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마음동네 | 자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마음동네 | 자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11월 2일 금요일

Some talks of wisdom


This is a reproduction, with my own fingers, of these kind talks of wisdom by Tom Montalk in order to reread it deep in my mind.

Source: Tom Montalk, http://montalk.net/matrix

* * *

What is the Matrix? School or prison, depending on your chose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it is a hyperdimensional teaching system accelerating your rate of spiritual evolution by providing you with catalytic experiences in response to your thoughts, emotions and spiritual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se experiences manifest as predatory forces preying upon your weaknesses. Of course, the only way to prevent being manipulated by these forces is to discover, integrate, and transform your weaknesses into strengths, thereby indirectly accomplishing the higher purpose of the Matrix which is to help you transcend it.

Nevertheless, these predatory forces possess freewill and have their own agenda, which is to expand their power base and sustain themselves by feeding upon humanity's emotional energies as well as keeping anyone from becoming aware enough to add destabilizing influences to the spiritual prison/farm they are running here on Earth.

The sum total of their hyperdimensional manipulation system may be termed the "Matrix Control System." It is a school of hard knocks that weakens the spiritually weak and strengthens the spiritually strong, in accordance with their choice to be victims or warriors.


Hyperdimensional Predators:
  • Beyond the human level of evolution are several levels occupied by more sophisticated forms of life, including hostile beings with the ability to transcend space and linear time, read thought, manipulate emotions, puppeteer unawar individuals, and project themselves in and out of our physical reality.
  • They required emotional, etheric, vital energy to sustain themselves; mankind has long been their primary food source. They feed upon energies that are in resonance with their own soul vibrations: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suffering, and perverted sexual energies.
  • Being greedy as they are, rather than just harvesting naturally occurring energies emitted by those who have freely chosen to engage in lower vibrational behavior, these predators seek to induce ignorance, suffering, and perversion in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maximize their energy harvest. While this isn't technically a freewill violation (because they can only amplify what latent negative tendencies we already have within us), their forceful milking of energy via the Matrix Control System does constitute an imbalance because it encourages ignorance and slavery instead of awareness and freedom.

Suppression of Awareness:
  • Because hostile hyper dimensional forces have a vested interest in the Matrix Control System, they go to extraordinary lengths to suppress any destabilizing factors that could disrupt their food supply. Anyone who starts the process of waking up and regaining personal power and freedom is immediately targeted. The targeting aims to put him or her back to sleep, render him powerless, or make him or lose faith in continuing his path.
  • When a personal impulse toward freedom occurs, an equal and opposite impulse is set into motion, attracting to the target various negatively synchronistic opportunities to engage in vibe-lowering experiences to offset his impulse toward freedom. These include situations that aim to induce fear, distraction, suffering, doubt, depression, indulgence in lower impulses, and self-serving behavior.
  • Sometimes this phenomenon arises naturally from the law of inertia (occult and karmic laws) while other times there is intentional and active amplification of this counter-impulse by negative hyper dimensional forces to disarm the threat before he gains more power.
  • Other methods of suppression include sabotaging and distracting a targeted individual via people around him who are open to direct manipulation. Anyone who fails to be fully conscious in the present moment can be a puppet for as long as his or her attention is elsewhere. Lapses of attention are enough for a subconsciously implanted impulses to result in regrettable words or actions.
  • Most people in this world place no priority on awareness or attentiveness, and instead live life in a semi-conscious dream state that makes them very prone to being nudged by external influences. Some are born with insufficient levels of individualized consciousness to ever experience a lucid moment, and it is these who form the primary class of "Matrix agents," the rest of us functioning as agents only part of the time when we fail to watch ourselves. Due to the plethora of spiritually asleep people in the population, the Matrix Control System has no problem finding chess piees to maneuver into place around a target.

The Bigger Picture:
  • While we may not always be the source of injustice against us, we are the cause of its entrance into our lives. The Matrix, even with all its imbalanes and corruption by those freewill entities who have overstepped their place in nature, is nevertheless still a learning program entirely responsive to our own ignorance and weaknesses. It may be a predator's choice to attack, but it is our choice to accept the attack and succumb to it.
  • The Matrix Control System can only trip us via the elements within us that correspond to its low vibratory nature. If we ignore our intuition, have blind spots in our awareness, or engage in ignoble feeling and behaviors, then these are the avenues through which we are had. Attacks serve to identify our own weaknesses, thus providing focus for where to take the next step on one's path of spiritual awakening.

2018년 10월 26일 금요일

Words from a meditative mind



Death is nothing at all. It does not count. I have only slipped away into the next room. Nothing has happened. Everything remains exactly as it was. I am I, and you are you, and the old life that we lived so fondly together is untouched, unchanged. Whatever we were to each other, that we are still. Call me by the old familiar name. Speak of me in the easy way which you always used. Put no difference into your tone. Wear no forced air of solemnity or sorrow. Laugh as we always laughed at the little jokes that we enjoyed together. Play, smile, think of me, pray for me. Let my name be ever the household word that it always was. Let it be spoken without an effort, without the ghost of a shadow upon it. Life means all that it ever meant. It is the same as it ever was. There is absolute and unbroken continuity. What is this death but a negligible accident? Why should I be out of mind because I am out of sight? I am but waiting for you, for an interval, somewhere very near, just round the corner. All is well.





Nothing is hurt; nothing is lost. One brief moment and all will be as it was before. How we shall laugh at the trouble of parting when we meet again!

─ Henry Scott-Holland (1847 ~ 1918)

* * *

2018년 9월 4일 화요일

Short-lived experiene of a strong uncomfortable oscillation

On Sep 4 around 0h ~ 1h AM, a short-lived and strong but quite uncomfortable & unfamilliar oscillation was felt in an inner area of the frontal part in my brain. It's near the inside part between the eyebrows. It was a strange experience first ever felt.

2017년 11월 2일 목요일

[건강] Muscle of the soul: 스트레스를 우리 몸에 저장하는 근육?


출처: http://upliftconnect.com/release-the-stress/



※ 발췌 (excerpt):

Do you spend much time sitting in front of a computer, on a plane, in a car? If so your hips may be locked up which effects your ability to dance, but worse than that it may be causing you undue stress and fear. The Psoas Muscle, is a long muscle located on the side of the lumbar region of the vertebral column and brim of the pelvis, that is also known as the “muscle of the soul”.It is one of the largest muscles in the body and it is a place where we often store stress or trauma that can literally influence our mood and our outlook on life. We recently explored in depth just how much fear can ( ... ... )


Because the psoas is so intimately involved in such basic physical and emotional reactions, a chronically tightened psoas continually signals your body that you’re in danger, eventually exhausting the adrenal glands and depleting the immune system. As you learn to approach the world without this chronic tension, psoas awareness can open the door to a more sensitive attunement to your body’s inner signals about safety and danger, and to a greater sense of inner peace. – Liz Koch, Author of The Psoas Book



2017년 11월 1일 수요일

어떤 응급 사태와 임의 처치


일은 바쁘지만, 어제 발생한 응급 사태를 간단히 기록해 둔다. 시간이 지나면 쉽게 잊힐 것이기 때문이다.

* * *

저녁 8시 30분쯤 늦은 저녁을 먹고 있는데, 이모님에게서 전화가 왔다.
"너, 지금 도서관에서 나와라. (그리로 갈 테니) 같이 차 타고 병원에 가자."
"병원이요? 저더러 병원에 가라니요?"
"엄마가 응급실에 가야 해."
"어머니가 아프다는 거예요, 지금? ... 네, 알았습니다."
이모님이 어머니를 차에 태워, 인근에 있는 도서관에 들러서 나와 같이 응급실로 가자는 이야기였다. 갑자기 전화가 온 걸 보면 응급한 사태가 분명하니, 대화하느라 시간을 허비하면 안 될 상황이 분명했다. 바로 전화를 끊고 신속히 짐을 꾸려 대로변으로 나가 차가 오기를 기다렸다.

차가 도착하자마자, 앞 좌석에 가방을 던져 넣고, 뒷 좌석으로 잽싸게 몸을 실어 옆에 앉아 계신 어머니와 질의응답을 하면서 상태를 점검했다.
저녁 식사를 다 마쳐 갈 무렵, 왼쪽 갈비뼈 밑의 뱃속이 땡기기 시작하더니 통증을 유발하는 (아마도) 경색 증상이 왼쪽 가슴 부위를 거쳐 늑골과 뒷쪽 어깨 사이의 깊은 부분으로 올라왔다는 것이다. 그 부위가 칼로 찌르듯이 아파서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없고 앞으로 구부정하게 앉아서 통증을 호소하셨다. 
우선 두 갈비뼈 아래쪽 밑선과 목으로부터 내려오는 수직선이 만나는 중완 자리를 눌러봤다. '아프다'고 하셨다. 다시, 그 부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등쪽의 부위를 눌러봤다. 역시 '아프다'고 하셨다. 엄지와 검지 사이 합곡 자리를 눌러봤더니 역시 '아프다'고 하셨다. 통증이 심하다고 호소하셨지만, '통증이 어떻게 어디서 시작됐느냐?' '여기가 아프냐, 저기가 아프냐?'는 질문에 힘겹지만 듣는 사람이 분간할 수 있을 정도로 대답할 만큼 자기 판단을 말로 표출할 수 있는 상태였다.

이상의 정보와 그간 어머니를 응급 처치했던 경험을 토대로 이것은 심근 경색이나 그와 비슷한 증상은 아니라는 직감이 들었다.
"병원으로 가지 말고, 차 돌려서 집으로 가요. ( ... ... ) "
"집에 가서 해도 괜찮을까?"
"될 것 같습니다. 집에 가서 여기저기 뭉친 데를 풀면 될 것 같아요. 손가락을 따서 피도 빼고, 쑥뜸도 하고..."
"쑥뜸?? 뜨거워서 싫어!"

쑥뜸이 뜨거워서 싫다는 말씀에, 심근 경색이나 그 비슷한 위중한 증상은 아닐 거라고 더욱 확신했다. 자지러지며 주저앉을 수밖에 없는 위기가 몸을 장악하면 '이거 싫고 저거 좋고' 할 겨를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집에 돌아와 생각나는 대로 응급 처치에 들어갔다. 이모님이 손가락 끝에서 피를 빼는 도구와 소독용 알콜을 찾는 사이, 나는 어머니를 눕혀 놓고,
  1. 명치 부위의 중완, 등쪽의 그 반대편 자리, 늑골 반대편의 어깨 부위 등에 지압을 가하고 주물렀다.
  2. 이어서 열 손가락 끝에서 피를 빼는 전용 도구를 알콜로 세척한 뒤, 피를 뺐다.
  3. 두 손의 합곡을 비롯해 팔뚝 근처와 발바닥, 종아리 등등의 주요 혈자리로 알려진 곳들을 돌아가면서 지압.
  4. 귀 밑에서 목 앞쪽으로 내려오는 무슨 근육이 있다고 들었는데, 수많은 신경 다발이 지나가는 그곳이 경직되면 승모근 등 어깨 부위 근육이 뭉친다는 말을 들어서 그곳도 지압.
  5. 뒤로 눕힌 상태에서 요추 밑단부터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척추선의 중심과 그 좌우를 지압. 뒤로 눕힌 상태 그대로 골반 양 끝을 내 두 손으로 붙잡고 몸을 좌우로 부드럽게 흔들어준다.
  6. 바로 눕힌 상태에서 어머니의 두 무릎을 세우고, 발끝 자리에서 내가 마주보고 앉아 두 무릎을 붙잡고 좌우 10도 정도 각도로 살살 (그러나 약간 탄력이 있게) 좌우로 흔든다.
(※ 주의: 이상 1~6번 조치와 기타 생략된 여타 조치들은 특별할 것이 없는 '사소한' 것들이지만, 하나하나의 행위를 말로는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입니다. 또한 어떤 증상에 어떤 효과가 있다고 장담할 수도 없는 것들입니다. 따라서 위의 부정확하고 개략적인 묘사를 무슨 치료 요령이라고 여기고 따라하시면 안 된다는 것을 밝힙니다.)

위와 같은 (1)~(3)번 조치를 취하는 데 약 30분 정도 걸린 것 같다. (4)~(6)번까지 하는 데 또 30분 정도 걸린 것 같다. 그러고 나자, 어머니는 서서히 통증도 가라앉고 숨도 편하게 쉬어진다고 하셨다. 특히 (2)번 손가락 피를 빼면서부터 조금씩 풀린 것 같다고 하셨다. 밤 10시가 좀 넘은 시간에는 같이 TV를 봤다. 어머니가 드라마 내용에 이러쿵 저러쿵 하시는 것 보니 다 나으신 게 분명했다. 저녁을 제대로 드시지 못해 입이 심심하다며 과자도 드셨다. 11시가 넘어서 아까 드신 과자는 잘 소화되었느냐고 여쭈니, 속이 편안하다고 하셨다. 그제서야 안심하고 잠자리에 들었다.

내가 짐작하는 응급 사태의 전개 과정은 이렇다. 몸은 머리 끝부터 발끝까지 온갖 근육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똑바로 서서 허리를 굽히는 동작을 할 때 손끝이 무릎 부위까지밖에 내려오지 않는 사람도 발바닥을 야구공 같은 걸로 10분 정도 풀어주고 나면 다시 허리를 굽힐 때 무릎 아래 먼 곳까지 손끝이 내려올 만큼 허리 쪽 근육들도 풀린다. 그러니까 내 짐작에는 식사 도중에 위장을 붙잡고 있는 어느 부위의 근육 작동에 문제가 생겨서 경직되기 시작했는데, 평소에 어깨와 등 언저리의 요소요소가 굳어 있는 몸(근육과 신경)의 연쇄 고리를 타고 이 경색 증상이 도미노 현상을 일으키며 왼쪽 어깨를 향해 위쪽으로 확장된 것이다. 그 확장 경로의 근처에 심장도 위치해 있었다. 그래서 어머니는 심장이 잘못됐다고 판단하고 응급실 행을 선택했던 것이지만, 나는 심장이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런데 심장이 문제는 아닌 상황이더라도, 이와 같은 근육 경색(이 표현이 정확하지는 않을 것이다)이 확장되면 순식간에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고 한다. 호흡에까지 지장이 생기면서 경색되는 부위가 안 풀리고 확장되면 그대로 숨이 넘어가 죽는다는 것이다. 예전에 기공을 가르치는 어느 선생님으로부터 들었다. 어머니도 통증이 심해질 때 숨을 잘 쉴 수 없다고 하셨다. 숨을 들이쉴 때 칼로 찌르는 것처럼 아파서 그렇다는 것이다.실제로 아파 보면 어느 부위가 아파도 정확히 어디가 아픈지 환자 본인이 분간하기는 어렵다. 이 경우는 경색이 확장되면서도 다행히 심장 쪽 근육은 별로 건드리지 않고 비껴간 것 같다.

아무튼 잘되어서 다행이지만, 운이 좋아서 그랬을지도 모른다. 나는 의사도 아니고 그냥 돌팔이이기 때문에 이런 경험을 서너 번 했다고 일반화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이렇게 기록이라도 남기면서 관찰한 것을 회고하고 다음 번 위기 때는 무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뿐이다.

2017년 10월 19일 목요일

그 순간, 찰나의 기억


갑자기 정신이 들어 보니

내가 내 위에서 입을 맞대고 있다.

아래에 누워 있는 내가 보인다. 

잠을 자고 있는 것 같다. 

순간 애정의 물결이 밀려 온다.

'가여운 녀석, 너로구나'

곧바로 포도주 병의 코르크 마개가 빠지는 것처럼

밑에 보이는 나와는 다른 내가 붕~ 떠오른다. 

( ... ... )


몸과 마음을 생각하며


의학적 증거를 통해 확인할 수는 없지만, 나 역시도 암과 여러 가지 종양에 걸렸다가 회복되기를 여러 차례 겪었고 지금도 겪고 있다고 직감한다. 사실, 복잡한 말들은 필요없지만 이런저런 자료나마 몇 개 붙여본다.


1. Scientists Just Unlocked the Catalyst for Cancerous Relapse

이 연구팀이 궁금해했던 문제는 항암 치료에서 살아남아 저항력을 갖춘 비교적 아주 작은 수의 암세포들이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잠자듯 조용히 있다가 어떻게 해서 신체를 장악하는 치명적인 위력을 발휘하게 되는지, 즉 항암 치료 후 개선되어 가던 환자가 상당 기간 후 암이 더 위력적으로 재발하는(혹은 악화되는)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 것인가였다.

연구자들은 항암 치료 후에 살아남은 암세포들이 면역 체계를 건드림으로써 다시 활동할 힘의 원천을 확보하여, 스스로 잠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하기 시작한다는 단서를 발견했다. 이 연구의 실험 대상은 쥐다.

결론은 면역 체계를 다루는 치료법을 도입해 이러한 암의 재발을 막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얘기 같다.

그러니까 간단히 말해, 항암 치료를 이겨낸 암세포는─면역 체계에 새로운 구멍을 내는 능력을 갖춘다는 점에서─더욱 강력해져서 2차 공격을 기약한다고 이해해도 좋을 것 같다.

2. 면역학의 대가 아보 도루 교수, “암은 평범한 병, 심호흡만 잘해도 암세포 분열 저지”


3. "우리 몸은 약이 부족하지 않습니다" ‘자연치료‘ 택한 심장내과의 잭 울프슨
여기 이런 의사가 또 있다. 전공과는 심장 등 순환기 내과 진료. '혈압약을 처방하지 않는 의사'라는 별명으로도 유명하다. 환자가 오면 그는 1시간 넘게 진료한다. 영양상태, 수면시간, 일조량, 운동량 등을 묻는다. 심지어 어떤 세탁세제, 향수, 화장품을 쓰는지까지 파악한다. 맞는 검사방법을 찾아내, "호르몬, 멜라토닌 수치, 면역반응, 음식 과민반응 등을 검사한다."

_ 3.1 공중 보건의에서 자연 치유사로 전향한 또다른 미국의 의료인 이야기 (영문)


4. "당신의 세포에 말을 걸라" ( How to Heal Yourself by Talking to your Body )
예전부터 나름의 직감에 따라 사용하던 (일종의 명상이라면 명상) 기법인데, 최근에 수시로 눈에 띄는 암 환자 지인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 중 하나다.

5. ...

2017년 2월 14일 화요일

[기사와 칼럼] 인간과 문명, 자연을 보는 시선들


태곳적부터 존재했던 인간과 자연의 상호 작용, 이 둘을 잇는 허리를 '문명'이라고 볼 수 있으려나. ...



1. Long Before Making Enigmatic Earthworks, People Reshaped Brazil's Rain Forest (NYT, Feb 2017)
"아마존의 밀림은 사람이 손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숲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아마존 지역의 고대인들은 이미 알려진 것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열대 우림을 관리했다."
... Dr. Watling and her colleagues found that in contrast with the large-scale deforestation we see today — which threatens about 20 percent of the largest rain forest in the world — ancient indigenous people of the Amazon practiced something more akin to what we now call agroforestry.
“Indigenous communities have actually transformed the ecosystem over a very long time,” said Dr. Watling. “The modern forest owes its biodiversity to the agroforestry practices that were happening during the time of the geoglyph builders.” ...
cf. geoglyph: A large-scale drawing made on the ground by scratching or arranging lines of stones etc

2. We need nature and other species for our sanity (delmarvanow, Feb 2017)
... Current human societies have become the loneliest, most alienated, isolated, depressed, addicted and anxious in history. ... [People] don't belong, aren't needed, have no reason to exist. ... Thousands of other species likewise are losing their sense of belonging─so diminished in numbers that they can't find a mate, a pack or a community of other interdepdendent species within which to survive.
Altogether, 66 percent of our world’s wildlife will have vanished by 2020, according to the World Wildlife Fund’s 2016 “Living Planet Report.” Since 1970, populations of vertebrate animals (mammals, birds and fish) have already plummeted by more than 58 percent.

3. Climate Diaries: Scientists on the front lines in Antarctica (CBS, Feb 2017)

2017년 1월 31일 화요일

[건강 상식] 굽은 등, 척추 측만을 바로잡는 동작들


이런 목적의 동작이나 요령 들이 부지기수로 많기는 하다. 심지어 의식적인 숨쉬기 요령만으로 척추 측만을 바로잡는 치료법도 있다. 눈에 띄는 대로 기록해 보자.

Sit-through extension: 동영상(1),

손쉬운 허리 뒷쪽 근육 강화에 도움될 것 같은 운동 (데드 리프트를 응용한 건가?): 동영상.

2016년 12월 31일 토요일

"봄의 나뭇잎 소리나 곤충의 날개가 부스럭거리는 소리"


"봄의 나뭇잎 소리나 곤충의 날개가 부스럭거리는 소리"

대지가 생동하는 모습을 담은 아름다운 묘사다.

인디언들은 물웅덩이 수면으로 내리꽂히는 바람의 부드러운 소리를 좋아한다. 한낮에 내린 비에 씻긴 바람 그 자체의 냄새를 좋아한다. 그러나 당신들의 도시에는 봄의 나뭇잎 소리를 듣거나 곤충의 날개가 부스럭거리는 소리를 들을 만한 곳이 없다. <시애틀 추장> 
출처: https://twitter.com/bot_Indian/status/815122579157463040

웬만한 산이나 숲에서는 온갖 다양한 소리가 어우러지니 곤충의 날개가 부스럭거리는 소리는 아마도 다른 소리들 때문에 못 들은 것 같지만, 그것 역시 생명이 생동하는 온갖 소리들 중의 그저 한 예시일 뿐이다.

야밤에 산길에 오르면 바람에 뮈는 나뭇잎 소리며, 주인을 잃거나 그들로부터 버림받은 산견들이 잠들었다가 놀래서 퍼득거리는 소리며, 말벌들이 웅웅거리는 소리며, 별의 별 소리가 다 들린다.

예전, 한 백여 일 동안 즐겨 야간산행을 벗 삼던 기억을 적었던 글 다시 본다.
낮의 산이 아버지라면 밤의 산은 할아버지 같고, 또 낮의 산이 갖가지 색의 화사한 아가씨들이라면 밤의 산은 한 가지 색깔의 푸근한 어머니 같습니다. 어둠이 산을 감싸는 덕에 온갖 소리가 아주 가까이서 살갗을 스치듯 들려옵니다.

2016년 12월 25일 일요일

종소리?

짐에서 깨어 보니 새벽 3시 반쯤 되었다.

다시 잠을 청하려는데, 미세한 소리가 들린다.

약 30-40초 간격으로 진동하듯 떨리는 소리가 남서쪽 방향으로부터 들려온다.
소리 간격이 20초 정도로 짧아질 때도 있다.
소리 울림이 지속되는 길이는 약 3-5초 정도.

종소리 같다.

환청인가? 지금은 안 들린다.

2016년 11월 3일 목요일

며칠 전 꿈


사나흘 되었나. 기록하지 못했다.

물속을 여행했다.
잠수부 여럿과 함께 물속을 다녔다.

물속으로 머리를 들이미는 독수리 얼굴을 보았는데, 이 녀석하고 물속의 다른 녀석이 번갈아 보였다. 아마도 거대한 가오리 같았다. 둘 중 하나가 죽었는데 독수리가 죽었던 것 같다.

그 밖에 많은 것을 보았다.
많은 것을 보았다.

2016년 8월 9일 화요일

이곳은 무의식의 입구?


자리가 채 열 개가 되지 않는 아주 작은 강의실.
학생들 서너 명이 앉아 있다.
그중 하나가 나를 보며 말한다.
“교수님이 이전 수업을 듣지 않은 사람은 따라가기 힘들 거라고 했어.”
“많은 학생들이 따라오지 못할 테니까 강의실도 이렇게 작은 방으로 바뀐 거니?”
나는 자리에 앉아 이렇게 물었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않는다.
방안을 두리번거리며 이 수업을 더 들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걱정이 커져만 간다.
이전 수업을 많이 빼 먹었기 때문이다.
‘가방을 챙겨서 그냥 나가 버릴까?’
이렇게 망설이는 사이, 이상한 생각이 스친다. ‘이건 이전에도 많이 해 본 걱정이야. 아주 익숙해. 이곳에 또 왔어. 이왕 왔으니까 이곳에 뭐가 있는지 살펴봐야겠어.’
이렇게 마음먹고 출입구로 걸어가 문을 열고 방을 나서자마자 내 몸은 자동적으로 왼쪽으로 향한다. 그쪽으로 한 발짝 내딛자 지하 공간의 입구가 펼쳐진다. 급경사로 푹 꺼지며 내려가는 듯한 그곳은 너무 캄캄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원형을 그리며 내려가는 계단 같기도 하고 까마득하게 떨어지는 지하 동굴 같기도 하다.
‘저곳으로 들어갈 수는 없어. 너무 깊은 곳이야.’ 
공포감에 몸을 반대편으로 되돌리려고 하지만 그리로 들어가려는 몸이 잘 멈춰지지 않아 안간힘을 쓴다. 무엇이 잡아당기는 것 같다. 옷이 무엇에 걸린 것 같기도 하다.
몸을 차츰 반대편으로 되돌리는 사이 ‘삐이잉-’하는 기계음 같은 소리가 점점 크게 들린다. 그 소리를 들으면서 ‘저 지하 동굴 같은 곳은 포기하고 그 반대편이나 살펴보자’는 생각이 스치지만, 다른 생각이 엄습한다. ‘아니야 이건 이미 산통이 깨진 거야. 꿈에서 나가야 해.’
그렇게 꿈에서 나가자고 마음먹고 그 상태로 꿈에서 깬다.
#꿈

* * *

꿈속에서 ‘이왕 이곳에 왔으니 뭐가 있는지 살펴보자’는 생각을 하는 순간의 나는 꿈에 들어왔음을 자각했던 것 같다. 그러고는 지하 동굴 같은 공간을 보고 겁에 질려 탐험의 의지를 상실했다.

몸을 재운 채로 의식의 선명도를 높게 유지하는 훈련을 다시 시작하면 무의식의 세계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을까?

2016년 6월 15일 수요일

빛의 공포, 빛의 환희


여럿이 함께 묵는 단칸 방이다.

다들 어디로 서둘러 가는 분위기다.

어딘지 모를 그곳을 향해 나도 발을 재촉하는데,
현관 문을 보니 잠겨 있지 않아 잠그고 가야 한다고 말한다.
뒤에 따라올 사람들에게 열쇠를 맡기고 가면 그들이 잠그고 올 거라고 누가 말한다.
그러고 보니 다른 몇몇이 그 단칸 방으로 오길래 열쇠를 맡긴다.

서둘러 큰 계단을 내려가고, 이리로 저리로 길을 따라간다.
사람들이 여럿이고 아주 많은데 주변을 살필 겨를이 없다.

큰 광장이 보인다. 아니, 저것이 뭐지?

하늘에서 글자들이 떨어진다.

앞에 번호를 달고 1번 글귀가 이어지는 문장 하나가 천천히 내려오고,
또 2번 글귀가 이어지는 문장 하나가 천천히 내려오고, 계속 글귀가 내려온다.

자세히 보니 내가 살았던 삶의 이야기들이다.

탁 트인 광장 한 곳에서 빛이 퍼져 나온다.

저 빛을 쏘이면 뼈와 살이 타 버린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허공에서 들려오는 이야기 같기도 하고 주변의 누가 하는 이야기 같기도 하다.

순간의 공포가 스친다.

다가오는 빛을 봤다. 어떤 환한 이에게서 나오는 빛이다.
점점 그 빛이 커지며 천천히 다가온다.

그리로 달려간다. 다른 이들도 많이 달려간다.

드디어 그 빛의 세계로 들어가는 순간.
뼈와 살은 타지 않았다.
오히려 따사로운 품에 안긴 듯 아주 평온한 세계 속으로 들어온 환희와 안도가 찾아온다.

꿈에서 깨었다.

#꿈

2016년 5월 11일 수요일

In search of E. Swedenborg's Writings


About ten years ago, I read part of his HEAVEN and its Wonders, and HELL. In his findings I could see various observations which can inspire many trends of religious feelings including some kind of Buddhist mind.

Here I'm just starting to mark some links where I can meet again with him:

2016년 1월 12일 화요일

참 나를 찾아, 본성의 빛을 찾아


그 자리에 좌정하게 되면
문제를 풀되, 문제삼지 않고 푸는 것과 같고
불의에 분노하지만, 내면의 평화를 잃치 않은 채 화내며
불행을 직시하지만, 행복감을 벗어나지 않고
어둠을 인식하되, 그 어둠에 동화되지 않게 됩니다
... 慈無 스님, 2016년 1월 12일, https://twitter.com/kjamu 


...



2015년 12월 27일 일요일

[발췌] 법구경

출처: https://twitter.com/Dhammapada_Bot


405

갈애와 애착을 없애고
옛 경전의 글귀와 그 깊은 뜻을 체득하며
그 앞뒤를 꿰뚫어 여실히 회통한 사람
그에게는 이것이 마지막 몸이니
그를 위대한 성인,
진정한 대장부라 하리라

368
백조가 해처럼 높이 떠 날아가 버리듯
깨달은 이들은 자취 없이 열반에 이른다
반야를 얻은 이들은 마와 마군을 떨치고
윤회의 세계를 단숨에 벗어난다

367
칠각지(七覺支)로 잘 닦인 마음은
모든 집착을 끊어
무욕의 즐거움을 누리네
번뇌가 다하여
이 세상에서 이미 반열반을 성취하나니
참으로 거룩한 지고의 존재 

331
이 몸뚱이 잘 살펴 그 부정함을 정관(正觀)하며
능히 육근을 다스려 안으로 거둬들이고
음식을 잘 가리고 때와 양을 조절하며
늘 힘써 정진하기를 좋아하는 자라면
삿된 마도 결코 뒤흔들 수 없으리
거센 바람에도 꿈쩍하지 않는 바위산처럼

287
어디 있어도 변함없이
홀로 좌정하고 홀로 자고...
결국, 자아를 굴복시키는 사람은
스스로 갈애가 소멸되는 즐거움을 누리리라
숲속의 수행자와 다를 바가 없으리

8
자기야말로 자신의 주인
자기야말로 자신이 돌아가 의지할 품
그러니, 너의 고삐를 네가 잡으라
말 주인이 말의 고삐를 잡듯

352
떨치고 일어서야 할 순간에 일어서지 않고,
젊음과 건강이 남아있을 때
게으르고 의지와 뜻이 약한 사람은
그 방일한 마음으론 도를 결코 깨닫지 못하리라

344
정념수행을 즐거워하고
늘 나태와 방종을 경계하는 수행자를 보아라
크고 작은 장애를 뚫고 거침없이 나아간다
온갖 것을 사르며 번지는 불길같지 않으냐

330
부정한 이 몸뚱이 깨끗하고 좋은 것이라 잘못 알고
육근(六根)을 거두지 않고 되는대로 방종하며
먹고 마시는 것을 절제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나태하고 나약하여 용맹심이 없으면
머잖아 삿된 마에 꺾이기 쉬우니라
마치 연약한 초목이 폭풍에 쓰러지듯

301
오, 비구여, 그대가 탄 배를 비울지니라
애증을 비워버린 빈 배는 가벼워
물결 위를 미끄러지듯 나아가리니
잠깐 사이에 그대를 열반의 저 언덕에 데려가리라

300
욕망의 밀림에서 모든 나무를 남김없이 제거하라
한두 그루 베어 넘기는 것으로 그치지 말지니
비구여, 그 밀림에서 두려움이 일지 않더냐
욕망을 자취 없이 근절하여 두려움에서 벗어나라

293
현상계의 선과 악을 초월하여
범행(梵行)을 갖추고
지혜로써 세상을 지나는 나그네
그를 진정 비구라 하네

...

2015년 10월 24일 토요일

마음속 소리


마음속에는─외부의 방해만 없다면─자기도 모르게 '소리 이미지(형용 모순!)'로 만들어진 배경 음악이 항상 흐르는 것 같다.

잘 관찰하고 추적해 보자.

2015년 4월 30일 목요일

기쁨 주는 것들


아들과 아빠가 다정하게 배드민턴을 친다. 
한 처자는 건강을 챙기느라 열심히 걷고 
노래 강습을 받고 나오는 중년의 여성들이 고양된 음파를 흩뿌린다. 
특히 어둑한 초저녁 달빛 아래 그들 특유의 고요한 노래를 선사하는 푸른 나무들이 있다.
내가 그들 되어 누리지는 못해도 아무런 이유 없는 이 희한한 기쁨이 도대체 얼마 만인가. 
세상사로 애먹는 친구를 위로한 덕인가 보다.

2015년 3월 31일 화요일

느긋한 자아 돌봄과 꾸준한 수행

출처: 트위터,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이야기( https://twitter.com/imaum0217)
관련 참고 자료: Breines, J. G., & Chen, S. (2012). Self-compassion increases self-improvement motivation. PSPB.

큰 욕심 없이─아니 욕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자기 지향성을 놓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자세. 허허실실이라고 할까, 아니면 '오늘 죽어도 상관없지만 되는 데까지 살다 가는 거야'라고 여기는 마음이랄까... 그와 비슷하면서도 참고할 만한 성찰이 있길래 아래에 약간의 각색을 붙여서 기록해 본다.

* * *
예전엔 무작정 잘하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점점 '못해도 좋으니까 그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는 단단함을 갖고 싶었다. 엄청 잘해도 늘 모자라다는 느낌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는 반면, 능력과 별개로 스스로에게 너그러운 태도로 찬찬히 해 나가는 사람들이 있다.
전자는 잘해봤자 본전이고 그다지 크게 행복해지는 거 같지도 않다. 워낙 기대치와 의무감이 높아서 잘 해도 '안도'하는 정도인 듯하다(요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이 보이는 특징이기도하다). 후자는 객관적 수행이 어떻든 늘 자기 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는 것 같다.
잘하면 '우와, 나 잘했어!'라며 기뻐하고, 못하면 '괜찮아!' 라고 훌훌 털 수 있는, 요런 단단함이 사람들로 하여금 두려운 수행으로부터 '도망가지 않게' 하고 또 실패했을 때에도 '책임을 피하지 않게' 함으로써 '발전'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들도 있었다.
반면 항상 잘해야만 하고, 실패는 용납할 수 없고, 오직 그래야만 멋진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늘 큰 두려움이나 시도도 하지 않은 채 도망치고 싶은 마음이나, 실패할 경우 책임 회피, 정신승리, 별로 발전이 없는 상태 등에 비교적 쉽게 노출된다.
또 우리들은 항상 남과 비교하며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낄지를 정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너그러울 줄 모르는 사람은 아무리 높은 실력과 스펙을 쌓아도 주변에 누구 한 명 자기보다 더 나은 존재가 있는 한 영영 열등감과 자학에서 벗어나기 힘들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