 관리에 써야 할 공적 비용의 경직성을 높인다. 베라 사법 연구소의 연구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교도소 수감에 따르는 공적 비용의 총계는 2010년에 수감자 1인당 3만 1천 달러를 넘는다.

TransMirror:문장다시보기/ The US incarcerates a higher percentage of its population than...

경제학; 스티글리츠


The United States incarcerates a higher percentage of its population than any other nation in the world at a huge cost to individuals and families as well as to economic performance. The overal societal and human impacts of mass incarceration, in terms of effect on children, families, and particularly people of color, warrant and have received their own political agenda and movement. Much of that work is beyond the scope of this report. Here we focus specifically on the clear economic consequences of incarcerating 2.3 million people, more than 1 percent of all adults in the United States ( ... ). We recommend specific reforms to expunge the records, reduce mandatory minimum sentences, improve legal representation, and curtail unjust levies.


1. 미국은 교도소에 가둬 두는 거주 인구의 비율이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높다. 그래서 경제적 성과는 물론 개인과 가족에 어마어마한 부담을 초래한다. 대규모 인원이 교도소에 갇혀 있으니 어린이와 가족, 특히 유색인들이 겪는 영향 면에서 사회적으로나 인간적으로나 그로 인한 충격이 광범위하다. 거기서 생기는 온갖 문제들마다 그에 마땅한 명분을 얻어 각각의 정치적 의제와 운동을 촉발해 왔다. 그러한 의제와 운동 가운데 이 보고서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들이 많다. 이곳에서 구체적으로 주목할 내용은 미국 성인 인구의 1%( ... )가 넘는 2백 3십만 명의 교도소 수감이 초래하는 명백한 경제적 영향이다. 우리는 구체적인 개혁 의제로 수감 기록의 삭제, 최소 의무 형량의 단축, 법률적 대변의 향상, 불공정한 부담금의 인하를 권고한다.

2. 미국은 교도소에 가둬 두는 거주 인구의 비율이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높다. 그래서 경제적 성과는 물론 개인과 가족에 어마어마한 부담을 초래한다. 대규모 인원이 교도소에 갇혀 있으니 어린이와 가족, 특히 유색인들이 겪는 영향 면에서 사회적으로나 인간적으로나 그로 인한 충격이 광범위하다. 거기서 생기는 온갖 문제들마다 그에 마땅한 명분을 얻어 각각의 정치적 의제와 운동을 촉발해 왔다. 그러한 의제와 운동의 많은 부분이 이 책의 범위를 넘어선다. 이곳에서 구체적으로 주목할 내용은 미국 성인 인구의 1%( ... )가 넘는 230만 명의 교도소 수감이 초래하는 명백한 경제적 영향이다. 우리는 구체적인 개혁 의제로 수감 기록의 삭제, 최소 의무 형량의 단축, 법률의 향상, 불공정한 부담금의 인하를 권고한다.

TransMirror:문장다시보기/ There is a range of pro-growth and pro-equality tax reforms

경제학; 스티글리츠


( ... ... ) there is a range of pro-growth and pro-equality tax reforms that can both raise revenue and rebalance misaligned incentives. One general principle of taxation─known as the Henry George principle─is that we should tax things that have an inelastic supply, like land, oil, or other natural resources. The 19th century progressive Henry George argued that because land does not disappear when taxed, it can be taxed at high levels without negatively distorting the economy; there is effectively no supply response. Even better, we can tax factors or behavior that do harm the economy.


1. ( ... ... ) 성장과 평등을 동시에 촉진함으로써 세수도 늘리고 삐뚤어진 동기 유발을 바로잡을 수 있는 조세 개혁들이 여러 가지 있다. 일반적인 과세 원리들 가운데 하나인 이른바 헨리 조지 원리는 땅이나 석유, 기타 자연 자원처럼 공급이 비탄력적인 대상에 세금을 매겨야 한다는 것이다. 19세기의 진보주의자 헨리 조지는, 토지는 세금을 매긴다고 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제를 나쁜 방향으로 왜곡하지 않고도 높은 세율로 과세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토지 공급량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자들이 공급량을 줄이거나 늘려서 과세에 대응할 방도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왜곡을 유발하지 않는 과세에서 한발 더 나아가, 경제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행동에 과세하는 방법도 있다.

2. ( ... ... ) 성장과 평등을 동시에 촉진함으로써 세수도 늘리고 삐뚤어진 유인을 바로잡을 수 있는 조세 개혁들이 여러 가지 있다. 일반적인 과세 원리들 가운데 하나인 이른바 헨리 조지 원리는 땅이나 석유, 기타 자연 자원처럼 공급이 비탄력적인 대상에 세금을 매겨야 한다는 것이다. 19세기의 진보주의자 헨리 조지는, 토지는 세금을 매긴다고 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제를 나쁜 방향으로 왜곡하지 않고도 높은 세율로 과세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토지 공급량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자들이 공급량을 줄이거나 늘려서 과세에 대응할 방도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왜곡을 유발하지 않는 과세에서 한발 더 나아가, 경제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행동에 과세하는 방법도 있다.


※ ( ... ) ; there is effectively no supply response. ( ... ) 토지 공급량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자들이 공급량을 줄이거나 늘려서 과세에 대응할 방도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 세제 개혁의 갖가지 방안 중에서 친성장적이고 친평등적인 세제 개혁의 대표적인 예(딱 하나의 예를 들었으니,대표적인 예시로 간주할 수 있다)로 스티글리츠와 루스벨트 연구소가 헨리 조지의 토지세를 든 것은 특징적이다.
  • 헨지 조지의 토지세 개념이 갖춘 논리적인 명쾌함과 현실에 적용했을 경우에 누리게 될 막강한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면 한마디라도 언급하지 않기가 아깝다고 여긴 듯한 느낌. 토지세는 (1) 엄청난 세수, (2) 납세를 전후방으로 전가하는 경제 왜곡의 전무, (3) 지대 추구형 수익이 아니라 부가가치 창출형 수익을 장려하는 장치이기 문이다.
  • 그런데 뭐랄까, 토지세를 너무 칭찬할 경우 어떤 정치적인 불편함을 우려해서인지 너무 간단하게 언급하고 넘어갔다. 가령 토지세를 부과하면 왜 경제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지를 딱 두 마디로만 적었다. (a) inelastic supply와 (b) there is effectively no supply respons. 사실, 이 두 가지는 논리적으로 똑같은 것이고 동어반복이니, 딱 한마디만 언급하고 넘어간 것이다. 이 정도의 서술로밖에 뒷받침하지 않았다는 것은 더 이야기하기 불편하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제학 교과서(특히, 경제학 원로)에서 헨리 조지의 토지세를 훌륭한 세금이라고 기술하는 경우는 거의 전무하다. 이것도 정치적으로 불편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하여, 일부 이 내용에 대해 궁금해 할지도 모를 독자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역주를 추가했지만, 쓸데없는 역자의 개입으로 판단되는 모양이다. 이걸 읽는다면 본문에서 보강설명하는 식으로 번역한 내용, 즉 '토지 공급량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자들이 공급량을 줄이거나 늘려서 과세에 대응할 방도가 사실상 없는' 이유를 독자가 알 수 있을 것이고 왜 사실상(effectively) 그러한 것인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 "왜 이렇게 되는지 논증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표준적인 주류 경제학 교과서 중 하나가 설명하는 방식은 이러하다. 즉, 토지 소유자들이 토지에 부과되는 세금의 부담을 회피하려면 토지 공급량을 줄여서 지대를 높여야 한다. 그래서 지대가 높아지면 지대 상승분만큼 세금이 토지 사용자에게 전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토지 소유자들이 독점을 형성하여 토지 공급량을 줄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토지세를 새로 부과하거나 세율을 높이더라도 지대 상승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따라서 토지세는 온전히 토지 소유자가 부담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토지 사용자의 경제 활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서 토지세 부과로 인한 경제 활동의 왜곡은 발생하지 않는다. 『새뮤얼슨의 경제학』(폴 새뮤얼슨과 윌리엄 노드하우스 지음. 유비온 펴냄. 2012) 상권, 제3부 제14장 〈토지와 자연자원, 그리고 환경〉의 1.2절〈고정된 토지와 지대〉 495~499쪽을 참조."

TransMirror:문장다시보기/ The U.S. could also establish a complementary minimum tax on...

경제학; 스티글리츠

The U.S. could also establish a complementary minimum tax on all gobal income─for example, requiring U.S. corporations to pay 10-15 percent on global profits, with a tax credit for taxes paid to other jurisdictions. In doing so, the corporate tax should eliminate differences in marginal effectice tax rates between domestic and offshore investment, and be set above a revenue-neutral level. The resulting taxe structure would virtualy eliminate incentives to move production abroad for tax purposes.


1. 최저 세율을 정해서 기업의 글로벌 이익에 보조적인 세금을 매기는 것도 방법이다. 예를 들어, 글로벌 이익의 10~15%를 세금으로 내도록 정하고, 미국 이외의 다른 사법 관할권에서 지불한 세금에 대해서는 세액 공제를 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규칙을 도입할 때, 법인세 체계는 기업이 국내에 투자하든 국외에 투자하든 실효 한계세율에 차이가 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세수 중립적revenue neutral인 수준보다 높게─즉, 새 규칙을 도입하기 이전보다 이후의 세수가 늘어나도록(옮긴이)─정해져야 한다. 이런 식으로 법인세 구조를 갖추면 세금 때문에 생산을 국외로 이전하려는 동기 유발을 거의 제거하게 될 것이다.

2. 최저 세율을 정해서 기업의 글로벌 이익에 보조적인 세금을 매기는 것도 방법이다. 예를 들어, 글로벌 이익의 10~15%를 세금으로 내도록 정하고, 미국 이외의 다른 사법 관할권에서 지불한 세금에 대해서는 세액 공제를 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규칙을 도입할 때, 법인세 체계는 기업이 국내에 투자하든 국외에 투자하든 실효 한계 세율에 차이가 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세수 중립적인 수준보다 높게 정해져야 한다. 이런 식으로 법인세 구조를 갖추면 세금 때문에 생산을 국외로 이전하려는 유인을 거의 제거하게 될 것이다.


※ 세수 중립적, 세수 중립적 수준 초과, 세수 중립적 수준 미만 등의 표현은 아주 알기 쉬운 상식적 개념이다!? 물론 의도하는 독자층에 따라 다르다. 원저는 애초에 정책 의제를 전달할 목표로 정책 결정자들을 주된 독자층으로 삼았으니 이런 개념을 독자가 다 알고 있다고 간주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세수 중립성 같은 개념은 경제학 원론에도 잘 등장하지 않고, 거의 재정학 정도의 수업에서나 언급되는 표현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2018년 2월 5일 월요일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The monetary aspect of economic policy has...

경제학; 스티글리츠


The monetary aspect of economic policy ( ... ... ) has large and persistent effects on inequality. Historically, we have reconized this. The election of 1896 was contested on the issue of monetary policy─whether to move to a bimetallic standard (gold and silver). The debate then was about inflation versus growth, and about inequalityㅡthe conflict between low- and middle-income Americans, then overwhelmingly farmers, and the financial sector. ( ... ... ) Monetary policy hewing to a rule that prioritizes low inflation at the expense of low unemployment has weakened the position of people who work for their living and strengthened those whose income relies on the returns to capital.


1. ( ... ... ) 통화 정책은 불평등에 커다란 영향을 오래도록 미친다. 이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역사를 우리는 가지고 있다. 1896년의 선거에서는 금과 은을 모두 가치 척도로 삼는 이중 본위제를 채택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통화 정책의 현안이 쟁점이었다. 그때의 논쟁은 물가 상승인가, 아니면 성장인가의 선택과 불평등에 관한 것이었고, 이는 곧 저소득층 미국인들(당시 압도적으로 농민들)과 중간 소득층 미국인들(당시 압도적으로 금유 부문 종사자) 사이의 갈등이었다. ( ... ... ) 통화 정책이 낮은 실업을 제쳐두고 낮은 물가를 중시하는 규칙을 고수함으로 말미암아 생계를 위해 노동하는 사람들의 입지는 약화되었고, 자본의 수익에서 소득을 얻는 사람들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2. ( ... ... ) 통화 정책은 불평등에 커다란 영향을 오래도록 미친다. 이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역사를 우리는 가지고 있다. 1896년의 선거에서는 통화 정책, 즉 금과 은을 모두 가치 척도로 삼는 이중 본위제의 채택 여부가 최대 쟁점이었다. 그때의 논쟁은 물가 상승인가, 아니면 성장인가의 선택과 불평등에 관한 것이었고, 이는 곧 저소득층 미국인들(당시 압도적으로 농민들)과 중간 소득층 미국인들(당시 압도적으로 금유 부문 종사자) 사이의 갈등에 관한 것이었다. ( ... ... ) 통화 정책이 낮은 실업을 제쳐두고 낮은 물가를 중시하는 규칙을 고수함으로 말미암아 생계를 위해 노동하는 사람들의 입지는 약화되었고, 자본의 수익에서 소득을 얻는 사람들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3. ( ... ... ) 통화 정책은 불평등에 커다란 영향을 오래도록 미친다. 이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역사를 우리는 가지고 있다. 1896년의 선거에서는 통화 정책, 즉 금과 은을 모두 가치 척도로 삼는 이중 본위제의 채택 여부가 최대 쟁점이었다. 그때의 논쟁은 물가인가 아니면 성장인가의 선택과 불평등에 관한 것이었고, 이는 곧 중간 및 저소득층 미국인들(당시 압도적으로 농민들)과 금유 부문 사이의 갈등이었다. ( ... ... ) 통화 정책이 낮은 실업을 제쳐두고 낮은 물가를 중시하는 규칙을 고수함으로 말미암아 생계를 위해 노동하는 사람들의 입지는 약화되었고, 자본의 수익에서 소득을 얻는 사람들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 참고 자료 추가 발췌: 1896 election and gold standard (in the US)

TransMirro:문장다시보기/ Deflationary pressures can raise the real value of debt

경제학; 스티글리츠


Deflationary pressures can raise the real value of debt, which can create self-fulfilling prophecies of low demand. Low inflation, rather than something to be valued, can limit the options central bankers have in a crisis. ( ... ... ) Central banks can't ignore inflation, but neither should they make it their main preoccupation, at least so long as it remains moderate. As the Great Recession made clear, the focus on inflation did not ensure high growth or economic stability. The choice to focus on inflation or full employment is not technocratic, but rather a choice to prioritize one set of economic outcomes and interest groups over another.


1. 게다가 실업을 늘어나는 불황기에 물가가 떨어지는 힘이 생기면 이미 존재하는 채무의 실질 가치가 높아져서 수요를 짓누르기 쉽고, 정체된 수요가 다시 채무를 증가시키는 자기실현적 예언이 유발될 수 있다. 낮은 물가 상승률은 귀중히 여겨야 할 무엇이 아니라, 위기가 일어났을 때 중앙은행 당국자가 행동할 수 있는 선택의 여지를 제한할 수 있다. ( ... ... )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물가 상승이 완만한 수준에 머물러 있기만 하다면, 중앙은행의 주된 걱정거리가 물가 상승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대불황을 겪는 동안 명백히 드러났듯이, 물가 상승에 중점을 둔다고 해서 성장률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었고 경제가 안정을 찾는 것도 아니었다. 물가에 중점을 두느냐, 아니면 완전 고용에 중점을 두느냐 하는 선택은 테크노크라트가 처리할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경제적 결과들과 짝지은 어떤 이해 집단들을 그와 다른 경제적 결과들과 짝지은 다른 이해 집단들보다 우선시할 것이냐를 선택하는 문제다.

2. 게다가 실업이 늘어나는 불황기에 물가 하락 압력이 생기면 이미 존재하는 채무의 실질 가치가 높아져서 수요를 짓누르기 쉽고, 정체된 수요가 다시 채무를 증가시키는 자기실현적 예언이 유발될 수 있다. 낮은 물가 상승률은 위기 시 중앙은행 당국자가 취할 수 있는 선택의 여지를 제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줏단지 모시듯 해야 할 필요가 없다. ( ... ... ) 물론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물가 상승이 완만한 수준에 머물러 있기만 하다면, 중앙은행의 주된 걱정거리가 물가 상승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대불황을 겪는 동안 명백히 드러났듯이, 물가 상승에 중점을 둔다고 해서 성장률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었고 경제가 안정을 찾는 것도 아니었다. 물가에 중점을 두느냐 완전 고용에 중점을 두느냐 하는 선택은 단지 관료적인 일처리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경제적 결과들과 이해 집단의 조합 대신 다른 경제적 결과들과 이해 집단의 조합을 우선시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3. 게다가 실업이 늘어나는 불황기에 물가 하락 압력이 생기면 이미 존재하는 채무의 실질 가치가 높아져서 수요를 짓누르기 쉽고, 정체된 수요가 다시 채무를 증가시키는 자기실현적 예언이 유발될 수 있다. 낮은 물가 상승률은 위기 시 중앙은행 당국자가 취할 수 있는 선택의 여지를 제한할 수 있는 만큼 신줏단지처럼 모셔야 할 것이 아니다. ( ... ... ) 물론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물가 상승이 완만한 수준에 머물러 있기만 하다면, 중앙은행의 주된 걱정거리가 물가 상승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대불황을 겪는 동안 명백히 드러났듯이, 물가에 중점을 둔다고 해서 성장률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었고 경제가 안정을 찾는 것도 아니었다. 물가에 중점을 두느냐 완전 고용에 중점을 두느냐 하는 선택은 의도하는 경제적 결과들과 중시해야 할 이해 집단들을 놓고, 이 둘의 어떤 조합을 다른 조합보다 우선시하겠다는 결정이다. 그러니만큼 단지 관료들이 처리해야 할 문제가 아니다.


※ 대체로 역자가 아주 강하게 개입하여 부가적 요소를 많이 삽입한 번역이다. 그리고 편집자의 기발한 문장 상상력이 절충안을 만드는 데 큰 힘이 되었다.

2018년 2월 4일 일요일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The market distortion associated with the exercise of market power

경제학; 스티글리츠


The market distortion associated with the exercise of market power diminishes social welfare. Besides creating inequalities, market rents have other distortinary effects on the economy and on the political system. First, rents directly decrease production from what it would be if the economy were organized optimally and such rents did not exist. Second, rents create incentives for allocating resources to unproductive rent-seeking activities like excessive marketing and sales expenditures and lobbying; the bigger the rent, the greater the incentives for such actitivites. ( ... ... ) Lastly, to the degree that firms engage in lobbying or some other political activity in order to create or preserve rents, it impacts our political system─and increases the number of adverse outcomes in the economy and in other spheres of society.


1. 시장 지배력의 행사에 동반하는 시장 왜곡은 사회적 후생을 떨어뜨린다. 시장에서 지대가 발생하면 불평등을 초래하는 것 말고도, 경제뿐 아니라 정치 시스템을 왜곡하는 다른 영향도 미친다. 첫째, 경제가 최적의 상태로 조직되어 지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비하여 지대는 그 자체로 생산을 떨어뜨린다. 둘째, 지대는 과도한 마케팅 비용과 판매 관리비, 로비 활동처럼 자원을 비생산적인 지대 추구 활동에 할당하는 동기를 유발한다. 지대가 클수록, 그러한 활동을 벌일 동기가 커진다. ( ... ... ) 셋째, 기업이 지대를 창출하거나 유지하려고 로비나 모종의 정치 활동에 뛰어들수록 우리의 정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 말미암아 경제와 여타 사회 영역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늘어난다.

2. 시장 지배력의 행사에 동반하는 시장 왜곡은 사회적 후생을 떨어뜨린다. 시장 지대는 불평등을 초래할 뿐 아니라, 경제와 정치 시스템을 왜곡하는 다른 결과도 낳는다. 첫째, ( ... ... )


※ 인터넷에서 검색되는 여러 용례들을 보면, 'market rents'라는 말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지 않고 용례마다 다른데, 대체로 '시장에서 통용되는 임대료'랄지 '임대료 시세'와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말이다. 그중 많이 등장하는 'fair market rents'의 경우는 '공정 시세 임대료'에 가까운 의미로 통용되는 지역들이 눈에 띈다.

※ 반면에 텍스트에서 'market rents'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는 첫째, 둘째, 셋째의 진술들을 보면, 여기서 말하는 'rents'는 '지대'의 특정 형태인 '임대료'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 이윤, 이자, 배당처럼 경제학적 개념으로서 쓰이는 '지대'를 뜻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토지 지대(land rent)라든지 독점 지대(monopoly rent)라는 용어처럼 지대의 한 형태로서 '시장 지대(market rent)'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 그러니 "Besides creating inequalities, market rents have other distortinary effects on the economy and on the political system."와 같은 진술에서 등장하는 'market rents'라는 말은 그냥 '시장에 출현하는 지대'라든가 '시장에 발생하는 지대' 같은 식의 표현이다.
  • 마치 "이것들 시장에서 산 비누야, 아니면 집에서 만든 거야?(Are these market soaps, or home-made ones?)"라는 묻는 질문에서 soap에다 그냥 캐쥬얼하게 market을 갖다붙인 것처럼 rent에다 그냥 캐주얼하게 market를 갖다붙인 것이라고 봐야 한다. 그러니 '지대'를 중심으로 문장을 구성해야 하지, 캐주얼하게 갖다붙인 것을 개념어처럼 표현해서는 안된다.
  • 문장에서, "지대라는 것이 불평등도 초래하고, 그뿐 아니라 경제와 정치 시스템을 왜곡하는 영향도 미친다(have effects on)"고 진술하고 있고, 이어서 '지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 견주어서 지대가 존재할 때의 비효율'을 언급하고 있다.
  • 그렇다면, 'market rents'를 '시장에서 지대가 발생하면'이라고 표현하면 아주 적절하게 뒷구절과 조응한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IPRs in theory provide incentives...

경제학; 스티글리츠

IPRs─patents and copyrights─in theory provide incentives for innovators by offering monopoly returns from their innovations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However, in the words of economists Michele Boldrin and David K. Levine,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IPRs serve to increase innovation and productivity." Other researchers by Petra Moser examining the long-run economic history of IPRs and innovation draws a similar conclusion. Part of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not just financial incentives that matter to innovators.

1. 지적 재산권, 즉 특허권과 저작권은 제한된 기간 동안 혁신에서 발생하는 독점적 수익을 보장함으로써 이론적으로 혁신자들에게 동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경제학자 미켈레 볼드린과 데이비드 레빈이 지적하듯이,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경험적 증거는 없다.〉 장기간에 걸친 지적 재산권과 혁신의 경제적 역사를 점검한 페트라 모저의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론이 나왔다.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유 중 일부는 혁신자들에게 중요한 것이 단지 금전적인 동기는 아니라는 점이다.
2. 지적 재산권, 즉 특허권과 저작권은 제한된 기간 동안 혁신에서 발생하는 독점적 수익을 보장함으로써 이론적으로 혁신자들에게 동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경제학자 미셸 볼드린고 데이비트 레빈이 지적하듯이,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경험적 증거는 전무하다.〉 장기간에 걸친 지적 재산권과 혁신의 경제적 역사를 점검한 페트라 모저의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론이 나왔다.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유 중 일부는 혁신자들에게 중요한 것이 단지 금전적인 동기는 아니라는 점이다.
※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IPRs serve to increase innovation and productivity." :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경험적 증거는 없다"는 발화를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경험적 증거는 전무하다"라는 발화로 바꾸어 이해하는 데는 상당히 마음에 걸리는 미지의 것들이 있을 수 있다.
  • 이와 같이 발화한 인용문 속 원저자의 논증에서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경험적 증거'가 49정도 있고,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경험적 증거'가 51정도 있어서 전체 사례 100을 놓고 봤을 때 '경험적 증거가 없다'라고 말했을지도 모른다.
  • 아니면, 정말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경험적 증거'가 0건밖에 없고, 지적 재산권이 혁신과 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경험적 증거'가 100건 있어서 전체 사례 100을 놓고 볼 때 '경험적 증거가 전무하다'고 볼 수 있는 논증이었을지도 모른다.
  • 또는 이러한 통계적 표본의 경중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어떤 논리적인 전제가 관계되는 발화였을지도 모른다. 가령 '어떠어떠한 가정을 놓고 보았을 때 경험적 증거가 없다'라는 식의 논증으로 뒷받침되는 발화였을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텍스트 본문의 바깥에 존재하는 맥락을 확인하지 않고 '경험적 증거는 없다'를 '경험적 증거는 전무하다'로 수정할 수 있는 것일까? 위와 같은 미지의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전제하고 '전무하다(즉, 완전히 없다)'라는 번역은 자제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인용된 원자자들의 논문, "The Case Against Patents"을 보면, 다음과 같이 서두에 결론의 일부가 요약돼 있다.
The case agasint patents can be summarized briefly: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they serve to increase innovation and productivity, unless productivity is identified with the number of patents awarded─which, as evidence shows, has no correlation with measured productivity. 

2018년 2월 3일 토요일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The ability to wield power in the market

경제학; 스티글리츠


The ability to wield power in the market is related to the degree to which markets operate in an open, transparent, competitive fashion versu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dominated by one or small number of actors; how open or closed an industry is to entry by other firms; and the degree to which the same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shared among all participants in the market. These characteristics of a market define a spectrum of situations along which an empowered party can exercise power to varying degree over others─even when people exchange seemingly with free will.


1. 시장을 지배하는 힘의 능력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따져볼 수 있다. 첫째, 시장이 얼마나 개방적이고 투명하게 작동하며 경쟁은 어느 정도인가, 아니면 이와 반대로 하나 혹은 소수의 행위자들이 시장을 지배하는 정도가 얼마나 되는가를 가지고 따져볼 수 있다. 둘째, 임의의 산업에 다른 기업이 진입하는 것이 얼마나 개방적인가, 아니면 폐쇄적인가를 가지고 따져볼 수 있다. 셋째, 모든 시장 참여자가 어느 정도로 동일한 정보와 지식을 누리고 있느냐를 가지고 따져볼 수 있다. 이러한 시장의 특징들이 어떠하냐에 따라 힘센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들에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의 정도가 달라지고, 시장마다 서로 다른 그 힘의 강약을 일정한 스펙트럼으로 묘사해 볼 수 있다. 비록 겉보기에는 시장에서의 거래가 사람들의 자유 의지대로 이루어지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이러한 힘의 관계가 작용하고 있다.

2. 시장에서 힘을 행사하는 능력은 몇 가지 특징적인 국면으로 따져 볼 수 있다. 첫째, 시장이 얼마나 개방적이고 투명하게 작동하며 경쟁은 어느 정도인가를 따지거나, 아니면 이와 반대로 하나 혹은 소수의 행위자들이 시장을 지배하는 정도가 얼마나 되는가를 따져 볼 수 있다. 둘째, 임의의 산업에 다른 기업이 진입하는 것이 얼마나 개방적이거나 폐쇄적인지를 가지고 따져 볼 수 있다. 셋째, 모든 시장 참여자가 어느 정도로 동일한 정보와 지식을 누리고 있느냐를 가지고 따져볼 수 있다. 이처럼 시장의 성격이 어떠하냐에 따라 힘센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들에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의 정도가 달라지고, 시장마다 서로 다른 그 힘의 강약을 일정한 스펙트럼으로 묘사해 볼 수 있다. 비록 겉보기에는 시장에서의 거래가 사람들의 자유 의지대로 이루어지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이러한 힘의 관계가 작용하고 있다.

3. 시장에서 힘을 행사하는 능력은 해당 시장의 몇 가지 특징에 주목하여 따져 볼 수 있다. 첫째, 시장이 얼마나 개방적이고 투명하게 작동하며 경쟁은 어느 정도인지, 이와 견주어 하나 혹은 소수의 행위자들이 시장을 지배하는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따져 볼 수 있다. 둘째, 임의의 산업에 다른 기업이 진입하는 것이 얼마나 개방적이거나 폐쇄적인지를 가지고 따져 볼 수 있다. 셋째, 모든 시장 참여자가 어느 정도로 동일한 정보와 지식을 누리고 있느냐를 가지고 따져볼 수 있다. 이 같은 시장의 특징들이 어떠하냐에 따라 힘센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들에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의 정도가 달라지고, 시장마다 서로 다른 그 힘의 강약을 일정한 스펙트럼으로 묘사할 수 있다. 비록 겉보기에는 시장에서의 거래가 사람들의 자유 의지대로 이루어지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이러한 힘의 관계가 작용하고 있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he past few decades

경제학; 스티글리츠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he past few decades has absobed economists' attention in recent years. Today, labor force participation sits at at 38-year low. While household had been saving, on average, less than 3 percent of income before the Great Recession, savings have increased following the recession─averageing 4.8 percent for the past year─though not enough to offset lost wealth or to make much of a dent in household indebtedness, and still not high enough to ensure sustained growth. Investment has been weak. American corporations are sitting on trillions of dollars of cash, eschewing investment even though the effective corporate tax rate─the rate they actually pay on average─has fallen. All of this helps explain why the promised growth did not occur: the promised supply-side effects weren't real. The economic model was wrong.


1. 지난 수십 년 간의 추세를 이해하는 일이 최근 수 년 동안 경제학자들의 지대한 관심을 끌었다. 오늘날 경제 활동 참가율은 38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계 저축률은 대불황 이전에 계속 평균적으로 소득의 3%에도 미치지 못하다가 그 후로 높아지기는 했다(2015년에는 4.8%). 하지만 금융 위기와 불황을 겪느라 상실된 부를 상쇄하거나 가계 누적 채무를 크게 줄여줄 정도로 높아진 것은 아니며, 더욱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할 만큼 높은 수준은 결코 아니다. 투자는 계속 빈약했다. 지금 미국 기업들이 깔고 앉아 있는 현금은 수조 달러에 달한다. 즉 유효(또는 실효) 법인세율─법정 세금에서 각종 공제와 감면액을 빼고 실제로 기업이 납부한 세금으로 계산한 평균 세율─이 떨어졌는데도 기업들은 투자를 회피하고 있다. 이 모든 현상들은 그렇게도 장담하던 성장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그 주창자들이 장담하던 공급 측면의 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었다. 공급 측면의 경제 모형은 잘못된 것이었다.

2. 최근 수 년 동안 경제학자들은 지난 수십 년 간의 추세를 이해하는 일에 지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오늘날 경제 활동 참가율은 38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계 저축률은 대침체 이전에 계속 평균적으로 소득의 3퍼센트에도 미치지 못하다가 그 후로 높아지기는 했지만(2015년에는 4.8퍼센트), 금융 위기와 불황을 겪느라 상실된 부를 상쇄하거나 가계 누적 채무를 크게 줄여줄 정도로 높아진 것은 아니며, 더욱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할 만큼 높은 수준은 결코 아니다. 투자는 계속 빈약했다. 지금 미국 기업들이 깔고 앉아 있는 현금은 수조 달러에 달한다. 즉 유효 법인세율─법정 세금에서 각종 공제와 감면액을 빼고 실제로 기업이 납부한 세금으로 계산한 평균 세율─이 떨어졌는데도 기업들은 투자를 회피하고 있다. 이 모든 현상들은 그렇게도 장담하던 성장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창자들이 장담하던 공급 측면의 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공급 측면의 경제 모형은 잘못된 것이었다.

3. 최근 수 년 동안 경제학자들은 지난 수십 년 간의 추세를 이해하는 일에 지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오늘날 경제 활동 참가율은 38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계 저축률은 대침체 이전에 계속 평균적으로 소득의 3퍼센트에도 미치지 못하다가 그 후로 높아지기는 했지만(2015년에는 4.8퍼센트), 금융 위기와 불황을 겪느라 상실된 부를 상쇄하거나 가계 누적 채무를 크게 줄여줄 정도로 높아진 것은 아니며, 더욱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할 만큼 높은 수준은 결코 아니다. 투자는 계속 빈약했다. 지금 미국 기업들이 깔고 앉아 있는 현금은 수조 달러에 달한다. 즉 유효 법인세율─법정 세금에서 각종 공제와 감면액을 빼고 실제로 기업이 납부한 세금으로 계산한 평균 세율─이 떨어졌는데도 기업들은 투자를 회피하고 있다. 이 모든 현상들은 그렇게도 장담하던 성장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 이유는 주창자들이 장담하던 공급 측면의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공급 측면의 경제 모형은 잘못된 것이었다.


※ the rate they actually pay on average(법정 세금에서 각종 공제와 감면액을 빼고 실제로 기업이 납부한 세금으로 계산한 평균 세율): 원문에 없는 쓸데없는 군더더기를 역자가 갖다붙였다.

※ Great Recession은 2008년 금융 위기의 난리를 치르고 찾아온 아주 장기적인 불황 기조를 가리키고자 경제학자나 그보다는 아마도 정책 결정자 들이─말하자면─'꼼수를 부려서' 만든 용어다. depression이라고 하자니 1930년대의 Great Depression이라고 인정하는 꼴이어서 depression보다는 약한 어감의 recession을 사용해서, great하기는 하지만 depression보다는 경미한 recession이라고 하자 해서 나타난 용어가 'Great Recession'이다. Great Depression을 관례상 대공황이라고 부르지만, depression의 본래 의미는 침체이자 우울증이다. 깊은 수렁에 빠져서 빠져 나오지 못하는 상태, 즉 침체를 말한다.
  경기 변동을 구성하는 몇 가지 양태에서 미국의 NBER가 공식적으로 정한 기준에 따르면,  '두 분기 이상 GDP가 연속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recession'이다. 그래서 보통 recession은 '경기 후퇴'라든가 '불황' 정도의─depression(침체)보다 훨씬─가벼운 의미로 쓰인다.
  이러한 정황을 고려하여 한국어상으로도 꽤 많이 등장하는 '대불황'이라고 번역해 놓으니 무슨 이유에선지 '대침체'로 바꿔 놓았다. 본래 신조어 제작 과정 자체가 꼼수이니 그 꼼수의 틀을 벗겨버리자는 깊은 뜻이기를 바란다.

※ "All of this helps explain why the promised growth did not occur: the promised supply-side effects weren't real. The economic model was wrong." 와 같은 문장에서 콜론(:)을 따로 번역해 주지 않으면 진술의 의도가 명확히 전달되지 않기 쉽다. 딱딱하게 어색하게 읽히더라도 그 연결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게 옳다고 본다. (2)안처럼 그저 매끄럽게 읽히게 하자는 욕망에서 다 걷어내 버리는 게 그렇게나 좋은가? (3)안을 택하고 싶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Inequality has been a choice

경제학; 스티글리츠

Inequality has been a choice. Beginning in the 1970s, a wave of deliberate ideological,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began to reconfigure the marketplace. At the vanguard was deregulation, which, according to adherents, would loosen the constraints on the economy and free it to thrive. Next were much lower tax rates on top incomes so that money could flow to private savings and investment instead of the government. Third were cuts in spending on social welfare, to spur people to work. Get government out of the way, it was argued, and the creativity of the marketplace─and the ingenuity of the financial sector─would revitalize society.

Things didn't work out that way. First, tax revenues plemmeted and deficits soared. Then we saw glimmers of the instability that would lie ahead─the financial crisis of 1989, which led to the economic recession in the early 1990s. Today, we can look back and see the toll of these "reforms": the worst economic crisis in 80 years, slower growth than in the preceding 30 years, and an unbridled increase in inequality. We also now know that "deregulation" is, in fact, "reregulation"─that is, a new set of rules for governing the economy that favors a specific set of actors.


1. 불평등은 지금껏 선택의 결과였다. 1970년대 이래 의도적인 이데올로기적, 제도적, 법률적 변화의 물결이 시장의 꼴을 바꿔 놓기 시작했다. 그 선봉대로 치고 나온 것은 규제 완화였다. 그 신봉자들은 규제 완화는 경제에 대한 제약을 완화해서 경제가 자유롭게 번창하도록 해 줄 것이라고 했다. 그다음은 최고 소득자에 대한 대폭적인 세율 인하였다. 그리하면 세금으로 들어갈 돈이 민간의 저축과 투자로 흘러들 것이라는 논거로 취해진 조치였다. 세 번째는 사람들이 일하도록 고무하기 위해 사회 복지 지출을 삭감하는 것이었다. 이런 조치들은 모두 정부가 가로거치지 않도록 길에서 비켜서면, 시장의 창의성─그리고 금융 부문의 기발함─이 사회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논리로 취해졌다.
    그러나 그러한 논리대로 일이 전개되지는 않았다. 첫째, 세수가 격감하면서 재정 적자가 급증했다. 이어서 앞으로 다가올 불안정의 징후가 하나둘 나타났다. 1989년에 금융 위기가 터졌고, 뒤따라 1990년대 초에 불황이 찾아왔다. 지금 시점에서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예전 1970년대 이래의 〈개혁들〉이 초래한 대가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1930년대 이래 80년 만에 최악의 경제 위기가 찾아왔고, 이전 30년에 비해 성장은 둔화됐으며, 불평등은 걷잡을 수 없이 심화됐다. 게다가 〈규제 완화〉라는 것이 실은 〈다른 형태의 규제reregulation〉, 즉 특정 부류의 행위자들에게 유리하도록 경제를 다스리는 새로운 규칙들임을 우리는 이제 잘 알고 있다.

2. 불평등은 지금껏 선택의 결과였다. 1970년대 이래 의도적인 이데올로기적, 제도적, 법률적 변화의 물결이 시장의 꼴을 바꿔 놓기 시작했다. 그 선봉에 선 것은 규제 완화였다. 그 신봉자들은 규제 완화가 경제에 대한 제약을 완화해서 경제가 자유롭게 번창하도록 해줄 것이라고 했다. 그다음은 최고 소득자에 대한 대폭적인 세율 인하였다. 그리하면 세금으로 들어갈 돈이 민간의 저축과 투자로 흘러들 것이라고 했다. 세 번째는 사람들이 일하도록 고무하기 위해 사회 복지 지출을 삭감하는 것이었다. 정부가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길에서 비켜서면, 시장의 창의성─그리고 금융 부문의 기발함─이 사회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그러나 사태는 그렇게 전개되지 않았다. 첫째, 세수가 격감하면서 재정 적자가 급증했다. 이어서 앞으로 다가올 불안정의 징후가 하나둘 나타났다. 1989년에 금융 위기가 터졌고, 뒤따라 1990년대 초에 불황이 찾아왔다. 지금 시점에서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예전 1970년대 이래의 〈개혁들〉이 초래한 대가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1930년대 이래 80년 만에 최악의 경제 위기가 찾아왔고, 이전 30년에 비해 성장은 둔화됐으며, 불평등은 걷잡을 수 없이 심화됐다. 게다가 〈규제 완화〉라는 것이 실은 〈재규제reregulation〉임을, 즉 특정 부류의 행위자들에게 유리하도록 경제를 다스리는 새로운 규칙들임을 우리는 이제 잘 알고 있다.


※ "의미가 단어를 선택하게 해야지, 그 반대가 되어서는 안 된다(조지 오웰, 1946)". 눈에 보이는 형태대로 낱말을 선택한다. 그냥 구글 검색해보고 눈에 많이 띄는 게 장땡이다. 설명해도 들으려고 하는 사람이 드물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Growing inequality has reached a near-crisis level

경제학; 스티글리츠


Growing inequality has reached a near-crisis level. This crisis, though, is different from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where the alternative to action appeared to be an immediate collapse in the economy. This is a subtler crisis, but the decision we make now will determine the nature of our economy and our society for years to come. If we take the wrong path, we are locking in greater inequality and diminished economic performance. If we take the right path, we can not only produce immediate benefits─helping preserve the middle-class life to which so many Americans aspire─but also build toward a future economy with broadly shared growth .


1. 심화되는 불평등은 이제 위기에 버금가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위기는 물론, 행동하지 않을 경우 당장 경제가 붕괴될 것만 같았던 2008년의 금융 위기와는 다르다. 불평등이 초래하는 위기는 그보다 섬세한 위기다. 비록 위급한 위기는 아니라고 해도 우리가 지금 내리는 결정은 앞으로 다가올 우리 경제와 사회의 성격을 결정할 것이다. 우리가 잘못된 길을 선택하면, 앞으로 불평등이 더 심화되고 경제적 성과가 위축되는 미래가 확정될 것이다. 반대로 우리가 올바른 길을 선택하면, 당장 이로움─수많은 미국인들이 열망하듯 중산층 생활을 방어하도록 돕는 효과─을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실이 두루 분배되는 포용적 성장의 미래 경제로 나아갈 수 있다.

2. 심화되는 불평등은 이제 위기에 버금가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위기는 물론 행동하지 않을 경우 당장 경제가 붕괴될 것만 같았던 2008년의 금융 위기와는 다르다. 불평등이 초래하는 위기는 그보다 섬세한 위기다. 비록 시급한 위기는 아니라고 해도 우리가 지금 내리는 결정은 앞으로 다가올 우리 경제와 사회의 성격을 결정할 것이다. 우리가 잘못된 길을 선택하면, 앞으로 불평등이 더 심화되고 경제적 성과가 위축되는 미래가 확정될 것이다. 반대로 우리가 올바른 길을 선택하면, 당장 이로움─수많은 미국인들이 열망하듯 중산층 생활을 방어하도록 돕는 효과─을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성장의 결실을 두루 공유하는 미래 경제로 나아갈 수 있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If the economy is not functioning as it should or could

경제학; 스티글리츠


If the economy is not functioning as it should or could, then we have available to us a much broader range of policy solutions for improving growth and equality than we typically tap. The increase in inequality and the decrease in equality of opportunity have reached the point at which individual fixes that target what we can see─fixes like modest increases in the minimum wage and reforms to educa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y─will not suffice. ( ... ... ) We need a far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hat results in improving the market distribution of income and true opportunity across generations. An essential part of this entails dealing with the outsized growth of the financial system and its effect on private-sector behavior and decision-making throughout the economy.


1. 경제가 돌아가는 꼴이 올바르지도 않을 뿐 아니라 잠재력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우리가 늘 쓰는 것들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정책 해법들을 동원해서 성장과 평등을 향상시키도록 해야 한다. 불평등이 심화되고 기회의 평등이 후퇴하는 현상은 이미 눈에 보이는 것들만 겨냥하는 개별적인─최저 임금의 소소한 인상이라든가 교육 및 교육 기회에 대한 개혁과 같은─교정책들로는 충분치 못할 지점에 도달했다. ( ... ... ) 우리에게는 훨씬 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광범위하게 표적을 설정해서 재분배 이전 단계의 소득 분배와 여러 세대를 포괄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의 향상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그중 꼭 필요한 일은 금융 시스템의 과도한 성장과 그로 인해 민간 부문의 행동과 경제 전반의 의사 결정에 파급되는 영향에 대처하는 것이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This means that we can best improve economic security

경제학; 스티글리츠


This means that we can best improve economic security and opportunity by tackling the technocratic realms of labor law, corporate governance, financial regulation, trade agreements, codified discrimination, monetary policy, and taxation. ( ... ... ) The focus here on the rules of the economy and the power to set them isn't a call for the government to get out of the way. There is rarely an "out of the way" for the government. As we said earlier, markets don't exist in a vacuum; it is government that structures markets and sets the rules and regulations under which they operate. Rules and institutions are the backdrop of the economy, and the ways we set these rules, and keep them up to date and enforce them, have consequences for everyone.


1. 이것이 뜻하는 바는 우리가 노동법, 기업 거버넌스, 금융 규제, 무역 협정, 법제화된 차별, 통화 정책, 조세와 같은 테크노크라트적 영역에서 맞서 싸워야 우리의 경제적 안전과 기회를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 ... ) 여기서 경제의 규칙과 그 규칙을 정하는 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정부더러 가로거치지 말고 길에서 비키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정부가 〈길에서 비킬〉 방도는 거의 없다. 앞서 언급했듯이 시장은 진공 속에 존재하지 않는다. 시장의 틀을 짜고 시장이 작동하는 규칙과 규제를 정하는 것은 정부다. 규칙과 제도는 경제의 배경을 이루는 것이고, 따라서 우리가 이 규칙을 어떻게 정하며 최근 상황에 맞게 갱신하고 집행하는가 하는 문제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2. 이것이 뜻하는 바는 우리가 노동법, 기업 거버넌스, 금융 규제, 무역 협정, 법제화된 차별, 통화 정책, 조세와 같은 테크노크라트적 영역에서 맞서 싸워야 우리의 경제적 안전과 기회를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 ... ) 여기서 경제의 규칙과 그 규칙을 정하는 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정부더러 가로거치지 말고 길에서 비키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정부가 〈길에서 비킬〉 방도는 거의 없다. 앞서 언급했듯이 시장은 진공 속에 존재하지 않는다. 시장의 틀을 짜고 시장이 작동하는 규칙과 규제를 정하는 것은 정부다. 규칙과 제도는 경제의 배경을 이루는 것이고, 따라서 우리가 이 규칙을 어떻게 정하며 최근 상황에 맞게 어떻게 갱신하고 집행하는가 하는 문제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People focus only on interventions against the visible tip of the iceberg

경제학; 스티글리츠


Often policymakers, advocates, and the public focus only on interventions against the visible tip of the iceberg. In our political system, grand proposals to redistribute income to the most vulnerable and to curb the influence of the most powerful are reduced to modest policies like a limited earned income tax credit or transparency around executive pay. Further, some policymakers decry the value of any interventions, suggesting that the forces at the base of the iceberg are too momentous and overwhelming to control─that globalization and prejudice, climate change and technology are exogenous forces that policy cannot address. ( ... ... ) This defeatest mentality concludes that the underlying forces of our economy can't be tackled. We disagree.


1. 정책 결정자들, 각계각층의 대변자들, 대중들은 보통 단지 눈에 보이는 빙하의 꼭대기를 겨냥하는 개입에만 주목한다. 우리의 정치 시스템을 보면, 가장 취약한 계층에 소득을 재분배하고 가장 힘센 계층의 영향력을 억제하겠다는 웅장한 제안들이 제한적인 근로 장려 세제나 고위 경영자 보수의 투명성과 같은 사소한 정책들에 머무는 게 고작이다. 게다가 아무리 개입해 봐야 소용없다며 정부 규제를 매도하는 정책 결정자들도 있다. 그들은 빙하 밑기둥의 힘이 너무 세고 압도적이어서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세계화라든가 호불호의 편견이라든가 기후 변화와 기술은 외생적인 요인들이기 때문에 정책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이다. ( ... ... ) 이 패배주의적 사고방식은 우리 경제의 기저에 흐르는 힘들과 대적할 〈수 없다〉고 결론짓는다. 우리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2. 정책 결정자들, 각계각층의 대변자들, 대중들은 보통 단지 눈에 보이는 빙하의 꼭대기를 겨냥하는 개입에만 주목한다. 우리의 정치 시스템을 보면, 가장 취약한 계층에 소득을 재분배하고 가장 힘센 계층의 영향력을 억제하겠다는 웅장한 제안들이 제한적인 근로 장려 세제나 고위 경영자 보수의 투명성과 같은 사소한 정책들에 머무는 게 고작이다. 게다가 아무리 개입해 봐야 소용없다며 정부 규제를 매도하는 정책 결정자들도 있다. 그들은 빙하 밑기둥의 힘이 너무 세고 압도적이어서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세계화라든가 호불호의 편견이라든가 기후 변화와 기술은 외생적인 요인들이기 때문에 정책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이다. ( ... ... ) 이 패배주의적 사고방식은 그 무엇도 우리 경제의 기저에 흐르는 힘들과 〈대적할 수 없다〉고 결론짓는다. 우리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TransMirror: 문장다시보기 // Today, many place their hope in the innovative revolutions

경제학; 스티글리츠


Today, many place their hope in the innovative revolutions of the 1990s and 2000s ( ... ... ) But the most important economic question is whether these technologies can help us create and distribute more growth, opportunity, and well-being to more people. Can the Internet and its yet-untapped innovative potential become the 21st century equivalent of the 20th century's manufacturing sector for Americans across income levels? Or will it add to high-rent economy we currently face? We have seen many benefits from web technology, but we haven't seen it drive broadly shared prosperity. Indeed, some new technologies may tend to lead to more concentration of income, wealth, and power.

  This is our challenge: For the promise of innovation to be realized, we must first solve the legacy of problems left to us by 35 years of suppy-side thinking and the corresponding set of rules that has reshaped all aspects of our economy and society and led to slower growth and unprecedented inequality.


1.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1990~2000년대의 혁명적인 혁신들에 희망을 걸고 있다. ( ... ... ) 하지만 경제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이러한 기술 덕분에 과연 성장과 기회와 후생을 더 많이 창출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 줄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20세기의 제조업 부문이 수행했던 것처럼 인터넷과, 아직 개척되지 못한 인터넷의 혁신적 잠재력이 모든 소득 계층을 포괄하는 21세기의 사람들에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높은 지대의 경제를 부추길 것인가? 그동안 웹 기술 덕분에 여러 가지 혜택을 누리기는 했지만, 그것이 두루 확산되는 포용적 번영을 추동하는 일은 아직 나타나지 못했다. 오히려 몇몇 신기술들은 소득과 부와 권력을 더욱 집중시킬 가능성이 있다.

  우리가 직면한 도전은 이것이다. 즉 혁신으로 열릴 수 있는 미래가 이루어지려면, 그에 앞서 지난 35년 동안 이어진 공급 측면 사고방식과 그에 준하는 규칙들이 유산으로 남긴 문제들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 그러한 사고방식과 규칙들이 긴 세월 동안 우리 경제와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측면들을 바꿔 놓았고, 성장 둔화와 전대미문의 불평등을 초래했기 때문이다.

2.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1990~2000년대의 혁명적인 혁신들에 희망을 걸고 있다. ( ... ... ) 하지만 경제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이러한 기술 덕분에 과연 성장과 기회와 후생을 더 많이 창출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 줄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20세기의 제조업 부문이 수행했던 것처럼 인터넷과, 아직 개척되지 못한 인터넷의 혁신적 잠재력이 모든 소득 계층을 포괄하는 21세기의 사람들에게 기여할 수 있을까? 아니면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높은 지대의 경제를 부추길까? 그동안 웹 기술 덕분에 여러 가지 혜택을 누리기는 했지만, 그것이 두루 확산되는 공동 번영을 추동하는 일은 아직 나타나지 못했다. 오히려 몇몇 신기술들은 소득과 부와 권력을 더욱 집중시킬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혁신이 약속하는 바를 이루려면, 우리는 그에 앞서 지난 35년 동안 이어진 공급 측면 사고방식과 그에 준하는 규칙들이 유산으로 남긴 문제들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 그러한 사고방식과 규칙들이 긴 세월 동안 우리 경제와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측면들을 바꿔 놓았고, 성장 둔화와 전대미문의 불평등을 초래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