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30일 목요일

[책] Leading from the Emerging Future: From Ego-System to Eco-System Economies (Sharmer & Kaufer, 2013)

출처: C. Otto Scharmer & Katrin Kaufer (2013), Leading from the Emerging Future: From Ego-System to Eco-System Economies, Berrett-Koehler Publishers, 2013. 312 pages.

자료: Google books ; ... 

* * *

CF. 



...



2014년 1월 21일 화요일

[기사] 금융감독위원회, 증권용어 정비 (2003년 6월)

1. 금융감독위원회, 증권용어 정비 (문화일보, 2003.6.26)

금감위는 이에따라 증권업 감독규정 등 증권 관련규정및 시행세칙에서 쓰이는 36개 외국용어를 추려내 ▲우리말 대체(8개) ▲병행 표기(4개) ▲현행 유지(24개) 등의 3단계로 구분해 순화하기로 했다. 예컨대 우리말로 대체할 경우 의미 전달이 가능한 경우라면 가급적 우리말로 변경하자는 것으로, ‘인센티브’는 성과보수로,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으로, ‘M&A’는 기업인수및 합병 등으로 각각 바꿔 사용된다. ‘리스크 관리’도 위험관리로, ‘역외펀드’는 역외금융회사, ‘딜러’는 자기매매업자, ‘숏(롱)포지션’은 매도(매수)포지션 등으로 대체된다. 우리말로 대체할 경우 의미 전달이 불분명한 용어는 우리말과 외국어를 함께 사용한다. ‘듀레이션’은 가중평균만기로, CD는 양도성예금증서, BIS는 국제결제은행, MMF는 초단기투자신탁으로 각각 표기된다. 이밖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에는 포지션, 델타, 스왑, 바스켓, 포트폴리오, 시나리오법, 매트릭스, 워런트, 콜론, 헤지 등 24개 용어가 해당된다. 
1.1. 보도자료

2. 기업은행 용어사전: 딜러(dealer)
증권회사의 고유 업무에는 위탁매매 업무와 자기매매 업무가 있다.
증권회사가 고객의 주문을 받아 자기명의로 고객(위탁자)의 계산하에 행하는 유가증권의 거래 업무를 위탁매매 업무라 하는데,이때 생기는 위탁수수료 수입은 증권회사의 주요수익 중의 하나이다.
자기매매 업무란, 증권회사가 자기의 계산하에 자기의 명의로 행하는 유가증권 거래 업무인데 우리나라에서도 증권회사들이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중요 기관투자가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매매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여기에서 전자의 업무를 행하는 증권회사를 브로커(broker)라 하고 후자의 업무를 행하는 증권회사를 딜러(dealer)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자본금 규모에 따라 브로커 업무와 딜러 업무를 겸할 수 있[다.]
...

[책] Sacred Economics: Money, Gift &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Charles Eisenstein, 2011)

출처: Charles Eisenstein (2011), Sacred Economics: Money, Gift &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North Atlantic Books | July 2011 | 496 pages.
자료: Google Books ; Amazon ; ...

주요 차례:

* * *

INTRODUCTION

PART I: THE ECONOMICS OF SEPARATION  (1)
  • Chapter 1: The Gift World  (3)
  • Chapter 2: The Illusion of Scarcity  (19)
  • Chapter 3: Money and the Mind  (33)
  • Chapter 4: The Trouble with Property  (49)─The Urge to Own (49) | The Original Robbery (53) | The Georgist Tradition (60)
  • Chapter 5: The Corpse of the Commons  (69)─Cultural and Spiritual Capital (70) | The Strip-Mining of Community (75) | The Creation of Needs (79) | The Money Power (88) 
  • Chapter 6: The Economics of Usury  (93)─An Economic Parable (95) | The Growth Imperative (100) | The Concentration of Wealth (104) | Wealth Redistribution and Class War (111) | Inflation (117) | More for You Is Less for Me (121)
  • Chapter 7: The Crisis of Civilization  (125)
  • Chapter 8: The Turning of the Age  (141)─Money: Story and Magic (141) | Humanity's Coming-of-Age Ordeal (148)

PART II: THE ECONOMICS OF REUNION (157)
  • Chapter 9: The Story of Value  (159)
  • Chapter 10: The Law of Return  (173) 
  • Chapter 11: Currencies of the Commons  (185) 
  • Chapter 12: Negative-Interest Economics  (203)─History and Background (206) | Modern Application and Theory (214) | The Debt Crisis: Opportunities for Transition (228) | Thinking for the Future (231) | More for Me Is More for You (242)
  • Chapter 13: Steady-State and Degrowth Economics  (249)─Sustainability Reconsidered (249) | Transition to Steady-State: Bump or Crash? (252) | Shrinking Money, Growing Wealth (258) | Disintermediation and the P2P Revolution (262)
  • Chapter 14: The Social Dividend  (267)─The Paradox of Leisure (267) | The Obsolescence of "Jobs" (272) | The Will to Work (277) | Who Shall Remove the Garbage? (283)
  • Chapter 15: Local and Complementary Currency  (291)─The Catch-22 of Local Currency (294) | Experiments in Local Money (303) | Reclaiming the Credit Commons (308)
  • Chapter 16: Transition to Gift Economy  (317)
  • Chapter 17: Summary and Roadmap  (331)─1. Negative-Interest Currency (332) | 2. Elimination of Economic Rents, and Compensation for Depletion of the Commons (334) | 3. Internationaliza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osts (336) | 4. Economic and Monetary Localization (338) | 5. The Social Dividend (340) | 6. Economic Degrowth (342) | 7. Gift Culture and P2P Economics (344)

PART III: LIVING THE NEW ECONOMY (347)
  • Chapter 18: Relearning Gift Culture  (349)
  • Chapter 19: Nonaccumulation  (365)
  • Chapter 20: Right Livelihood and Sacred Investing  (379)─The Dharma of Wealth (379) | Robbing Peter to Pay Paul (382) | Old Accumulations to New Purposes (390) | Right Livelihood (396)
  • Chapter 21: Working in the Gift  (401)─Trusting Gratitude (401) | Business in the Gift (406) | The Sacred Professions (412)
  • Chapter 22: Community and the Unquantifiable  (419)
  • Chapter 23: A New Materialism  (427)
Conclusion: The More Beautiful World Our Hearts Tells Us Is Possible (437)
Appendix: Quantum Money and the Reserve Question  (447)
Bibliography  (459)
Index  (465)

* * *

CF.

Erik CurrenCharles Eisenstein wants to devalue your money to save the economy (Transition Voice, Aug 2012)

http://keithpp.wordpress.com/2014/02/03/sacred-economics/

2014년 1월 16일 목요일

Dic: bookrunner, book runner, lead manager, lead-left bookrunner ...


1. Investopedia: Book Runner
The main underwriter or lead manager in the issuance of new equity, debt or securities instruments. In investment banking, the book runner is the underwriting firm that "runs," or who is in charge, of the books. A large, leveraged buyout could involve multiple companies, and the book runner works with the other participating firms. Typically, one company takes the responsibility of "running" or handling the books, and the book runner is listed first among the other underwriters participating in the issuance. More than one book runner can manage a security issuance, in which case the involved parties are called "joint book runners." 
Also called managing underwriter or syndicate manager
In investment banking, a syndicate is comprised of a group of underwriters who are responsible for placing a new equity, debt or security issue with investors. The book runner typically assigns parts of the new issue to other underwriting firms for placement, while keeping the largest part for itself. The book runner syndicates with other underwriting firms in order to reduce its risk in the issuance of the new equity, debt or security.
2. Campbell R. Harvey: Book runner (via Financial Dictionary)
The managing underwriter for a new issue. The book runner maintains the book of securities sold.
3. Farlex Financial Dictionary: Lead Arranger (via Financial Dictionary)
In investment banking, an underwriting firm that leads a syndicate. A syndicate is a group of underwriters responsible for placing a new issue of a security with investors. Every syndicate is a temporary arrangement. The lead arranger assigns parts of the new issue to other underwriters for placement and usually takes the largest part itself. It is also called a managing underwriter or a syndicate manager or, less formally, a book runner.
4. Bankopedia: Bookrunner
Bookrunner is a bank appointed to run the books during the execution phase of syndication or during the security issuance, with responsibility for issuing invitations, disseminating information to interested banks and informing both the borrower and the management group of underwriters of daily progress. In security issuance deals there is usually more than one bookrunner, and they are called joint bookrunners. However, if there is no further syndicate involved in the execution of the offering, the bank executing the deal is called the sole bookrunner.
People came here searching for:
5. Financial Times LEXICON: lead-left bookrunner
Lead-left bookrunner is the major bank within a bank syndicate, the group of banks who work together to underwrite a financial transaction, such as an initial public offering or a bond issue.
As syndicates have grown to include more banks, the title 'lead-left' is used to indicate the bank that ha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transaction, and has been involved in the deal from an early stage.
The term evolved from the position of bank names in deal documentation – the most important bank being named first, in the upper left hand corner of a prospectus.
One cannot call a left-lead bookrunner the sole bookrunner if there were other bookrunners on the deal. Even if they were more junior in terms of role.
Defining the roles played within a syndicate is crucial in determining banks' league table positions. League tables are the main ways in which banks measure their performance against each other. Achieving a top ten position in a league table is also seen as an important tool for winning further client business.
Left leads have definitely played the most prominent role amongst a syndicate of banks. The term can apply to any type of transaction, be it bonds, equities or loans.
Example
League table 'credit' is awarded commensurate with the importance of the role. Credit will be split equally among underwriters that are identified in a deal's prospectus as joint bookrunners or co-bookrunners, for example, while banks identified as 'left lead' receive more league table credit. [1]
6. WallStreetOasis.com: Lead Manager vs Bookrunner
(6.1) Being the lead manager in a deal means that you are structuring the deal. They don't want clients at other banks knowing this, but most of the profits from the deal can be gotten by what they call "the skim" (at least at my banks). Its basically the amount they can sell to the institutional public above the price they underwrote it for for the company. The lead manager makes all the decisions about price, timing, how to run the roadshow, what type of auction they will pursue, who gets stock, etc. The bookrunner is usually the lead manager but doesn't have to be. They are basically in charge of "keeping the book" which simply means keeping record of who bought shares for how much. Every bank wants to be the lead manager, because that means they get the best price for themselves and their customers, meaning fatter commissions.
Usually to get to the most customers there are as many as twelve other syndicate banks, who buy blocks of stock to sell to their clients for higher prices than they bought it for. But they are kind of along for the ride. ( ... )
(6.1.1) I am pretty sure this only applies to I-Grade deals these days. Pretty much every HY issue has been best efforts meaning the bookrunners (lead and one to 3 co-books) share the majority of the execution and diligence with several co-managers helping to syndicate. In a typical HY deal with 200 bps in fees, the bookrunner will split at least 150bps with the 4-5 other comanagers just getting a small piece of the 50 bps.
( ... ... )
7. InvestmentBankingInsight.com: Lead Left Bookrunner
The “Lead Left” Bookrunner is the investment bank chosen by a client to lead a capital markets transaction and is usually identified as the upper-left hand bank listed on the offering document cover.  Typically the Lead Left Bookrunner has been involved in the proposed deal from the onset and largely controls transaction details (roadshow and marketing process, updates with capital markets desk, drafting of offering documents, diligence sessions, etc) and generally gets a better economic position in the transaction and is likely to be selected for other deal functions (such as stabilization agent or structuring agent).
Why is being the Lead Left Bookrunner important?  Being on the left is the most prestigious position for a bank to have on a transaction – the managing director who wins the deal gains status with other potential clients in the same sector who may consider a similar transaction at some point in the future.  Winning enough deals can establish a bank as the de facto “expert” in that category of transaction for that sector.  Consistently being the Lead Left Bookrunner indicates that a bank is very well plugged-in to an industry (or deal type – ie one bank may do a significant number of high yield bond deals in the media industry).  The insights gleaned (both industry knowledge and deal execution experience) from leading deals is critically important in building and broadening client relationships for the senior bankers.
What does being “on the left” mean for the junior banking team? Put simply: more work.  If one were just to calculate economic benefit per man-hour expended, being a non-Left Bookrunner would be much more financially lucrative than being on the left.  Often the non-Left Bookrunners will participate in the initial organizational meeting and subsequent drafting and diligence sessions, but the Left Bookrunner will drive 99% of the marketing materials, financial document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modeling.
...

[기사 읽기] 돌아온 산업은행, 환영 받으려면 (더벨, 2013)


※ 발췌:

돌이켜 보면 2009년 MB 정부의 산업은행 민영화 계획이 전혀 말이 안되는 것은 아니었다. 한국 경제는 개발도상국을 지나 선진국 대열에 당당히 합류해 가는 상황이었고, 그런 실물경제의 흐름에 맞추어 금융시스템 역시 은행 중심에서 여타 선진국 수준의 금융시장 중심으로 전환이 필요했다. 개발 경제 시대의 개발금융을 제공하는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수명은 끝난 것으로 보였다. 

기업금융 부문에서 압도적인 노하우와 탁월한 역량을 갖춘 산업은행을 여차저차해서 인수하게 된 대우증권과 묶어 CIB(Corporat & Investment Bank) 모델로 민영화한다는 게 그럴싸해 보였다. 기업금융 중심의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겸비하겠다는 이 모델은 한편으로는 양다리 걸치기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당사자들 입장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미래였을 것이다. 산업은행을 민영화해 한국판 골드만삭스로 만들지 않으면 한국 자본시장은 외국 투자은행들의 놀이터가 될 것이라는 당시의 여론몰이에는 여전히 동의할 수 없지만 말이다.

민영화 논의는 끝났다. 이제 산업은행은 제 몸의 일부였던 정책금융공사를 다시 흡수하고, 정책금융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산은캐피탈 산은자산운용 대우증권 등 계열 자회사들을 매각한 후 원래의 자신으로 돌아가야 한다. [ ... 중략 ... ]

한국 기업이나 금융의 역사에서 산업은행의 공로는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개발금융 시대를 지나 외환위기 이후만 하더라도 금융시장이 붕괴될 때마다 구세주로 등장한 것은 산업은행이었다. 지금 세계 무대를 주름잡고 있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과거에는 산업은행의 품 안에서 보호를 받으며 성장하지 않었던가. 망해가던 현대건설을 살릴 때도, 어쩌면 외국에 헐값으로 넘겨졌을 지 모를 하이닉스를 구할 때도 산업은행은 주역이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는 대주단협약을 주도해 건설사 등의 집단 부도사태를 막아냈고, 발행시장 CBO(Primary CBO)를 활용해 중견·중소기업에 자금의 물꼬를 터주지 않았던가. [ ... 생략 ... ]



2014년 1월 15일 수요일

[메모] Books and columns for Post-Growth Society, Its Strategies and Designs

... ... ...

Samuel Alexander (2014). Life in a ‘degrowth’ economy, and why you might actually enjoy it (The Conversation, Oct 2014)

Giacomo D'Alisa, Federico DeMaria, Giorgos Kallis (2014). Degrowth: A Vocabulary for a New Era. Routledge. Nov 2014

Stunt the Growth: The “degrowth” movement could help fight climate change, government surveillance, and other 21st-century ills (Evgeny Morozov | Slate, Jan 2014)

Charles Eisenstein (2011), Sacred Economics: Money, Gift & Society in the Age of Transition, North Atlantic Books (July 2011)

IPAT and the end of growth (André Reichel, Nov 2013)

Green growth vs. Postgrowth – Where the twain can meet (André Reichel, Dec 2013)

#232: Welcome to the Post-Growth Economy (Richard Heinberg, Sep 2011)


Green European Foundation (2014), A Post-Growth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An executive summary (Jan 2014): PDF

Peter A. Victor (2008), Managing Without Growth: Slower by Design, Not Disaster (Edward Elgar Publishing, UK): Google books;


2014년 1월 14일 화요일

Dic: alternative investment (대체투자, 대안투자)

1. Farlex Financial Dictionary (via Financial Dictionary)
Any investment other than a stock, bond, or cash. Prominent examples include derivatives, hedge funds, real estate, and commodities. Most of the time, institutional investors and high net-worth individuals are the main holders of alternative investments. This is because they are subject to fewer regulations and are consequently riskier than most other investments. Alternative investments are rarely required to publish independently verifiable financial information. They also have particularly high minimum investments, which discourage casual investors. Alternative investments are controversial in many quarters. Because of the comparative lack of regulation and disclosure, they are subject to scrutiny from politicians and economic analysts. However, they often have high (sometimes very high) returns. 
2. Wikipedia (as of Jan 2014)
An alternative investment is an investment in asset classes other than stocks, bonds, and cash. The term is a relatively loose one and includes tangible assets such as precious metals,[1] art, wine, antiques, coins, or stamps[2] and some financial assets such as commodities, private equity, distressed securities, hedge funds, carbon credits,[3] venture capital, film production[4] and financial derivatives. Investments in real estate and forestry[5] are also often termed alternative despite the ancient use of such real assets to enhance and preserve wealth.  ( ... ... )

( ... ... )대체투자 또는 대안투자(Alternative Investment·AI)는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인 투자상품(traditional investment)과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주식과 채권을 제외한 모든 투자상품을 뜻한다. 대표적인 대체투자 상품에는 사모펀드, 헤지펀드, 부동산, 벤처기업, 원유 금 비철금속(원자재), 선박 등이 있다. 대체투자는 전통적인 투자와 투자 대상이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상품인데도 서로 다른 가격에 거래되는 점을 이용해 수익을 올리는 아비트라지(arbitrage·재정거래) 등 새로운 투자전략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 ... )
...

2014년 1월 13일 월요일

Dic: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s)

자료 1: 한국투자공사(Korea Investment Corporation), 2014년 1월 접속

(1) 국부펀드의 정의: 
국부펀드란 국가가 자산을 운용하기 위해 설립한 특별 투자펀드로서 국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재원에 따라 크게 상품펀드와 비상품펀드로 구분하며, 주식, 채권, 부동산 또는 천연자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산을 대상으로 투자를 합니다. 국부펀드를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는 그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미래세대를 위한 부를 축적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 또는 현존하는 국가수입원의 고갈, 해당 재원의 가격 리스크에 대한 대비책으로, 외환보유고와 같은 정부자금을 통해 운영되는 국가적 차원의 자금운용기관으로 설명 될 수 있습니다.
“A sovereign wealth fund is a government investment vehicle funded by foreign exchange assets which manages those assets separately from official reserve.” U.S. Treasury Department (2007.6)
“Sovereign wealth funds (SWFs) are defined as special purpose investment funds or arrangements, owned by the general government. Created by the general government for macroeconomic purposes, SWFs hold, manage, or administer assets to achieve financial objectives, and employ a set of investment strategies which include investing in foreign financial assets. The SWFs are commonly established out of balance of payments surpluses, official foreign currency operations, the proceeds of privatizations, fiscal surpluses, and/or receipts resulting from commodity exports.”
IMF working definition(2008.10)
(2) 국부펀드의 배경 및 동향
국부펀드의 상당수는 이미 오래 전부터 원유를 수출하는 중동 지역의 국가들에 의해 운용되고 있었습니다. 주 예로 쿠웨이트의 KIA는 1953년, 또한 세계 최대의 국부펀드로 알려진 UAE의 아부다비투자청(ADIA)도 197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다만 2000년대에 들어 지속적인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산유국들이 집중된 중동국가 등이 대량의 오일머니를 축적, 또한 90년대 말 아시아 국가들이 외환위기 이후 경상수지 흑자를 통해 외환보유액을 막대하게 축적시키며, 공공자금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국부펀드를 새롭게 출범시켰습니다.
Sovereign Wealth Fund Institute/The CityUK 자료에 따르면 2010년말 기준 세계 국부펀드의 규모는 4.2조 달러로 추정되며 이는 상품가격 강세, 신흥국 무역흑자 확대, 글로벌자산가격 상승 등을 바탕으로 2012년까지 5.5조 달러의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 중 2/3에 달하는 2.7조 달러는 상품수출을 기반으로 재원을 두고 있으며, 비상품 (외환보유액, 민영화 수익 등)을 기반으로 하는 국부펀드는 1.5조 달러로 나머지 1/3을 차지합니다.
시기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2007년 하반기~2008년 1/4분기 중 대규모의 해외투자의 시행, 그 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08년 후반~2008년 초) 함께 해외투자의 자제, 2009년 후반 이후 해외투자의 재개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국부펀드들의 투자 대상은 과거 수익률이 낮은 선진국 통화나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에서, 투자다변화를 통한 리스크관리 강화 및 수익률 제고 측면에서 신흥시장 회사채나 주식, 원자재와 같은 대체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향후, 상품가격의 강세, 신흥국의 외환보유액 증가 등으로 기존 국부펀드의 규모 증가 및 신규 국부펀드의 설립에 대한 논의는 가속화될 것이며, 국제금융시장에서 이들의 자금 공급원의 역할은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투자대상국 (recipient country)의 보호주의 확대 등 다양한 이슈들이 부각되며, 국부펀드의 투명성 강화에 대한 논의도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3) 국부펀드 관련 정책/투명성 이슈: ...


※ 발췌: II. 국부펀드의 의의 및 유형 > 1. 국부펀드의 의의 및 특징 > 가. 국부펀드의 개념:
국부펀드(SWF)란 정부가 소유 또는 관리하는 공공자금을 출자하며 설립한 투자 펀드 또는 기구를 의미한다. 국제기구 및 주요국 정부에서는 국부펀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IWG(2008)[n.1]는 국부펀드를 일반정부에 의해 소유 또는 관리되고 있는 특별 투자펀드라고 규정하였으며, 미국 재무부는 외환보유액과는 별도로 관리되는 정부투자기구로 규정하였다. 또한 IMF(2008)는 정책적 목적을 위한 투자펀드로, OECD(2008)는 국가 차원의 정책적 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자산풀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국부펀드는 국가가 소유 또는 관리한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외환보유액(foreign reserves)과는 구별된다. 외환보유액은 토상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대외지급준비자산을 말한다. 즉 외환보유액은 위기시 긴급한 대외지급, 시장개입 재원 등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국가 비상금이므로 수익성보다는 안전성과 유동성 위주로 운용되는 반면, 국부펀드는 국부 증식을 위해 외환보유액보다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수익 추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외환보유액과 차이가 있다.
   1990년대 말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 국가 및 대부분의 신흥국드은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외환보유액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왔다. 이중 일부 국가드은 2000년대 이후 국부펀드를 설립하고 외화자산의 일부를 외환보유액과 별도로 관리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중국, 홍콩, 싱카포르 및 한국 등을 꼽을 수 있다. 반면 일본, 대만, 인도 등은 외환보유액 보유 규모가 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부펀드를 운용하고 있지 않으나 계속적으로 됩을 검토 혹은 진행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국부펀드는 한 나라의 연금·기금과도 상이한 투자펀드로 인식된다. 특히 연기금의 경우 연금 수혜자 등에 대한 확정 채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국부펀드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 ... ... ) 
   즉 국부펀드는 일반적인 연기금 등 국가 소유 펀드 및 일반 펀드와 소유권(ownership), 지배구조(governance), 채무(liability), 수혜자(beneficiary) 등의 네 가지 항목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시 말하여, 국부펀드는 정부가 펀드를 소유 또는 지배하고, 직접 또는 독립적 기구의 설립을 통해 운용한다. 또한 명시적인 직접적 채무 관계가 없거나 직접적인 비정부 관련 부채가 없으며 명시적 수혜자도 정해져 있지 않다는 특징을 가진다. 
나. 국부펀드의 발전: ... ... 
... 

어떤 건강·의료 서적을 보다가

출처: 전홍준 지음, 
《비우고 낮추면 반드시 낫는다》 (에디터, 2013년 11월)

1. 
1970년대에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지내는 동안 많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수술이나 약물만으로는 완치되지 않고 평생 약을 써야 하는 경우를 자주 겪었다. 이처럼 현대 의학으로 고칠 수 없는 경우들을 만나면서 의사 일에 회의가 들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1984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지역사회의학센터에서 야채 과일 절식, 수(水) 치료, 흡각요법, 마사지, 침술, 명상 등 동양의 전통 의학과 유사한 치료를 하는 자연치료센터가 운영되는 것을 보게 된다. 서양의학만을 배운 지은이는 이 일을 계기로 자연치료 의학을 배우기 시작했다. 
  1980년대 후반 일본과 미국으로 건너가 자연치료와 정신의학을 배우고, 1991년에서 1992년 까지는 ... 의사 디팍 초프라로부터 인도의 전통 의학 아유르베다의 전 과정을 배웠다. ... 외과 전문의이자 의학박사인 지은이는 지난 30년 동안 배우고 연구한 자연치료 의학 분야의 성과와 임상 경험을 서양의학과 하나로 통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인치유 의학을 추구하고 있다. 저서와 옮긴 책으로는 《완전한 몸, 완전한 마음, 완전한 생명》, 《유쾌한 쾌요볍》 ... 등이 있다. 
.... 지은이 소개 중에서

2. 머리말: 인간 전체를 치유하면 모든 병이 낫는다
내 동료 의사들은 나를 이상한 의사라고 부른다. 수술이나 약은 쓰지 않고 무슨 생채식이나 절식을 하라든가, 병이 다 나았다고 믿고 건강만 바라보라든가 하는 식으로 환자들을 가르치고 있으니 내가 보기에도 상식적인 의사가 아닌 것만은 분명한 것 같다.
   그런데 내가 왜 이상한 의사 노릇을 하고 있는가 하면, 이런 방법이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나는 지난 30년 동안 이처럼 쉽고도 단순한 방법을 써서 병도 낫고 삶의 질도 좋아진 사람들을 수없이 많이 보아 왔다. 그러니 계속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1970년대 말, 나는 의과대학을 졸업한 직후 광주기독병원에서 외관 수련을 받았다. 그 당시 우리를 가르친 스승은 디트릭(R. B. Dietrick)이라는 미국인 선교 의사였다. 이분의 의술, 특히 수술 솜씨는 얼마나 뛰어났던지 모두 감탄을 금치 못했다. 별명이 ‘신의 손’이었다.
   이처럼 위대한 외과 의사 밑에서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전문의가 되어 세상에 나왔을 때는 ‘나는 어떤 어려운 병도 다 고칠 수 있겠구나.’ 하는 자만심, 그런 교만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종합병원의 외과과장이 되어 많은 환자를 보게 되었는데, 얼마 안 가서 나의 교만한 자신감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내가 수술한 암 환자가 재발하여 다시 찾아와 임종을 지켜보는 괴로움도 겪게 되고, 만성 통증 환자들이 수술이나 약물 치료만으로는 깨끗하게 낫지 않아 마음이 불편한 일도 자주 있었다. 고혈압, 당뇨, 류머티즘, 피부병, 만성간염 환자들이 평생 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경우는 너무나 많았다. 이처럼 현대 의학으로 고칠 수 없는 무력한 경우들을 만나면서 내가 하는 일에 회의가 들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1984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의 지역사회의학센터를 방문한 기회가 있었는데, 마침 그곳에서 작은 규모의 자연치료센터가 운영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요즘 말로 대체의학 또는 통합의학 클리닉 같은 진료실이었다. 야채 과일 절식, 수(水) 치료, 흡각요법, 마사지, 침술, 명상 등 동양의 전통의학과 유사한 치료를 하고 있어서 서양의학만을 배우 나에게는 신선하게 비쳤다. 이 일이 계기가 되어 자연치료 의학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1986년, 나의 클리닉에서는 현대 의학이 포기한 두 명의 중환자가 좋아지는 극적인 일이 일어났다. 치료 불가능이라는 진단을 받고 절망에 빠져 있던 60대 간암 환자와 40대 심장병 환자가 비슷한 시기에 찾아왔다. 그때 나는 와타나베 쇼(일본 자연의학연구소 의사)와 마나키 요시오(기타사토대학 동양의학종합연구소 교수)의 저서를 보고 있었다. 그 책들의 요점은 현대 서양의학이 병만 보고 인간 전체를 보지 못하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병이 잘 낫지 않으며, 삶의 방식을 자연의 질서에 맞추면 병은 저절로 낫는다는 것이었다. 환자들과 나는 책을 보면서 실험을 시작하였다. 약 6개월 후에 두 사람의 병증은 모두 사라져 버렸다. 놀라운 일이었다. 왜 좋아졌는지는 나도 알 수 없었다.
   나는 모든 일을 미루고 일본 도쿄에 있던 두 명의 의사를 찾아갔다. 이 방문을 통해서 하나의 큰 가르침을 얻게 되었다. 어려운 난치병은 자연계에서 사람과 사람이 기르는 짐승들에게만 발병한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사람만이 자연의 질서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며, 자연의 질서로 돌아가면 병은 저절로 낫는다고 했다.
   나는 일본에서 몇 달 동안 머물면서 많은 자연치료 의사들로부터 새로운 의학의 세계를 배우게 되었다.  오사카대학의 고오다 미츠오 교수, 후쿠오카의 안도 의사, 도쿄의 모리시타 교수, 특히 세계적인 예방의학자이자 일본 대체의학의 대부 격인 마루야아 히로시 교수는 나에게 한국의 ‘동의보감’과 인도의 ‘아유르베다’를 꼭 공부하라고 당부하였다. 그해 가을 나는 미국을 방문하였는데, 하버드보건대학원의 심장병 전문의 버나드 로운 교수로부터 《자연치료백과사전》, 《자연요법의 실제》 등 하버드프레스센터의 출판물을 선물로 받았다.
*
이 책의 첫 번째 이야기 ‘자연을 따르면 저절로 낫는다’는 주로 이 의사들로부터 배운 지식을 나의 환자들에게 응용한 임상체험기라 할 수 있다. 이 의사들로부터 배운 바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치유의 힘은 의사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연으로부터 나온다’, ‘병을 고치려고 하지 말고 병을 가진 인간 전체를 치유하라.’이다. 
   이때부터 나는 전혀 다른 모습의 의사가 되었다. 기계론적인 의과 의사에서 생기론적인 자연치유 의사로 바뀐 것이다. ‘아! 이제 내가 제대호 된 의학을 만났구나.’ 나에게는 또 다른 자만심이 생겼다. 그러나 그 생각 또한 하나는 알고 둘을 모르는 좁은 소견이었다. 똑같은 병증을 가진 두 명의 환자에게 똑같은 자연치료법을 썼는데 어떤 환자는 좋아지고, 어떤 환자는 좋아지지 않는 일이 늘 있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그 후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는 사실을 마음의학 전문가들로부터 배우게 되었다. 일본의 심신의학자 도쿠히사의 ‘마음과 몸의 운명’, 다니구치 마사하루의 ‘생명의 실상 프로그램’, 미국의 방사선과 의사 칼 사이먼튼의 ‘긴장이완과 상상법’ 프로그램을 통해서 ‘생각을 바꾸면 낫는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이 책의 두 번째 이야기 ‘생각을 바꾸면 낫는다’는 주로 이와 같은 심신의학자들로부터 배운 바를 나의 환자들에게 적용함으로써 얻은 임상 체험담이다. 1991년과 1992년, 연구교수로 미국 위스콘신대학에서 의학사와 의확 철학의 펠로우십 과정을 밟게 되었다. 나는 이 시기에 의사 디팍 초프라로부터 인도의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의 전 과정을 배울 수 있는 행운을 얻었다. 아유르베다의 주요 훈련 과정인 ‘초월 명상’을 통해 순수의식의 세계를 접하게 되었고, 그 후 정신과 의사 데이비드 호킨스의 ‘의식 혁명 프로그램’을 통해 자아를 초월한 순수의식의 세계가 명백한 현실로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1994년에는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해리 팔머가 개발한 ‘아바타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이수하게 되었다. 나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가르치는 교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서 내가 배운 바는 ‘모든 사람은 한정된 육체가 아니며,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영적 존재’라는 것이다.
   이 책의 세 번째 이야기 ‘비우고 낮추면 생명이 보인다’는 바로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서 얻게 된 영적 체험과 생명의 실상에 대한 이야기다.
   네 번째 이야기 ‘자연치유를 추구하는 세계의 의사들’은 첫 번째부터 세 번째 이야기까지 등장하는 의사들 중에서 대표적인 몇 명을 뽑아 그들의 의학 사상을 소개하는 것이다.
   자연치유의 철학적 배경은 전체성 의학(holistic medicine), 곧 인간 전체를 치유하는 의학이다. 그 사람의 몸, 마음, 영성이라는 세 개의 차원에 대한 통합적 치유를 추구하는 것이다. 책의 첫 번째 이야기는 몸의 치유이고, 두 번째는 마음의 치유, 세 번째가 영성의 치유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옛 가르침에 타성일편(打成一片)이라는 말이 있다. 모든 이론, 모든 진리 체계를 때려 부수어서 간단한 하나의 체계를 만든다는 뜻이다. 이 책의 세 번째 이야기 ‘비우고 낮추면 생명이 보인다.’는 여러 가지 다양한 양생 의학의 체계를 묶어서 타성일편이 되도록, 서투르지만 내 나름대로 시도해 본 것이다.
   이 책의 이야기 가운데는 전문가의 눈으로 볼 때 동의하기 어려운 내용이 여기저기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인정한다. 어떤 것들은 너무나 비과학적이어서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정통 의료계에서는 의학과 건강법에 대해 이야기할 때 흔히 과학적인 근거가 있어야 한다든디 객관적인 재현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들을 강조한다. 하지만 의학과 과학은 동의어가 아니다. 의학은 과학이면서도 철학, 심리학, 사회학, 종교, 나아가서는 인간 삶의 모든 것이 다 어우러져 있는 종합예술과 같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의학을 과학의 한계 속에 가두어 버리면 많은 것을 놓치고 만다. 과학이 아니면 의학이 아니라고 고집한다면 이는 마치 대롱으로 하늘을 쳐다볼 때 대롱 속에 비치는 하늘만 하늘이고, 대롱 밖의 하늘은 하늘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수천 년의 의학의 역사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하나의 교훈은 건강과 질병을 규정하는 단일 이론은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산 정상에 오르는 길이 여러 갈래가 있듯이 건강과 질병을 설명할 수 있는 길도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의학의 여러 가지 모습들도 서로 다른 장르의 예술을 감상하듯이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의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예술작품 감상하듯 너그럽게 음미해주시면 고맙겠다.
   어떤 분이 이 책을 읽고 “당신의 이야기는 비약이 심하다. 이것은 비과학적인 사변이며 신비주의가 아닌가?”하고 묻는다면, 나는 “예, 당신 말씀이 맞습니다.”라고 답하겠다. 자연과 생명은 기존의 낡은 과학적 세계관의 틀에서 비약해야만 알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연과 생명의 본성은 과학 너머에 있으며, 그 핵심은 본래가 신비부사의(神秘不思議)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당신 이야기 가운데 비상식적인 것이 많다.”고 한다면, 나는 또 “맞는 말씀입니다.”라고 하겠다. 자연과 생명은 우리가 붙들고 있는 상식 너머로 갈 때만 알 수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동안 가정이나 학교에서 보고 배운 주입된 상식─병은 나쁜 것이다. 그러니 병은 수술이나 약물로 제거해야만 한다─와 같은 허구의 최면에서 깨어나지 않는 한 자연과 생명에 대해서는 끝끝내 알 수가 없을 것이다. 건강과 질병의 신비는 영원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와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인간의 지성으로는 건강과 질병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것을 의학의 역사는 가르쳐 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 진실처럼 믿고 있는 정통 의학의 지식 체계 대부분은 결코 영구불변의 진리가 될 수 없다. 나는 한때 미국의 의학사도서관에서 약 150년 전에 창간된 외과 계통의 학술지를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오늘날 우리 외과 의사의 눈으로 볼 때 초창기 외과 의사들의 수술 방법이나 치료법들은 너무도 어처구니없는, 정말 말도 안 되는 것들이 많았다.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치료법들, 이를테면 암에 대한 3대 요법인 수술, 항암 요법, 방사선 치료에 대해서 수백 년 후의 의사들은 또 어떤 눈으로 바라보게 될까?
   대부분의 의사나 환자들이 지금 진실처럼 믿고 있는 과학적 의학도 다음 세대에는 미신이 될 수 있다. 과학적 의학을 포함한 모든 의학 체계는 그 시대 사람들이 믿고 따르는 하나의 집단적인 신념 체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무엇에 대해 옳다 그르다 말하기보다는 어떤 관점에서 볼 때만 그것이 옳다 그르다 말해야 한다. 그러므로 나는 이 책에 나온 나의 이야기들도 할상 옳다고 주장할 마음이 없다. 그렇지만 이 우주에서 영원히 변하지 않은 하나의 진실이 있다면 ‘신념이 경험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무엇을 현실로 경험하려면 그것을 믿어야만 한다.
   이 책의 마지막에 실려 있는 ‘자연 치유 진료실’의 실천법들은 아주 쉽고도 단순하다. 하지만 그것을 믿고 실처한다면 건강 개선과 삶의 변화에 획기적인 대전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
이 책은 그동안 자연과 생명의 도리를 일깨워 준 많은 스승의 가르침의 소산이다. 이분들께 감사한다. 나 같은 부족한 의사에게 소중한 몸을 맡겨 주신 많은 환자들께도 특별히 감사드린다. [ ... 중략 ... ] 지금도 우리 모두의 생명을 주관하며 치유해 주고 있는 자연과 하늘에 감사한다. 

... 2013년 11월 
전홍준


2014년 1월 11일 토요일

[책] Money: The Unauthorized Biography (Felix Martin, 2013)

출처: Felix Martin (2013), Money: The Unauthorized Biography, Bodley Head (6 Jun 2013)
자료: Amazon ; ...

주요 차례:
1. What is Money?  (1)
2. Getting Money's Measure  (31)
3. The Aegean Invention of Economic Value  (50)
4. Financial Sovereignty and Monetary Insurrection  (66)
5. The Birth of the Money Interest  (81)
6. The Natural History of the Vampire Squid  (95)
7. The Great Monetary Settlement  (109)
8.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Mr Locke  (122)
9. Money Through the Looking-Glass  (138)
10. Strategies of the Sceptics  (152)
11. Structural Solutions  (168)
12. Hamlet Without the Price: How Economics Forgot Money...  (188)
13. ... and Why it is a Problem  (209)
14. How to Turn the Locusts into Bees  (227)
15. The Boldest Measures are the Safest  (248)
16. Taking Money Seriously  (263)
Notes  (281)
Bibliography  (305)
Acknowledgements (313)
...
* * *
CF:

What is Money? ... and Why Does it Matter? (Felix Martin, Nov 2013)

Gold Rush: A good guide to the stuff in our pockects (The Economist, May 2013)

Money: The Unauthorised Biography by Felix Martin – review (Ian Birrell, The Observer, Jun 2013)

Money: The Unauthorised Biography by Felix Martin – review (David Priestland, The Guardian, Jun 2013)

Money by Felix Martin, review (Noel Malcolm, The Telegraph, Jun 2013)

...

2014년 1월 10일 금요일

[다시 읽기] 불필요한 너울로 변한 상품의 낭비가 소비자본주의를 지탱해주는 본질이다


※ 클라이브 해밀턴의 《성장숭배》 (2011) 중 
3장 "개인의 정체성", 4절 "과소비' 에서 발췌

[ ... 전략 ... ] 지금까지 우리는 소비하는 이유가 더 이상 인간의 욕구 충족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해왔다. 현대 사회에서 소비의 목적은 정체성을 만들어내는 일이다. 예전에는 소비지출의 성격이 부의 과시를 통해 지위를 획득하려는 행동이었는데, 이제는 일정한 제품이나 브랜드를 동원해 자아를 만들어내려는 행동으로 바뀌었다. 제품이 그 본래의 쓸모는 도외시된 채 라이프스타일의 장식품으로 변해버린 것은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과정과도 직결되는 문제가 되었다. 제품이 라이프스타일을 꾸미는 장신구처럼 쓰이려면, 제품 자체의 본래적 기능 외에 추가되는 사양이 있어야 하고, 그로 인해 추가되는 비용이 제품 가치에 더해져야 한다. 이렇게 추가되는 비용으로는 제품을 차별화하는 데 드는 비용도 있고, 제품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도 있다. 지금은 모든 소비재에 거의 예외 없이 부가되는 고급스러움과 모양새를 강조하는 사양들이 가격을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식료품, 주거, 의류, 교육, 오락 등 그 쓸모에 맞게 웬만한 사양의 제품을 만드는 데 들어가야 할 비용의 몇 배에 달하는 수준까지 제품 가격이 부풀려진다. 2천 달러에 팔리는 손목시계, 700달러짜리 선글라스, 200달러나 하는 운동화와 셔츠들, 고도의 공학이 동원된 각종 장치에다 고급스럽게 치장된 5만 달러를 넘는 승용차들, 생활에 필요한 면적의 두 배나 되는 주택들……. 이 모든 것들은 필요 이상으로 구색을 갖춘 것들인 데다, 어떤 경우에는 소비자가 알 수도 없는 사양들까지 갖추어진 채 팔리는 상품들도 있다. [ ... 중략 ... ]

  이러한 가치 부풀리기는 시스템의 재생산에서 아주 본질적인 과정이다. 왜냐하면 수십 년 동안 경제성장을 지속해서 높아진 소득을 지출할 곳이 있어야 하고, 또 지출해야만 경제성장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구상에서 앞서가는 나라들을 보면 세련된 수준의 욕구까지도 웬만한 것은 다 누리며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도, 그곳 사람들이 사는 모습은 수수께끼만 같다. 즉 사람들은 계속해서 돈을 써야하고, 돈을 더 많이 쓰도록 사람들을 설득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오늘날 소비지출 총계 중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취득이 목적이 아니라, ‘지출하는 행위 자체’가 오락거리에 해당하는 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일과 가족에 권태를 느끼는 어느 의사는 오락거리가 잠시라도 끊어질세라 항상 뭔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찾아나선다. 종종 개조와 수리가 필요한 별장을 새로 구입한다든가, 바닷가에 또 다른 주택을 장만한다든가, 교외에서 여가를 즐기기 위한 농장을 마련한다든가, ‘직업개발’을 위해 해외연수를 떠나기도 한다. 또 경주마의 지분을 매입하기도 하고 가끔씩 자신이 사는 집을 확장하는 공사를 벌이기도 한다. 이러한 행태는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과잉소비자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이런 사람은 자신의 부를 갖가지 형태로 벌여놓는 일에 몰입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현실 생활의 바로 밑에 도사리고 있는 공허함을 대면하기 두려워하며 무의미한 삶의 본질을 애써 회피하려는 심리가 자리 잡고 있다. 그들은 자산의 형태를 이리저리 바꾸는 일을 재미 삼아 즐길 뿐이다.

[ ... 중략 ... ]

  낭비는 현대 소비자본주의를 유지해주는 본질이다. 중요한 것은 전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낭비라는 점이다. 버려지는 포장재의 낭비도 아니고, 상품기획 차원의 ‘의도적인 구식화’로 인한 낭비도 아니다. 그것은 구입한 상품의 물리적 속성이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생기는 낭비다. 소비되는 대상은 상품과 결부된 모양새와 태도, 취향, 이미지여서 상품 그 자체는 불필요한 너울이다. 불필요한 너울을 다 걷어낸 상품의 본질은 아무런 실체도 없이 그 상징만이 구매자에게 투영되는 보이지 않는 상품이다. 물리적인 제품이나 서비스, 즉 상품의 실체는 이 상징을 전시하고 구매자에게 운반하는 데 필요한 너울일 뿐이다. 플래티넘 신용카드는 그러한 너울이 최소한으로 축소되고 상징성이 극도로 부각된 형태의 상품이다. 하지만 그 밖의 상품은 대부분 너울일 뿐이어서 막대한 규모의 쓰레기로 폐기되며, 그 대가는 자연환경이 치르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본주의가 연출하고 있는 우리들의 자아와 자연파괴는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로 이 점이 정치권과 경제계에서 말하는 소위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과 환경주의자들이 말하는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 갈라질 수밖에 없는 깊은 심연이다. 자연보호는 우리가 자연환경을 활용하는 방식을 대대적으로 바꾸는 것만으로 되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자아의 근본적인 변혁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2014년 1월 8일 수요일

[메모] Some answers and comments on banks' treasury function


1. Wikipedia: Treasury management


3. Treasury: the heart of the bank (Hannah Langworth's interview with Barclays, the gateway)


[새뮤얼슨의 경제학: 용어와 개념] 지급준비금, 지준예치금, 지준시장, 지준시장 금리




1.지급준비금(지준금):
[... 전략 ... ]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보유하는 현금(‘시재금vault cash’)과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지급준비예치금(혹은 지준예치금)을 합한 것이다. 예전에는 은행이 예금 인출에 대비하여 지급준비금을 보유했으나, 오늘날에는 주로 법정지급준비금(혹은 법정지준금)을 준수하기 위해 보유한다. 지급준비금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룬다. 

지급준비금(支給準備金)을 줄여서 지준금(支準金)이라고도 하며, 다른 용어와 결합해 쓰일 때는 더욱 줄여서 지준(支準)으로 부르기도 한다. 영어 표현으로는 ‘reserve’라고 하는데, 다른 맥락의 준비금과 구분하기 위해 은행의 지급준비금이란 뜻으로 ‘bank reserve’가 쓰이기도 한다.
... 23장 "화폐와 금융시스템"의 본문과 역자 주석(?쪽)에서 발췌. 
... 기타 참고: 용어 메모(지급준비금)

2. 지준예치금: 
은행의 지준금 중에서 중앙은행에 맡겨두는 현금을 ‘중앙은행 지급준비예치금’이라고 하며, 줄여서 지준예치금이라고도 부른다. 미국의 연준 회원은행들이 연방준비은행에 맡겨두는 지준예치금을 우리말로 일컬을 때 ‘연준예치금’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같은 뜻의 용어로 ‘한은예치금’이 쓰이기도 한다. 
... 23장 "화폐와 금융시스템"의 역자 주석(?쪽)에서 발췌.

3. 지준시장, 지준시장 금리: 
지준시장(支準市場, reserve market)이란 본문의 다음 문장에 나오듯 중앙은행에 지준예치금을 맡기는 은행들이 이 중앙은행 지준계좌의 현금을 그들끼리 빌리고 빌려주는 자금시장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준 의무가 있는 예급취급기관만 거래에 참여하는 특수한 시장이며, 이 시장에서 그날그날 형성되는 금리가 지준시장 금리다. 미국에서는 지준시장을 페더럴펀드 시장(federal funds market)이라고 부르며, 지준시장 금리를 페더럴펀드 금리(federal funds rate)라고 부른다. ‘페더럴펀드’라는 용어를 문자 그대로 ‘연방기금’이나 ‘연방자금’으로 읽으면 공적자금을 뜻하는 듯한 오해를 유발하는 탓에 고유 명칭이 아니라 개념을 가리키는 보통명사로서 ‘지준시장’과 ‘지준시장 금리’를 역어로 택한다.
  다른 지역의 지준시장 금리에는 유로권의 EONIA(Euro Over Night Index Average), 영국의 SONIA(Sterling Over Night Index Average), 캐나다의 은행간금리, 스위스의 콜금리가 있다. 
  한국의 경우, 지준 의무가 있는 60여 개 예금취급기관 외에 제2금융권을 포함한 900여 개 금융회사들이 다 같이 참여하는 콜시장의 일부 거래유형이 지준시장의 거래와 유사할 뿐 규격화된 지준시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은행 간 지준거래만 허용되는 지준시장의 형성을 장기적으로 검토하기로 한 바 있다. 
※ 「콜시장 건전화 및 단기지표채권 육성 등을 통한 단기금융시장 개선방안」(금융위원회, 2010년 7월),  「콜시장의 지준시장화에 따른 콜금리 움직임 분석」(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2010년 11월) , 《애고니스트의 중앙은행론》(차현진, 율곡출판사 2007) 등을 참조.
... 24장 "통화정책과 경제"의 역자 주석(?쪽)에서 발췌.

[새뮤얼슨의 경제학: 용어와 개념] 통화량은 유량인가, 저량인가? 그리고 몇 가지 한국어 용어의 정리


23장 "화폐와 금융시스템" (?쪽)에서 역자 주석을 발췌.

* * *

화폐 수요를 다루는 다음 소절로 넘어가기 전에 화폐(혹은 통화)와 화폐량(혹은 통화량)을 일컫는 용어들을 정리해두자. 

1. 

‘화폐’나 ‘통화’라고 하면, 돈 자체를 가리키는 개념적 용어다. 화폐는 다음 절(‘2.2 화폐 수요’)의 소절(‘화폐의 기능’)에서 설명하듯 돈이 무슨 기능을 하느냐에 주목하는, 돈의 정체를 일컫는 말이라고 볼 수 있고, 영어로는 ‘money’에 가깝다. 통화는 그러한 정체를 가진 돈이 시중에 돌아다니는 실상, 즉 유통되는 돈의 모습을 주목하는 말이라고 볼 수 있고, 영어로는 ‘currency’에 가깝다. 그래서 통화라는 말에는 ‘두루 돌아다님’을 뜻하는 ‘통(通)’이 들어가 있고, 영어의 ‘currency’라는 말에도 돈이란 뜻 외에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고 받아들이는 관습, 생각, 말이라는 뜻이 들어있다. 하지만 화폐나 통화나 돈이나 어감의 차이만 있을 뿐 기본적으로 같은 말이다.

2. 

‘화폐량’ 혹은 ‘통화량’이라고 하면, 경제 안에서 돌아다니는 돈의 존재량, 즉 돈의 총량을 말한다. 돈의 총량은 일정 시점을 끊어 봤을 때 파악되는 저량(stock)이다 (통화량이 저량이며, 다음 소절에서 다룰 화폐 수요 또한 저량임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경제 내에서 움직이는 돈의 양은 도서관(도서량)이나 댐(담수량)에 견주어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도서관에는 새로 출판되는 책들이 매일 신규 도서로 들어와 등록되고 이용자들이 대출해가는 책도 매일 도서관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온다. 도서관에 새로 등록되는 책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하는 유량이다. 이용자들이 대출해가는 책이나 반납하는 책도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하는 유량이다. 하지만 도서관에 등록된 도서량은 일정 시점에 일정한 크기로 존재하는 저량이다. 마찬가지로 상수원에서 댐으로 흘러드는 물의 양이나 댐 밖으로 흘러나가는 물의 양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하는 유량이다. 하지만 댐의 담수량은 일정 시점에 일정한 크기로 존재하는 저량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경제 내에 존재하는 돈의 양 역시 일정 시점에 일정한 크기로 존재하는 저량이다. 중앙은행이 새로 발행하는 현금이나 중앙은행으로 되돌아오는 현금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하는 유량이지만, 중앙은행이 예전부터 발행해서 경제 안에서 돌아다니는 현금의 양은 일정 시점에 저량으로 존재하는 크기다. 은행예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날그날 은행 안으로 들어오는 예금액과 그날그날 은행 밖으로 인출되는 출금액은 유량이지만, 은행 안에 존재하는 예금총액저량이다. 똑같은 이치에 따라 비은행 민간의 사람들이 수중에 보유하는 현금의 양(즉, 현금통화)저량이다. 따라서 현금통화도 저량이고 결제성예금도 저량이며, 이 둘을 합한 통화량 M1도 저량이다. 저량으로 존재하는 이 변수들이 그날그날 변동할 뿐이지, 이 변수들은 유량이 아니다.

3. 

통화량(화폐량)이 저량을 측정하는 개념임을 확인했으니 이제 관련된 용어들을 정리해두자. 통화량을 가리키는 영어 표현으로 여러 가지가 등장하는데, 그때마다 한국어 용어가 달라지면 개념이 혼란스러워진다. 가령 ‘quantity of money’, ‘money stock’, ‘monetary aggregate’, ‘money supply’는 모두 같은 뜻으로 경제 내에 존재하는 돈의 저량을 가리킨다. 
  • 이 중 ‘money stock’은 저량이라는 어감이 강조된다.
  • ‘monetary aggregate’는 (현금통화에 더하여 통화성 예금 상품의 각 금액을) 통계적으로 집계한 변수임이 강조된다. 
  • ‘money supply’에서는 현찰을 발행하는 중앙은행의 행동을 비롯해 예금통화량의 결정에 참여하는 은행 및 비은행 민간의 행동이 돈의 저량을 변동시키는 일종의 공급 행위라는 측면이 좀 더 부각되지만, ‘money supply’의 의미는 그렇게 공급되어 경제 내에서 사용 가능한 돈의 저량을 가리킨다. 따라서 ‘money supply’는 기본적으로 ‘통화를 공급하는 행위나 과정’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그 결과로 경제에 존재하는 ‘통화량’ 혹은 ‘통화공급량’을 뜻한다. 본래 영어의 'supply'에는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하려고 공급하는 행위(혹은 능력, 의욕)’라는 의미 외에 그러한 행위(혹은 능력, 의욕)의 결과로 ‘사용 가능한 양(amount), 즉 재고(stock)’의 의미가 있다. ‘money supply’는 극히 예외적인 용례를 빼면 전부 후자의 의미를 뜻한다.  
본 교과서 번역에서는 이러한 각 용어의 표현마다 특별한 어감의 강조가 필요할 때를 빼면, 모두 통화량 아니면 통화공급량 두 역어를 사용해 표현하기로 한다.

2014년 1월 5일 일요일

Dic: Liquidity ratios


[1] Baron's Banking Dictionary: Liquidity ratios (간접출처: Answers.com)

Key financial ratios measuring a bank's application of interest-earning deposit liabilities to fund loan growth, expressed as a percentage. There are four primary liquidity ratios: 
  1. cash and unpledged marketable securities divided by total assets; 
  2. total deposits divided by borrowed funds; 
  3. volatile funds divided by liquid assets; and 
  4. total loans divided by total deposits (most commonly used). 
A low ratio of loans to deposits indicates excess liquidity, and potentially low profits, compared to other banks. A high loan-to-deposit ratio presents the risk that some loans may have to be sold at a loss to meet depositors' claims.


[2] INVESTOPEDIA: Liquidity ratios

A class of financial metrics that is used to determine a company's ability to pay off its short-terms debts obligations. Generally, the higher the value of the ratio, the larger the margin of safety that the company possesses to cover short-term debts.

Common liquidity ratios include [:] 
  • the current ratio, 
  • the quick ratio and 
  • the operating cash flow ratio. 
Different analysts consider different assets to be relevant in calculating liquidity. Some analysts will calculate only the sum of cash and equivalents divided by current liabilities because they feel that they are the most liquid assets, and would be the most likely to be used to cover short-term debts in an emergency.

A company's ability to turn short-term assets into cash to cover debts is of the utmost importance when creditors are seeking payment. Bankruptcy analysts and mortgage originators frequently use the liquidity ratios to determine whether a company will be able to continue as a going concern.

Testing a company's liquidity is a necessary step in analyzing a company. Read Liquidity Measurement Ratios to further improve your understanding of these ratios.


[3]-1. Liquidity ratios (Campbell R. Harvey via Financial Dictionary)

Ratios that measure a firm's ability to meet its short-term financial obligations on time, such as the ratio of current assets to current liabilities.

[3]-2. Cash Asset Ratio (Farlex Financial Dictionary via Financial Dictionary)

A ratio of a company's cash and liquid assets to its total liabilities. A cash asset ratio measures a company's liquidity and how easily it can service debt and cover short-term liabilities if the need arises. As a result, potential creditors use this ratio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ke short-term loans. It is also called the liquidity ratio and the current ratio.

[3]-3. Cash Ratio (Farlex Financial Dictionary via Financial Dictionary)
1. A ratio of a company's cash and liquid assets to its total liabilities. A cash ratio is a measure of company's liquidity and how easily it can service debt and cover short-term liabilities if the need arises. As a result, potential creditors use this ratio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ke short-term loans. It is also called the liquidity ratio and the cash asset ratio.

2. In banking, a ratio of a bank's cash and cash equivalents to its demand deposits. See also: Reserve requirement.

[4] 금융감독원 금융지식센터
  • 원화유동성비율(Liquidity Ratio): 
" 고객의 예금청구에 대한 지급, 기타 채무의 상환 및 신규대출취급, 경영에 필요한 자산의 취득과 적정한 성장에 필요한 자금 등 은행의 자금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유동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은행이 수요에 충분한 자금을(sufficient volume) 시의적절하게(in timely manner) 그리고 합리적인 비용(at a reasonable cost)으로 조달할 수 있을 때 유동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한다. 동 비율은 은행계정과 종금계정내의 모든 자산과 부채뿐만 아니라 난외계정도 포함하여 잔존 1개월 이내의 원화유동성자산을 잔존만기 1개월 이내의 원화유동성부채로 나누어서 계산된다. 그러나 1개월 이내에 현금화가 불가능하거나 현금화에 비용이 소요되는 자산(고정자산, 담보로 제공된 자산 등)은 유동성자산에서 제외된다. 현재 일반은행 및 외은지점은 100%,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특수은행은 70% 이상의 원화유동성비율을 유지하여야 한다. "
  • 유동성커버리지비율(Liquidity Coverage Ratio)
" 단기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30일간의 잠재적인 유동성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제약조건이 없이 활용 가능한 유동성자산을 충분히 보유토록 한 지표이다. 은행은 해당 금융기관 신용등급의 큰 폭 하향 조정, 예금의 일부 이탈, 무담보 도매자금조달 중단, 담보가치 할인율 큰 폭 상승, 파생거래 관련 추가담보 요구, (계약 또는 비계약상의)난외 익스포져 관련 대규모 자금인출 요구(차주 요청시 자금제공 의무가 있는 신용 및 유동성 공여약정 포함) 등의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으로 단기 유동성 위기 상황시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바젤III에 도입되었다. " 

2014년 1월 4일 토요일

Dic: jump somewhere (or + adv/prep) as meaning a hasty movement or change

[1] move fast: to move quickly or suddenly in a particular direction (= leap)

  • Matt jumped up to answer the phone.
  • We all jumped in a taxi.
  • She jumped to her feet and left
[2] keep changing: to change quickly and often from one idea, place, position etc to another─used to show disapproval..
  • Cathy kept jumping from one topic to another.
  • I've been jumping about the file instead of working straight through it.
[3] miss a stage: to move suddenly to a further part of a book, discussion, leaving out the part in between.
  • I'm afraid I jumped a couple of chapters.
  • The movie suddenly jumped ahead to the future.
[4] jump to conclusions: to form an idea about something before you have all the facts.
  • There may be a simple explanation. Let's not jump to conclusions.

.... LDO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