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25일 수요일

[메모: L.R. Wray's Introduction to] Theories of Money and Banking (2012)

출처: L. Randall Wray (ed), Theories of Money and Banking, I & II (Edward Elgar Publishing, 2012); Contents

※ sub-sections of the Introduction:

  • The Orthodox Story of the Origins of Money
  • Towards a Heterodox Critique
  • Primitive 'Exchange' and Primitive 'Money'
  • Private Property and Money
  • Relations between Money and Markets
  • Credit and State Theories of Money: Modern Money Theory
  • The Development of Central Banking and the Evolution to the Modern Financial System
  •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 발췌식 메모 (reading notes with excerpts):

* * *

Introduction

L. Randall Wray

Inconvenient as barter obviously is, it represents a great step forward from a state of self-sufficiency in which every man had to be a jack-of-all-trades and master of none. ...  If we were to construct history along hypothetical, logical lines, we should naturally follow the age of barter by the age of commodity money. Historically, a great variety of commodities has served at one time or another as a medium of exchange: ...tobacco, leather and hides, furs, olive oil, beer or spirits, slaves or wives ... huge rocks and landmarks, and cigarette buts.  The age of commodity money gives way to the age of paper money. ... Finally, along with the age of paper money, there is the bank money, or bank checking deposits (Samuelson, 1973, pp. 274-6)
Although this explanation of the origins of money and financial institutions is taught in almost all money and banking courses, it is internally inconsistent and has little historical foundation. There is an alternative approach that emerges from the heterodox literature on money, banks, the broader financial system, and monetary policy. This two-volume collection presents a cross-section of heterodox approaches to these issues. For purposes of contrast, some of the more important orthodox treatments are also included.

   This introduction integrates the various strands of this alternative view on the origins of money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financial system in a manner that is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facts, such as we know them. To be sure, the history of money is 'lost in the mists of time' as money's invention probably pre-dates writing. Further, the history of money is contentious. And, finally, even orthodox economists would reject Samuelson's caricature as historically inaccurate. Rather, the story told about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money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money. The orthodox story draws attention to money as a transactions-cost-minimizing medium of exchange. By contrast, the heterodox tradition focuses on money as a complex and important institutionㅡperhaps the most important institution in the capitalist economy (see Part I, II and III of Volume I, and especially Dillartt I.8(Volume I, Chapter 8).


[1] The Orthodox Story of the Origins of Money

According to the orthodox story, barter replaced self-sufficiency and increased efficiency by allowing for specialization.[n.1]  It was then discovered that further efficiency could be gained by using some object as a medium of exchange to eliminate the necessity of a happy coincidence of wants required for barter to take place. Thus, money sprang forth to facilitate exchange by lubricating the market mechanism, which had previously relied upon barter: money was created to minimize transactions costs. Further, 'fairground barter' replaced 'isolated barter' because this lowered the cost per unit of time taken to complete a transaction. Thus, the development of money and markets allowed the economy to move toward its optimum position with the lowest transactions costs (see Goodhart I.1).

  The argument is extended to the development of fiat money by noting that, in the 17th century, commodity money was commonly deposited with 'goldsmiths' for safe keeping against receipts called 'goldsmiths' notes'.  Time and effort (now called shoe leather costs) could be saved by exchanging notes, rather than by reclaiming the gold each time an exchange was made. The goldsmith discovered that, as a result, some notes were permanently in circulation so that the gold they represented was never withdrawn. Thus, goldsmiths could safely lend these gold reserves, or issue additional receipts as loans, creating the equivalent of modern fractional reserve banking. Since the cost of writing out these receipts was less than that of mining gold, goldsmith 'banking' was also a rational economic decision taken to reduce the costs of the transactions structure; paper money thus replaced commodity money.

  However, as goldsmiths had to keep some commodity money to facilitate clearing with other goldsmiths and for deposit withdrawals, the quantity of paper money issued would be closely governed by the quantity of commodity money held in reserve. Some of the goldsmiths gradually specialized, and the modern private banking system emerged, based on fractional reserve deposit banking.[n.2] Governments began to compete by issuing fiat money either through their treasuries or through their central banks. Private banks were permitted (or required) to hold this governmental (or quasi-governmental) fiat money as reserves. Thus, an increase in the issue of government fiat money would lead to a multiple expansion of bank deposits in the fractional reserve system.

  While the deposit multiplier might vary, central bank control over the privately issued supply of paper money (and, later, demand deposits) is ensured through control of bank reserves (Friedman II.1 and II.3, and Brunner II.2).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money from being privately created, the central bank must closely regulate the quantity of reserves.  Lack of moral fiber on the part of the authorities leads to excessive reserves and to excessive money. When the public finds itself with too much money, it spends the excess, causing inflation. Thus,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central bank is to serve as an inflation guard dog.


[2] Toward a Heterodox Critique 

The orthodox story, in which the present is a linear descendant of the past, relies critically on an approach identified as 'hypothetical, logical' in the passage by Samuelson above. The orthodox economists view our economy as a more or less free market economy in which only real variables matter (at least for the long run) and in which neutral money is used primarily to facilitate exchange of real goods, undertaken by self-interested maximizers for personal gain. The origins of money are then discovered by abstracting from this hypothetical economy to an economy that is an exact replication save one feature: it does not use money. The conventional economist compares these two economies and finds that the one using money faces lower transactions costs. Money must, therefore, have been created to reduce the transactions costs that arise in barter. Historical detail can be added to the feature, and mental gymnastics ensure that historical 'facts' are consistent with the basic neoclassical view of the world.

  'Money' can be discovered in almost any society (past or present) if one is willing to include as money 'tobacco, leather and hides, furs, olive oil, beer or spirits, slaves or wives ... huge rocks and landmarks, and cigarette butts', as Samuelson is wont to do (Samuelson, 1973 pp. 274-6).  If such objects cannot be found in a particular society, one can always argue that this society merely has not yet discovered money. All societies are based on exchange, or at least would be if natural propensities were allowed to flower.  If one is willing to define almost any human interaction as an 'exchange', then exchange can be found in any society.  Finally, all such exchanges must be made on the basis of cold calculation of self-gain, for no other exchange could be rational.

  Heterodox economists have mounted a several-pronged attack on this methodology and its conclusions.  First, institutionalists (in particular) have rejected the formalist methodology adopted by orthodox economists in favor of a substantivist methodology (Stanfield, 1986).  In the formalist methodology, the economists begins with the 'rational' economic agent facing scarce resources and unlimited wants (Dalton, 1971).  The focus, then, must be on choice; implicit or explicit relative prices will be generated (by an auctioneer or through tatonnement) to guide choice as rational agents maximize.[n.3]  Since the formalist methodology abstracts from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detail, it must be applicable to all human societies; indeed, it is presumably relevant for the study of any organism capable of making choices.  Institutionalists instead argue that economics has to do with a study of the institutionalized interactions among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n.4]  The economy is a component of culture, or, more specifically, of the material life process of society.  As such, substantivist economics cannot abstract from the institutions that help to shape economic processes; and the substantivist problem is not the formal one of choice, but one concer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n.5]

  The universalist, formalistic method should be rejected because institutions matter, influencing the social and economic arrangements adopted.  As these vary across cultures and over time,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taken to question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is dictates a comparative methodology: comparative anthropology addresses differences across cultures, while comparative history deals with the evolution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rough time (including within and across societies).  As Bloch argues the comparative method should 'analyze and isolate the "originality" of different societies' (Bloch, 1953, p. 507).  He claims that, if our analysis remains within the bounds of one society, we will never uncover the causes of germination of a historical development; a 'general phenomenon must have equally general causes' (Bloch, 1953, p. 505).  A series of monographs, each on a particular society, may be quite useful, but 'none of them, working separately, is able to provide the solution' to a question concerning the general causes of a general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monographs become important only because 'the comparative method can elicit from the chaotic multiplicity of circumstances those which were generally effectiveㅡthe real causes' (Bloch, 1953, pp. 505-6).  Use of comparative method allows one to 'isolate the "originality" of different societies' (Bloch, 1953, p. 507) by using 'factual studies which are detailed, critical, and well-documented' (Bloch, 1953, p. 520).

  The economist who wishes to use the comparative method faces a major hurdle: the economy in (all?) societies is 'embedded' in the total social fabric so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Stanfield, 1986, 0. 18).  This is the corollary o the institutional rejection of the formalist method: one cannot abstract from the institutions that shape (and are shaped by) society's way of 'making a living'.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pre-capitalist societies, where productive activities are closely integrated with other social activities (Stanfield, 1986, p. 76). [n.6]  Polanyi argued that, ...   ( ... p. xvi ... )

2013년 12월 24일 화요일

[자료]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한국회계기준원)

자료 1: [붙임 1] IASB 토론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검토’에 대한 검토 (회계기준원, 2013.9.17)


※ 발췌:
5. 자본의 정의와 부채와 지분상품의 구별
⑴ 자본의 정의
□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으로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개념체계 자본정의*를 그대로 유지
   *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현 개념체계 문단4.4)
□ 토론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ㅇ 자본청구(equity claim) : 기업자본에 대한 현재의 청구(claim)*
   * 토론서는 자본청구(equity claim)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해목적으로는 ‘자본’을 생각하면 됨.
 ㅇ 주요(primary) 자본청구 : 보고기업의 생존기간 동안 또는 청산시에 자본의 배분을 공유하는 현재의 권리(예: ①보통주, ②우선주와 같은 다른 종류의 주식, ③종속기업의 비지배지분(NCI))
 ㅇ 2차(secondary) 자본청구 : 다른 자본청구를 받거나 이전할 권리 또는 의무 (예: ①기업자신의 주식을 매수, 매각, 발행하는 선도계약(forward contract), ②기업자신의 주식을 매수, 매각하는 옵션)
 ㅇ 지분상품(equity instrument)* : 부채가 아닌 자본청구(equity claim)를 창출하는 금융상품
   * 위 자본청구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목적으로 기업의 자본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으로 생각하면 됨
⑵ 부채와 지분상품의 구별
□ 부채와 지분상품을 구별할 때 ‘부채의 정의’를 이용하도록 요구
 ㅇ 자기 지분상품을 발행하는 의무는 부채가 아님
 ㅇ 보고 기업이 청산(liquidation)하는 경우에만 발생하는 의무는 부채가 아님

자료 2: IFRS 및 IASB 최근 동향 (회계기준원, ‘13.1월, 2월 회의)

※ 발췌:
□ 자본의 정의
 ㅇ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
 ㅇ IASB 스태프는 IAS 32 '금융자산: 표시‘와 IFRS 2 '주식기준보상’간의 비일관성을 제거하기 위해 2단계 접근법*을 제시
   * 기업관점에서 경제적 자원을 이전하는 의무를 부채로 분류하며, 자본청구권(equity claim)을 자본으로 분류  
(위 자료 2 링크 속의 문서)

... ...

CF. 1: 채권 vs 주주권 (섬회계사)
금융청구권의 기본적인 두 가지 유형은 채권(debt claim)주주권(equity claim)이다.

...

[자료] 재무제표 분석과 가치평가

자료: 링크 (자료출처/시기: 미상)

※ 주요 내용:

재무보고(회계)의 개념체계(2003.12. 한국회계연구원, KASB)
대차대조표 작성기준(원칙)
손익계산서 작성기준(원칙)
대차대조표 형식(기업회계기준서)
...
재무제표붆석의 의의와 목적

※ 발췌:

기업의 가치(value of the firm) = 자기자본 가치(value of equity) + 타인자본 가치(value of debt):

  • 채권자 지분(debt claim)은 투자한 금액에 한정.
  • 주주 지분(equity claim)은 경영의사결정(새로운 영업전략, 투자계획→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필요)에 영향.







[책: Positive Money's] Modernising Money: Why Our Monetary System is Broken, and How It Can Be Fixed



주요 차례
...

Part 1: The Current Monetary System  (29)

 _ 1. A Short History of Money  (31)
  • 1.1 The origins of money  (31)
  • 1.2 The emergence of banking  (36)
 _ 2. The Current Monetary System  (47)
  • 2.1 Commercial (high-street) banks  (47)
  • 2.2 The business model of banking  (53)
  • 2.3 Money creation (59)
  • 2.4 Other functions of banking  (62)
  • 2.5 Money destruction  (68)
  • 2.6 Liquidity and central bank reserves  (70)
  • 2.7 Money creation across the whole banking system  (75)
 _ 3. What Determines the Money Supply?  (81)
  • 3.1 The demand for credit  (82)
  • 3.2 The demand for money  (85)
  • 3.3 Factors affecting banks' lending decisions  (88)
  • 3.4 Factors limiting the creation of money  (95)
  • 3.5 So what determines the money supply?  (109)
 _ 4.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Current System  (115)
  • 4.1 Economic effects of credit creation  (116)
  • 4.2 Financial instability and 'boom & bust'  (128)
  • 4.3 Evidence  (139)
  • 4.4 Other economic distortions due to the current banking system  (147)
 _ 5. Social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Current Monetary System  (155)
  • 5.1 Inequality  (155)
  • 5.2 Private debt  (158)
  • 5.3 Public debt, higher taxes & fewer public services  (159)
  • 5.4 Environmental impacts  (160)
  • 5.5 The monetary system and democracy  (165)

Part 2: The Reformed Monetary System  (173)

 _ 6. Preventing Banks from Creating Money  (175)
  • 6.1 An overview  (176)
  • 6.2 Current/Transaction Accounts and the payments system  (178)
  • 6.3 Investment Accounts  (182)
  • 6.4 Accounts at the Bank of England  (185)
  • 6.5 Making payments  (191)
  • 6.6 Making loans  (194)
  • 6.7 How to realign risk in banking  (199)
  • 6.8 Letting banks fail  (201)
 _ 7. The New Process for Creating Money  (203)
  • 7.1 Who should have the authority to create money?  (203)
  • 7.2 Deciding how much money to create: The Money Creation Committee (MCC)  (204)
  • 7.3 Accounting for money creation  (210)
  • 7.4 The mechanics of creating new money  (211)
  • 7.5 Spending new money into circulation  (211)
  • 7.6 Lending money into circulation to ensure adequate credit for businesses  (214)
  • 7.7 Reducing the money supply  (216)
 _ 8. Making the Transition  (219)
  • 8.1 The overnight 'switchover' to the new system  (220)
  • 8.2 Ensuring banks will be able to provide adequate credit immediatly after the switchover  (231)
  • 8.3 The longer-term transition  (233)
 _ 9.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the Reforms  (241)
  • 9.1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 reformed monetary systems  (241)
  • 9.2 Effects of newly created money on inflation and output  (241)
  • 9.3 Effects of lending pre-existing money via Investment Accounts  (246)
  • 9.4 Limitations in predicting the effects on inflation and output  (250)
  • 9.5 Possible financial instabilitiy in a reformed system  (251)
  • 9.6 Debt  (256)
  • 9.7 Inequality  (260)
  • 9.8 Environment (261)
  • 9.9 Democracy  (263)
 _ 10. Impacts on the Banking Sector  (265)
  • 10.1 Impacts on commercial banks  (265)
  • 10.2 Impacts on the central bank  (274)
  • 10.3 Impacts on the UK in an international context  (275)
  • 10.4 Impacts on the payment system  (277)
 _ 11. Conclusion  (285)


Part 3: Appendices
  • Appendix I: Examples of Money Creation by the State: Zimbabwe vs. Pennsylvania  (287)
  • Appendix II: Reducing the National Debt  (303)
  • Appendix III: Accounting for the Money Creation Process  (311)
Bibliography  (323)

[Let me share] Letter from Positive Money

Please let me share an email message, dated on 23 December 2013, from the Positive Money: 

* * *

It's been an exciting and slightly exhausting 12 months for Positive Money, and we're winding down for week off over christmas, but I just wanted to review some of things that have happened over the last year and say thank you to everyone who has been involved in one way or another. 

We started the year rushing to finish the book Modernising Money: Why Our Monetary System is Broken and how we fix it. The book is now the most detailed book ever written on taking the power to create money away from banks and returning it to democratic control. We've sold around 2,000 copies to date and given another couple of hundred to influential people who are thinking about the problems with our economic system. 

On Saturday 26th January, more than 280 people joined us in London for the Positive Money 2013 conference- the biggest event on monetary reform that had been held to date. Between the various workshops and updates on the campaign, one highlight was this talk by former Reuters journalists on why the media don't understand money

I opened that conference by talking about the growing discussion of the issue of money creation in the press and policy debates. Less than three weeks later, the former chairman of the UK's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gave a landmark speech where he proposed the idea that fuelling the economic recovery through debt-based money created by banks might not be a good idea - especially after a crisis caused by exactly that! Lord Adair Turner suggested that rather than relying on more bank-created money, or using QE to flood financial markets (benefiting the wealthiest more but doing little for the real economy), it would be better for the Bank of England to create money, grant it to the government, and for the government to spend this money into the economy. 
This idea - that the state should be allowed to spend money into the real economy rather than relying on banks to put it into the financial markets and property bubbles - is considered fairly radical amongst mainstream economists. But having someone who was at the centre of the financial system presenting these ideas has opened up the discussion and made these ideas much less of a 'taboo'. 

The door for the creation of money in the public interest is open... 



In March 2013 the UK government released a review of the "Monetary Policy Framework"that governs the Bank of England's remit and targets. The exciting detail about this was that the review recognised that the old mechanisms of managing money creation (e.g. lowering interest rates to encourage people to go further into debt) were no longer working effectively, and that something else was needed. The review permitted the Bank of England to use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instruments" - meaning that the door is open for the creation of money in the public interest, so long as it can be shown to be an effective way of meeting the Bank of England's remit. 

The proposal in Modernising Money suggests that banks should be prevented from creating money, and that power returned exclusively to the state. But we realised that no government of an economy the size of the UK is going to make such a change overnight. So we developed the ideas put forward by Lord Turner, along with some of the research we'd done for Modernising Money, to put forward a new proposal under the title Sovereign Money: Paving the Way for a Sustainable Recovery. This paper, which we released in early November, explains that the UK's current economic recovery is fuelled by money creation by banks and by rising personal debt. We explained that this will ultimately lead to crisis. And we proposed an alternative way of fuelling the economy that doesn't rely on rising debt, which is to have the state create and spend money into the real economy. This proposal allows the government to take a first step towards reclaiming the power to create money, in the public interest, and can be done without requiring the massive lobbying battle that will be required to fully stop banks creating money. 
In August my talk for BBC Radio 4's Four Thought programme was re-broadcast as part of their "Best of Four Thought" episode, going out on the second most popular radio station in the UK. 
Online we released this video on "What is Money", this one on why the monetary system means the gap between the very rich and the rest of us is getting bigger, and this one of 10 year old Holly explaining where money really comes from! And the 6 videos in our Banking 101 series (which offers one of the few accurate explanations of money creation available, in 50 minutes) have collectively been watched over 120,000 times. 
It's also been a very busy year around the country, with over 90 events held by the 18 local groups around the UK, some of them with a remarkable attendance, e.g. event organized by the Newcastle group, entitled “Where Does Money Come From?”, with over 100 attendees. 


The work of our local groups is very important for Positive Money campaign. Thanks to the efforts of the group in Wales, we have delivered talks to the Welsh Assembly, where a Cross Party Group on Monetary Reform was set up. Thanks to some of our active supporters Positive Money campaign has been mentioned in some local newspapers.


We've also seen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16 international campaigns for monetary reform around the world, and launched a simple website to link them all together.
After much debate the Green Party adopted a motion that is consistent with Positive Money's proposal to return the power to create money to a democratic body, in the public interest. (Don't hold your breath for the bigger parties to do the same just yet). 
  
This week we saw the 17,000th person join us on Facebook, and over 6,500 on Twitter. A few weeks ago this image was shared over 1,000 times. 
It's been a busy and productive year and we're grateful to everyone who has come to the conference, attended a local event, shared or talked about our videos and website, or helped to fund the work we're doing to change the monetary system. If you'd like to get more involved in the coming year, check out our upcoming conference, join a local group or become a regular donor to help us keep going. 
Have a great christmas and we'll be in touch again in the new year. 
Ben, Mira, Fran and Andrew

2013년 12월 22일 일요일

[발췌: Stafford Beer's] What Is Cybernetics? (2002)

출처: Stafford Beer(2002), "What Is Cybernetics?", Kybernetics, Vol. 31, No. 2, pp. 209-219:


※ Reading note with excerpts:

* * *

WHAT IS CYBERNETICS?

Stafford Beer

Salutation

Magnificent and most excellent Rector of the University of Valladolid

Most excellent and most illustrious Authorities

Members of the University Senate

Ladies and gentlemen


I wish that I could speak to you in Castellian, but it is almost thirty years since I last had occasion to use your beautiful language─and that was in circumstances of such stress that I still find it difficult to speak. On the 11th September 2001 a crime was committed in New York that the world will long commemorate. I hope that the Spanish-speaking world at least commemorates that earlier 11th September in 1973, the day of the Chilean golpe, when my Compañero President Salvador Allende died, and the people of Chile fell subject to decades of brutal suppression.

  Today, however, is a happier occasion. I wish to thank the University of Valladolid which, following the proposal made by the Escuela Universitaria Politécnica, has bestowed on me the high honour of Doctor Honoris Causa.


Popular Notions and Genuine Difficulties

The subject to which I have devoted my professional life is cybernetics. I am all too well aware that most people have no more than hazy idea of what it is all about. I have often been assured that it is about freezing people─but they were thinking of cryogenics. The more informed realize that it is concerned with systems and their regulation. But even then, there are so many ways in which that notion can be approached.

   Some people seem to think that cybernetics is part of engineering─they reckon that feedback loops are involved, and therefore focus on specific devices described by servomechanics. Other have heard of systems of training through behavioural psychology, and think of pigeons, or rats running mazes. Even so, the most advanced type of control machinery we know about is surely foun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human body. So they may go on to speculate that cybernetics is probably a branch of neurophysiology. All of these intuitions are true enough─but you might think rather localized. Let's face it, the modern world revolves around money and global markets─we might conclude that economics should therefore have the clue to its regulation in econometrics.

  But wait a minute. There might be broader issues. Maeterlinck talked about the spirit of the hive, and Canetti talked about crowds. These anthropological concepts offer a more general and cohesive notion of system. Behind that idea, in turn, is arrayed a whole range of biological facts that certainly deal with regulatory phenomena. They encompass wide-ranging kinds─from the specifics of the potassium-sodium pump, to the generalities of pray-predator balances. They discuss the whole epigenetic landsacpe, which leads in turn to unfolding the course of evolution itself. Mind you, this discussion is still humano-centric: and maybe we should start with ecology─which one can only suppose ought to be a thoroughly systemic science... ...

  It is time to stop. The shocking thing is that there is truth in every one of these notions, and the reason is because cybernetics i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It must be complicated. If I may be allowed one joke in a dignified discourse, it concerns three men who are about to be executed. The prison governor calls them to his office, and explains that each will be granted a last request. The first one confesses that he has led a sinful life, and would like to see a priest. The governor says he thinks he can arrange that. And the second man? The second man explains that he is a professor of cybernetics. His last request is to deliver a final and definitiv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cybernetics? The governor accedes to this request also. And the third man? Well, he is a doctoral student of the professor─his request is to be executed second.

  ( ... )

[발췌: 데이비드 그레이버, 가치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1장, 가치를 논하는 세 가지 방식

출처: 데이비드 그레이버, 가치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교환과 가치, 사회의 재구성 (그린비 2009)

※ 발췌:

1장, 가치를 논하는 세 가지 방식

( ... ... ) 최근의 그 어떤 문헌에서도 체계적인 "가치이론"을 발견하기는 어려울 뿐 아니라 대개의 경우 어떤 저자가 "가치"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도대체 어떤 종류의 (가치)이론에ㅡ만약 그런 것이 있기나 하다면 말이지만ㅡ근거하고 있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 역시 대단히 어렵기 때문이다. 때로는 이런 애매성이야말로 이 용어를 그처럼 매력적인 것으로 만드는 요인이 아닌가 싶은 생각조차 갖게 된다.

   이 장에서는 이런 현재적 상황을 설명해 줄 몇 가지 이유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나는 가치 개념을 둘러싼 이런 애매성이 인류학이 수년간 해결하지 못한 채 고전하고 있는 이론적 난관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약 20여 년 전 제기된 중대한 이론적 딜레마가 해결되지 못하고 방관된 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치이론이야말로 이 이론적 딜레마의 대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일반적 공감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그런 이론이 체계화되지는 못했으며 많은 학자들은 그저 마치 그런 이론이 실제로 존재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데에 익숙해져 있다.

   사회이론에서 기존에 "가치"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가치이론이 이 오랜 딜레마에 대한 해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학계 내부의 일반적 기대를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우리가 논하는 가치라는 단어의 용법은 과거에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구분되어 사용되어 왔다.

  1. 사회학적 "가치들": 인간의 삶에서 궁극적으로 옳고, 바람직하며, 타당한 것들을 지시하는 개념.
  2. 경제학적 "가치들": 대상에 대한 욕망의 정도, 특히 그것을 얻기 우해 다른 것을 얼마나 기꺼이 포기할 수 있는가에 의해 측정되는 욕망의 정도.
  3. 언어학적 "가치": 페르디낭 드 소쉬르[주2]의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기인하는 개념. 가장 간단히 정의하자면 "의미상의 차이를 낳는 최소한의 차이"(meaningful difference)로 규정될 수 있음.

   최근의 인류학자들이 "가치"에 관해 말할 때, 특히 20년 전이라면 "가치들"이라는 복수형으로 지칭되었을 것을 "가치"라는 단수형으로 지시할 때, 그들은 적어도 위에서 언급된 모든 것들이 하나의 단어로 불리는 것이 단순한 우연은 아니라는 점을 은연중 암시하는 셈이다. 궁극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가치"의 서로 다른 용법들은 동일한 한 개념의 변형들이다. 그러나 일단 이 사실에 주목하고 나면, 우리는 이것이 실로 쉽게 다룰 수 없는 도전적 개념임을 깨닫게 된다. 예컨대 이는 우리가 한 단어의 "의미"에 대해 말할 때와 "인생의 의미"에 대해 말할 때 전적으로 다른 무언가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며 이 두 가지 용법 모두가 동시에 냉장고의 시장가격과도 동일한 어떤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회의론자라면 "과연 세 가지 다른 가치의 용법들이 뭔가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 "공통점"은 너무 추상적이고 애매한 것이라서 그것을 지적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는 행동이다"라고 응대할지도 모르겠다. 이런 경우라면 바로 이 애매성이라말로 그 개념의 핵심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 개념의 문제가 "애매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된 세 종류의 가치 개념 각각에 대한 인류학적 탐구의 역사를 되돌아본다면 우리는 이 중 하나의 가치 개념에 대해 일관성 있는 이론을 정립하려고 앴던 학자들이 대부분의 경우 가치의 다른 두 용법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치명적 난관에 봉착하고 말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터이다.

   이제부터 나는 그런 실패의 역사적 사례들을 하나씩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클럭혼 프로젝트

"가치" 혹은 "가치체계"에 대한 이론은 철학("가치론"이라는 이름으로)이나 사회학(사회학에서 가치란 흔히 "가치-중립적"이라고 할 때의 바로 그 가치를 의미한다)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일반적인 생각처럼 인류학자들이 언제나 그 단어를 백안시해 왔던 것만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그 어떤 인류학 책이라도 한 권을 골라 책장을 차분히 넘겨가다 보면 십중팔구 "가치"에 대해 적어도 한두 마디 정도의 일반적 언급을 발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류학자들은 가치 분석을 인류학 이론의 한 분야로 만들려는 시도는 말할 것도 없고 대부분의 경우 그 개념을 정의하려는 시도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1940년대 후반과 50년대 초반 클라이드 클럭혼(Clyde Kluckhohn)이 일련의 학자들과 함께 하버드 대학에서 출범시킨 인류학 연구 프로젝트는 이런 지적 풍토 내의 중요한 한 예외였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가치 문제를 인류학의 중심 과제로 제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사실상 우리는 클럭혼 프로젝트를 인류학 그 자체를 가치에 대한 비교 연구로 재정의하려는 시도에 다름 아니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혅, 이 프로젝트가 여전히 언급된다면 이는 그 자체의 이론적 중요성 때문이 아니라 인간 행동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연구해 온 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간의 이론적 통합을 시도한 탤컷 파슨스의 <일반행동이론>[주3]에 그것이 미친 영향 때문이 경우가 많다. 심리학자들은 개인의 성격 구조를 탐구하고 사회학자들은 사회적 관계를 연구하며 인류학자들은 개인과 사회 모두가 어떻게 문화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조사하는데[,] 이는 많은 경우 가치가 어떻게 상징과 의미를 통해 각인되는지에 대한 연구로 이어진다. 본래 클럭혼의 인류학 연구 주제는 나바호(Navaho)족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곧 뉴멕시코와 림록 두 주에 초점을 맞추어[주4] 이 지역에 거주하는 서로 다른 다섯 부족, 즉 나바호, 주니, 모르몬, 텍산 및 멕시칸-아메리칸 사회 간의 가치에 대한 비교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다. 클럭혼은, 인류학적 관찰 및 분석을 최대한 통제 가능한 것으로 유지할 수만 있다면, 이 지역에 대한 연구가 완전히 다른 가치체계를 지닌 다섯 부족의 사람들이 어떻게 동일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지를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 ... ... )

   가치란 정확히 무엇인가? 클럭혼은 가치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계속해서 정교하게 발전시켜 갔다. 그러나 가치가 사람들이 여러 다른 행위의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하게 만드는 "바람직한 무언가에 대한 개념"이라는 사실은 기본적인 전제로서 계속 유지되었다.[주5] 여기서 핵심적인 것은 "바람직한"이라는 수식어다. 그러나 이때의 "바람직한 것"은 단지 사람들이 실제로 원하는 이런저런 모든 욕망들을 수식하기 위한 개념이 아니다. 이때의 가치는 사람들이 ^마땅히 원해야만 하는 것^에 대한 개념이며 그에 따라 무엇이 타당한 욕망이고 무엇은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하는 선택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즉 가치는 언제나 삶의 의미를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은 아니라 할지라도 최소한 사람들이 삶으로부터 정당하게 희망할 수 있는 무언가에 대한 개념으로 규정되었던 것이다. 가치를 정의하는 데 있어 보다 어려운 문제는 "다른 행위의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이라는 구절에서 발생했다. 클럭혼은 가치가 단순히 추상적인 삶의 철학이 아니라 사람들의 실질적인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개념들이라고 생각했으며 따라서 도대체 어떤 식으로 그런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규명해야 하 어려움에 직면했던 것이다.

p.32:    ( ... ... ) 클럭혼 프로젝트를 언급하는 많지 않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의 프로젝트 자체에 어떤 내적 결함이 있었던 것은 아니라는 점에 동의를 표시하곤 한다. 그들은 문제가 오히려 올바른 구조이론의 부재에 있었다고 진단한다. 클럭혼은 서로 다른 사회 간의 사유체계를 비교하고자 했지만 각 사회의 사유 방식을 하나의 체계로 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갖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생의 마지막 몇 년 동안 그는 언어학 모델을 차용하는 데 점점 더 큰 관심을 가졌지만 ( ... ) 클럭혼에 대하 비평가들은 구조주의 모델이 체계화되어 쏟아지기 시작한 1960년대 말까지 클럭혼과 그 사단의 작업이 계속되었더라면 모든 것이 완전히 달라졌을 거라는 의견을 암시적으로 표현하곤 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클럭혼 프로젝트는 아무전 지적 계승자도 만나지 못한 채 방치되었다. 이는 물론 인류학자들이 더 이상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몇몇 지역 연구 분야에서는 ( 특히 ... ) 분명 특정한 가치들에 강박적으로 집착하기도 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 중 하나로 대부분의 연구를 "명예"(honor)라는 가치 분석에 할애했던 지중해 지역 대상 인류학을 꼽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에는 "가치" 일반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이는 클럭혼의 지적 전통 아래에서 작업했던 몇몇 다른 학자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사실이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가장 영향력 있었던 미국의 문화이론가들, 이를테면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Geertz)와 데이비드 쉬나이더(David Schneider) 같은 이들은 많은 점에서 클럭혼의 지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었지만 그것을 다른 방향으로 전개해 갔기 때문이다.

   이는 실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별 성과를 내지는 못했지만, 문화적 차이는 단지 그 문화에 속한 사람들이 세계로부터 무엇을 원하느냐가 아니라 세계로부터 무엇으로 요구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느끼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클럭혼의 핵심적 주장은 대단히 의미심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바로 그런 이유에서 그는 인류학이 삶의 실질적인 철학에 대한 비교 연구가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사회과학 내에서 클럭혼의 기획과 가장 유사한 예를 찾는다면 막스 버버의 세계 종교 연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세계 종교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그 역시 인간 존재의 의미를 사유하게 해줄 일련의 체계들을 제시하고 개인들의 사회적 행동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자 시도했기 때문이다. ( ... ) 그러나 현재의 논의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가치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려 했던 최초의 가장 중요한 인류학적 시도가 거의 완전히 실패하고 말았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가치에 대한 이런 인류학적 관심은 1960년대에 경제학과 언어학의 두 분야에서 서로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다시 전개되기 시작한다.

p. 34:

최대화의 법칙

( ... ... ) 경제학의 전제는 대단히 간단하다. 사회는 개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개인은 그들이 삶에서 무엇을 원하는지 선명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최소한의 희생과 노력으로 최대한 많은 만족으로 얻으려 한다. (이는 흔히 "최소/최대 접근법이라고 불리는데 ... ) 이 전제를 받아들이는 경제학자들은 약간의 문화적 차이 혹은 "간섭"들을 크게 문제 삼지 않는 한 "사회"라는 것을 대체로 이런 개인적 이익 추구 활동의 결과로 정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브로니슬라브 말리노프스키(Bronislaw Malinowski)는 단행본 분량으로 나온 최초의 경제인류학 연구인 <서태평양 항해자(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에서 1922년에 이미 이런 "최소/최대" 법칙을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이런 법칙이 트로브리안드 제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적 행위들을 전혀 설명하지 못한다고 말하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분명 반박되어야만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개념은 최근 몇몇 경제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원시 경제 인간에 대한 전제이다. ... 이 개념은 원시 경제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한 합리적 판단에 근거하여 무엇보다도 최소한의 노력으로 그의 목적을 성취하려는 동기에 의하여 행동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단 ^하나^의 분명한 예만으로도 우리는 이런 가정이 얼마나 터무니없는 것인지를 잘 입증할 수 있다. 트로브리안드 제도의 원시 부족민들이 우리에게 이 왜곡된 주장을 반박할 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일단, 이미 살펴본 바처럼 그들의 노동은 최소한의 노력을 투자하려는 원칙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전적으로 불필요한 노동, 다시 말하자면 공리주의적인 이유에서 요구되는 노동에 투자하기 때문이다.[주9]
말리노프스키는 트로브리안드의 남성들이 그들의 얌(Yam) 밭을 대하는 태도를 예로 든다. 그들은 그들의 밭이 말끔하고 근사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무한한 에너지를 쏟아붓는다 (엄격한 "경제적" 의미에서 보자면 이는 전적으로 쓸모없는 노력이다). 밭을 가꾸는 이 모든 행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노동을 그것에 투자할 수 있는지를 과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작 그런 노동의 결과 산출된 수확물의 절반 가량은 소비자의 부족으로 인해 썩어서 버려지고 만다. 심지어는 얌을 길러낸 사람이 그 얌을 소비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여기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밭의 주인이 거둔 거의 대부분의 얌이, 물론 그가 초과노동으로 확보한 잉여생산까지를 모두 포함하여, 밭의 주인이 아니라 이런저런 결혼관계로 맺어진 친척들에게 귀속된다는 사실이다. 자세한 규칙들을 고려하지 않고 말한다면 수확량의 3/4가량이 일부는 족장에게 보내는 공물로, 또 다른 일부는 여자 형제들의(혹은 어머니의) 남편이나 가족들에게로 보내야 할 곡물로서 소비되었다.[주10]
   다시 말해, 트로브리안드 제도의 남자들은 그들의 노동을 "경제적으로 투자"라는 대신, 불필요한 작업의 수행에 더 많이 투자했으며 그리고 나서는 정작 그 노동의 결과물을 대부분 여자 형제 쪽 일가로 보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심지어 여기에는 그 어떤 직접적인 상호수혜적 관계조차 존재하지 않았다. 정작 그 밭의 주인 자신은 여동생의 가족이 보내는 식량이 아니라 자기 아내의 남자 형제들이 보내는 식량에 의해 부양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최소/최대 법칙을 반박하는 이런 예들을 끝없이 제시할 수 있으며 실제로 좀더 이른 시기의 인류학들에서 이미 이런 예를 숱하게 소개한 바 있다. ( ... ... )

   요컨대 경제학이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과 관련된 학문이라면 인류학은 집단적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최소/최대 모델을 인류학에 결합시키려는 시도들은 언제나 비슷한 종류의 대단히 복잡한 난관에 봉착하곤 했다. 경제인류학의 고전적 사례 연구 중 하나인 프란츠 보애스의 콰키우틀족의 포틀래치에 대한 보고[주12]나 트로브리안드의 쿨라 제도에 대한 말리노프스키의 논문[주13]은 모두 관찰자 자신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원칙 위에서 작동하는 교환체계를 분석한 바 있는데 이런 사회에서 그 사회의 가장 주요한 인물들은 재화를 소유하는 대신 경쟁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재화를 주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모스는 1925년에 이런 경제체계를 묘사하기 위해 "선물경제"라는 용어를 창안하기도 한 바 있다.

   ( ... ... )

p. 40:

   이런 경제학적 접근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부작용이 수반된다. 이런 식의 경제학적 분석을 위해서는 언제나 전통적인 사회학적 의미에서의 권력, 지위, 도덕적 순결성 등과 같은 일련의 "가치들"을 설정하고 이를 근본적으로 경제적 가치와 동일한 것으로 취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경제학적 인류학자들이 가치를 논하되 이를 다소 기이한 방식으로 논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사람이 더 많은 돈과 소유물 혹은 명예 사이에서 무언가를 선택한다고 말하는 것은 명예라는 추상적 가치를 물화시켜 그것을 마치 한 병의 스파게티 소스나 금속 조각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은 물건으로 취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예는 개인의 의지에 따라 처분하거나 소비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에 존재하는 추상적 태도이자[주15] 오직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서만 존재하는 관념의 형태이다. ( ... ) 그러므로경제학자들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에는 이미 사회적 관계를 사물로 환원하는 모종의 태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치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주16]은 이런 태도를 모든 것에 확장, 적용시키켜 언급된 사물화 경향을 더욱더 심화시킨다.
[주15] 비슷한 방식으로 권력 역시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추상적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사적 재산의 형태와는 구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 ... ) 경제학자들이 가치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이 만족의 예상치이다.

결국 대부분의 경제학 이론은 "사회"의 존재를 지워 버리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설사 우리가 모든 사회적 관계를 사물로 환원하고 그 결과 경험주의자들의 이상인 개인과 사물로만 구성된 세계의 창조에 성공한다 할지라고 사람들이 왜 어떤 대상이 다른 대상보다 더 큰 만족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된다. 지금까지 사람들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주로 생리학적 요구[주17]에 의존하고 해왔다. 그러나 왜 세계의 어떤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초콜릿 치즈 케이크 대신 소금에 절인 자두 음료에서 더 큰 만족으로 느끼고 한 지역에서는 비만으로 간주되는 체형이 또 다른 지역에서는 매력적인 몸매로 간주되는지 등의 질물들에 직면할 때면 경제학자들은 결국 다시 사회 혹은 문화와 같은 개념의 필요성을 마지못해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것이 바로 1960년대 경제학적 인류학에서 첨예하게 대두된 형식론자 대 실재론자(Formalist-Substantivist) 간 논쟁의 핵심적 논제였다.[주18]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논쟁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생각하며 양자 모두의 이론적 전제가 타당하지 않은 것이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논쟁을 일으킨 근본적 문제 자체는 아무런 해결책을 찾지 못한 재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들의 논의를 간단히 요약해 보자.

p. 43: "형식주의"와 "실재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창안한 것은 헝가리의 경제학자인 칼 폴라니였다. 폴라니의 <거대한 변환The Great Transformation>은 18-19세기 영국에서 우리가 지금 "시장"이라고 부르는 것이 탄생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하는 책이다. 그 당시 시장은 거의 자연적인 현상( ...)의 직접적 발현이라고 간주되고 있었는데 시장에 대한 이런 이해는 또한 자연스럽게 경제이론이 의지하고 있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 전제 역시 공유하고 있었다. [그들의 근본적 전제는]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며 언제나 그들이 원하는 것을 획득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계산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이 자연스럽게 행동하도록 내버려구기만 하면 "자유시장"과 같은 공간은 반드시 발생하기 마련이다[마련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인류 역사의 99%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이런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이런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단지 이런저런 국가 혹은 봉건 지배층의 개입과 간섭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힘에 기초한 봉건적 관계는 자유에 기초한 시장의 역학에 근본적으로 적대적이기 때문이다. ( ... )[주19]

   폴라니의 저서가 갖는 미덕은 이런 식의 상식적 믿음이 얼마나 왜곡된 것인지를 입증해 냈다는 데에 있다. 사실상 국가와 그것의 압제적 권력기구들이야말로 우리가 "시장"이라고 알고 있는 것, 사유제산과 국가통화, 법률 계약과 신용시장 등에 기초한 바로 그 제도를 탄생시킨 기본적인 동력이다. 이 모든 것들이 오직 정부의 정책에 의해 탄생되고 또 유지되기 때문이다. 시장은 그 시작부터 국가의 창조물이었으며 언제나 그런 것으로서 존재해 왔다. ( ... )

   폴라니는 또한 이런 기구들이 창안되는 시기와 거의 동시에 스미스나 맬서스, 리카도 같은 이론가들이 어떻게 하나같이 인간과 자연 간의 유비에 기초하여 이런 시장의 법칙들이 자연의 보편적 규칙을 따르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지를 보여 준다. 폴라니는 이런 법칙들에 대한 연구를 경제적 "형식주의"라고 명명하고 시장에서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런 형식주의적 입장을 적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타탕하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의 사회가 이런 식의 시자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었다. 그런 사회에서는 그 자신의 내적 논리에 따라 작옹하는 자율적 행위의 장이라는 의미에서의 "경제" 개념을 적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이런 공간에서는 폴라니가 "실재적"이라고 부른 접근 방식을 통해 한 사회가 그 자신에게 음식과 주거 공간 및 다른 물질적 재화들을 공급하는 구체적 과정들을 검토해야만 했는데 [,] 이 과정에서 주지해만 할 것은 이런 재화 공급의 전 과정이 전체로서의 사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결코 정치나 친족관계, 혹은 종교 등과 구별할 수 있는 별도의 행위 공간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실재론적 입장에서 경제학적 인류학 연구를 진행한 학파(대표적 학자로 폴라니의 제자였더 조지 달튼George Dalton을 들 수 있다)는 그러므로 근본적으로 경험론적인 입장에 서서 그들의 작업을 수행했다. 즉 어떤 가정이나 전제 없이 특정 사회에서 재화들이 분배되는 방식을 관찰하고 그 분배의 원칙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이다. 이런 작업의 결과[,] 그들은 최대화의 원칙에 따라 작동하지 않는 일련의 새로운 교환과 분배의 형식들을 발견했고 인류학자들이 이미 익히 알고 있던 선물경제의 예들에 더하여 최대화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또 다른 예로서 이들을 추가했다. 재분배 경제redistributive economies나 중립거래지대ports of trade(서로 다른 지역의 상인들이 미리 결정된 교환 비율에 따라 물품 거래를 할 수 있는 일종의 중립무역지대)[주20] 또 교환 영역[주21] 및 마셜 살린스가 소개한 친교 영역sphere of sociability[주22]에 대한 연구 등이 이런 발견들의 결과라 할 수 있었다.

   ( ... ) [그러나] 서로 다른 "사회들"이 저마다 다른 재화 분배의 방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과 문제의 사회의 구성원이 선물을 주거나 신부대금을 요구하고 자유거래지대에서 상아와 사프란saffron을 교환할 때 자신들의 행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그들의 학문적 적대자들은 재빠르게 이런 약점을 발견했으며 그 결과 실재론적 접근은 곧 형식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론에 직면하게 된다.[주23] 형식주의자들은 칼 폴라니가 경제학이 진정 무엇에 대한 학문인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공격했다. 그들은 경제학이 "경제제도"라고 불릴 수 있는 어떤 것의 존재나 부재가 아니라 "경제적으로 사고하고 선택하는" 인간 행동의 유형을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이 말하는 "경제적 행동"이란 물론 사람들이 투자를 최소화하고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다른 희소 자원 가운데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그들 역시 이런 가설이 인간 본성에 대한 선험적 전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동시에 그들은 모든 이론은 ^모종의^ 가정 위에서 작업하지 않을 수 없으며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최종 이론이 갖는 설명 능력의 여부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또한 사회과학의 핵심이 서로 다른 사회체계의 형식들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특정한 방식을 행동하게 만드는 동기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강변하기도 했다.

   사실 실재주의자들에 대한 형식주의자들의 비판은 타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실재론적 접근은 아무것도 설명하지 않으면서 그저 이런저런 분류법을 제시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실재주의자들의 시도는 이후 좀더 큰 이론적 틀 아래 흡수되기도 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경우 뒤르켐Durkheim식 기능주의 사회학의 이런저런 변형으로 귀결되곤 했다. 경제학자들이 흔히 사회를 개인적 선택의 결과로 이해하는 반면 기능주의 사회학자들은 사회를 고유한 행위 능력을 가진 어떤 존재, 심지어 의식적인 목적을 가진 행위자에 가까운 무엇으로 이해하곤 한다. ( ... ) 그들은 경제제도가 전적인 카오스 상태에 빠질 수도 있을 사회의 개인들을 도덕적 관계로 연결시키거나 혹은 적어도 "사회"의 자원을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이 지점에서 제기되는 질문은 "사회"가 도대체 ^어떻게^ 개인들이 그런 제도에 따라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사회 성원들의 행위 동기를 설명하지 않는 이론들에거 우리는 그 어떤 종류의 규칙에 대해서라고 아무 생각 없이 순응하는, 마치 자동인형 같은 인간의 이미지를 만나게 될 뿐이다. 이런 종류의 이런은 그런 사회에서 도대체 변화가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우리에게 아무러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처럼 형식주으자들이라고 해서 이 점에 대해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한 것은 아니다. 그들은 기본적으로 시장이라는 상황에서 개인이 취하는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적 도구들을 가지고 작업하면서 이런 개념들을 이런저런 방식으로 변형해 적용함으로써 때로 특정한 문화에 속한 개인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성공하기도 한 바 있다. 그러나 행위자들이 그렇게 행동하도록 만든 가치의 문제나 전체로서의 사회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도 제공하지 못했다. ( ... )

   ( ... ) 실재주의자들의 경우처럼 전체로서의 사회라는 개념에서 출발했던 이들은 사회를 특정한 방식으로 재생산하려는 사람들의 동기를 설명하지 못했으며[,] 형식주의자들처럼 개인들의 욕망에 주목했던 이들은 사람들이 왜 특정한 최대화의 대상을 선택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혹은 그런 선택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  학자들은 다른 이론적 관심사로 눈을 돌려 버렸지만, 동일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계속해서 또다시 등장하고 있다. ( ... ) 오늘날 가장 새롭고 고무적 탈구조주의 이론으로 간주되는 주장들의 상당수는 사실상 그 공상적인 경제 공식의 자리를 그보다 더 공상적인 언어학 공식으로 대체한 거래행위론의 변형들에 다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구조주의와 언어적 가치 (p. 49)

언어학자들은 오랫동안 한 단어의 의미를 그것의 "가치"라고 불러 왔다. 상당히 이른 시기의 인류학에서부터 이미 이런 언어학적 "가치"를 다른 종류의 가치와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 중 가장 흥미로운 예 하나로 우리는 "집" 혹은 "치엥"(누에르족의 집)이라는 단어의 "가치"를 논하는 에번스-프리처드Evans-Prichard의 <누에르인(The Nuer)>를 들 수 있다.[주25] 에번스-프리처드에 따르면 누에르 사람에게 이 단어는 문맥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집이나 마을, 자신의 땅을 뜻하기도 하고, (외국인에게 말을 하는 경우에는) 누에르족의 영토 전체를 뜻하기도 한다. 또한 이 단어는 특정 사물을 지시할 뿐 아니라 그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한다. 게다가 이 단어는 그 대상에 대한 충성과 신의 그리고 이를 수호하기 위한 정치적 행동의 가능성도 전달한다.] 즉 누에르인에게 집이란 외부인에 대항해 지켜야만 하는 공간 일체를 의미했던 것이다. 이 경우 한 단어의 의미인 가치는 동시에 사회학적 의미에서의 "가치"에 연결된다. 에번스-프리처드는 "가치는 단어 속에 각인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주26]고 주장한다. 종족 분쟁이 발생했을 때 "집"이라는 개념이 적과 아군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이 단어는 "정치적 가치" 역시 지니게 된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가치"가 한 단어의 "의미"로부터 "중요한 무언가"를 지시하는 개념으로 이전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집은 결국 누에르인이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이해하고 자신이 속한 공간에 대한 충의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며 이런 점에서 그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어떤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에번스-프리처드의 접근 방식은 대단히 매력적[이기는] 하지만 어떤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그러므로 오늘날 단어의 가치를 이야기하는 인류학자들은 거의 예외 없이 에번스-프리처드가 아니라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창시자인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이론을 참조한다. (p. 50)

p. 51~:

  <일반 언어학 강의(Course in General Linguistics)>에서 소쉬르는 분명 모든 단어는 나름의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이 가치는 근본적으로 "부정적negative"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 단어의 의미가 오직 같은 언어 내의 다른 단어들과의 대비를 통해서만 확보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이라는 단어를 보자. 주어진 단어가 속한 언어 내의 다른 모든 색깔 이름을 알지 못한다면 "붉은색"이라는 단어의 의미 혹은 그것의 "가치"를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붉은색 이외의 색들을 모른다면 "붉은색"의 의미 역시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지역의 언어 중 하나에서 어떤 단어를 "붉은색"으로 번역할 수는 있겠지만, 만약 그 지역 언어에 "갈색"을 의미하는 단어가 없다면 그들이 말하는 "붉은색"과 영어의 "붉은색"은 사실 동일한 색이 아닐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 지역 사람들은 나무 둥치의 빛깔을 묘사하기 위해 "붉다"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실, 영어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붉다"라는 단어를 정의하는 방법은 그것을 푸르지도 않고 노랗지도 않으며 갈색도 아니고 또 이런저런 여타의 색이 아닌 색깔이라고 말하는 것이 될 터이다. 요컨대, 특정 색깔을 지시하는 단어의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에 속한 다른 모든 색깔의 가치 역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결국 한 단어의 의미는 그것이 속한 전체 언어 내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위치에 다름 아니라는 주장이다.[주28] 소쉬르의 이론이 인류학에 미친 영향은 두말할 나위 없이 막대한 것이었다. 그는 모든 의미의 체계가 언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직된다고 주장하면서 언어학 역시 그가 기호학semiology이라고 이름 붙인 상위 학문, 당시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던 의미의 과학[주29] 아래 속한 하부 항목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했는데[,] 구조주의는 이런 소쉬르의 제안 위에 시작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주28] 또는 이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모든 언어 각각이 이미 완벽한 색상체계(color spectrum) 위에서 시작되며 언어는 단지 이 전체 체계를 임의로 구분해 각각의 조각마다 이름을 부여한 것에 다름 아니라고 말이다. 이는 종종 실재라는 "파이를 조각내는(slicing the pie)" 것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주29] 그러나 이후의 학자들 대부분은 소쉬르가 창안한 세미올로지(semiology)라는 용어 대신 세미오틱스(semiotics)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
{*}  구조주의가 어떤 방법론이나 분석의 관점이 아니라 아예 하나의 학문이라고 말한 것인지...(??)
p. 52~:

  앞서 든 예에서 알 수 있듯이 (1) 소쉬르의 의미 분석은 문법보다는 단어에, 동사보다는 형용사와 명사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으며 아울러 인간의 행위보다는 그 행위의 대상에 더 초점을 맞춘 이론이었다. (2) 소쉬르의 이론에서 출발하여 그의 시대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던 기호학이란 학문을 발전시킨 이들이 물리적 사물의 의미를 분석[주30]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는 사실은 그러므로 실로 자연스러운 귀결이라 할 수 있겠다. { (1)(2)가 같은 문단의 다음 문장 (3) 및 뒤따르는 문장들과 어떤 관계로 연결되는 것인지??}
[주30] R. Barthes, Systèmes de la mode, Paris: Seuil, 1967 ; J. Baudrillard, La Système des Objets, Paris: Denoël, 1968 ; M. Sahlins, Culture and Practical Reason (어느 해?).
(3) 사물은 그들 사이의 유의미한 구별에 의해 정의된다. 대상의 의미(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속한 더 큰 체계 내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위치를 이해해야 한다. "붉은색"의 의미가 그것이 아닌 다른 모든 색에 의해 부정적으로 결정되는 것처럼, 예컨대 외부 아래 입은 터틀넥 셔츠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한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의류의 명칭들을 이해해야 한다. 즉 터틀넥 셔츠를 입고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이 외투 안에 와이셔츠를 입고 넥타이를 매지 ^않았으며^ 티셔츠를 입고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무것도 입지 않은 것 역시 아니라는 등등의 사실 모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 그것은 바로 그 단어가 동일 체계 내의 다른 단어들과 맺고 있는 관계 자체인 것이다. 이는 전체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독립된 부분을 설명할 수 없다는 대단히 의미심장한 주장이다.  하나의 대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모종의 총체적 체계를 먼저 파악해야만 한다는 이 주장은 구조주의의 핵심적 전체{로서}[로] 자리 잡는다. 그러므로 구조주의 분석의 핵심은 언제나 (마치 언어에서처럼) 모든 것을 하나로 연결시켜 주는 숨겨진 약호, 혹은 상징체계를 발견하는 것이다.

p. 53~:

  ( ... )

2013년 12월 21일 토요일

Some readings on Stafford Beer


1. The purpose of a system is what it does (Wikipedia)

2. Stafford Beer(2002), "What Is Cybernetics?" (Kybernetics, Vol. 31, No. 2, pp. 209-219):
Link 1 ; Link 2 ; ...

3. Obituary: Stafford Beer, World leader in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research, who combined management systems with cybernetics (Guardian, 5 Sep 2002)

4. Stafford Beer (World Organisation of Systems and Cybernetics)

5. Rosemary Bechler (2002), "Stafford Beer: the man who could have run the world"

6. Stafford Beer(1973), "Designing Freedom", The text of six radio broadcasts delivered as Massey Lectures.

7. Stafford Beer Collection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8. Howard Silverman (2013), "Stafford Beer: 1973 Massey Lectures"

... ...

2013년 12월 6일 금요일

[메모] Property swap


자료 1: 자료 링크 (2007년 8월)

※ 발췌: 

부동산스왑(Property Swap)은 매입자가 매기 시장이자율에 상응하는 금액을 매도자에게 지불하는 대신, 부동산(혹은 부동산지수)으로부터의 수익률에 상응하는 금액을 매도자로부터 수취하는 재무계약이다.4) 즉, 부동산스왑은 준거자산(reference asset)인 부동산(개별 자산 혹은 지수)의 수익률을 기초자산(underlying asset)으로 하는 파생계약의 일종이다. 이러한 부동산스왑의 계약구조는 <그림 1>과 같다.



부동산스왑 계약구조는 준거자산으로 시장이자율과 더불어 부동산 수익률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자율스왑 계약구조와 유사하다. 부동산스왑에서 매입자가 얻게 되는 수익은 부동산 수익률과 시장이자율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매기 지급일에서의 매입자의 수익Ⅱt는 다음과 같다. 

(1) ………………………… Ⅱt= ( r*t - rt )M

이때 M은 액면금액을, r*t 는 해당 기간의 부동산 수익률을, rt는 시장이자율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부동산스왑에서는 부동산 수익률이 시장이자율보다 높으면 매입자가 이득을 얻는 반면, 부동산 수익률이 시장이자율보다 낮으면 매입자는 손실을 입는다.5) 개별 부동산 자산의 경우 수익률은 부동산 자산으로부터의 임대소득과 자본이득의 증감에 따라 결정되며, 부동산 지수의 경우에는 지수 변화율이 곧 수익률이 된다. 실현된 만기 손익은 현금으로 결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투자자는 부동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이 시장이자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때 부동산스왑의 매입포지션을 취하는 반면, 부동산으로부터 의 상대적 기대수익이 낮을 때 부동산스왑의 매도포지션을 취하려 한다.

2) 해외에서의 부동산스왑 활용 사례

해외 금융선진국에서는 이미 부동산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1991년 영국의 선물옵션거래소인 FOX6)가 부동산지수와 관련한 선물을 상장한 바 있다. 이들 부동산지수 관련 장내선물은 성공적이지 못하였던7) 반면, 대표적 부동산지수인 IPD Capital Growth Index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장외 선도계약(PIF: property index forward)은 꾸준히 활용되고 있다. 한편, 미국의 CME는 2006년 6월 부동산지수 SPCSI8)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과 옵션을 상장하였다.

부동산스왑 계약은 복수의 PIF 계약의 조합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인 만큼 상품구조는 거래당사자의 요구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부동산이 대체투자자산의 일종으로 인식되면서 부동산 가격 변동을 예측하여 수익을 얻으려는 거래가 일반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부동산스왑이 좋은 투자수단이 되고 있다. 또한 부동산 자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는 위험을 헤지하려는 목적에서 부동산스왑을 활용할 수 있는데, 미국 및 유럽의 경우 보험회사 및 기업연금 펀드로부터의 수요가 많다. 예를 들어, 1993년 보스턴 소재 연금펀드가 보험회사를 거래상대방으로 부동산스왑 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데, Frank Russell-NCREIF9) 부동산지수가 기초자산으로 사용되었다.10) 

한편, 부동산스왑은 그 자체로서 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상품과 결합된 형태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예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동산스왑이 결합된 채권이 활용되고 있다. 동 채권의 이자 및 만기 상환액은 부동산투자로부터의 수익률에 연계되는데, 임대수익은 이자 지급에 사용되고 자본이득은 만기 원금 상환에 사용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일본에서 미국 소재 상업용부동산에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발행된 부동산연계채권이 유행한 바 있다. 영국에서도 IPD Capital Growth Index 등의 부동산지수에 연계된 증권이 활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스왑이 결합된 부동산담보대출 도 활용되고 있다. 동 계약에서는 대여자가 부동산 투자로부터의 자본이득을 차입자와 공유할 수 있는 대신 대출이자율은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수준에서 설정된다. 대여자는 별도의 부동산스왑계약이나 부동산연계증권의 발행을 통해 관련 위험을 헤지하기도 한다. 영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SAM증권11)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2013년 12월 4일 수요일

[G.B. Gorton & N.S. Souleles's] Special Purpose Vehicles and Securitization (2004 [2007])

지은이: Gary B. Gorton, Nicholas S. Souleles
출처: Mark Carey and René M. Stulz ed., The Risks of Financial Institutions (NBER 2006 [Univ. Chicago Press, 2007])

※ 발췌(reading note with excerpts):

( ... ... ) An SPV, or a special purpose entity (SPE), is a legal entity created by a firm (known ans the sponsor or originator) by transferring assets to the SPV, to carry out some specific purpose or circumsribed activity, or a series of such transactions.  SPVs have no purpose other than the transaction(s) for which they were created, and they can make no substantive decisions; the rules governing them are set down in advance and carefully circumscribe their activities. Indeed no one works at an SPV and it has no physical location.

   The legal form for an SPB may be a limited partnership, a limited liability company, a trust, or a corporation.[n.2]  Typically, off-balance sheet SPV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They are thinly capitalized.
  • They have no independent management or employees.
  • Their administrative functions are performed by a trustee who follows prespecified rules with regard to the receipt and distribution of cash; there are no other decisions.
  • Assets held by the SPV are serviced via a servicing arrangement.
  • They are structured so that, as a practical matter, they  cannot become bankrupt.
[n.2] There are also a number of vehicles that owe their existence to special legislation.  These include real estate mortgage investment conduits(REMICs), financial asset securitization investment trusts(FASITs), regulated investment companies(RICs), and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REITs).  In particular, their tax status is subject to specific tax code provisions. See Kramer (2003).
   In short, SPVs are essentially robot firms that have no employees, make no substantive economic decisions, have no physical location, and cannot go bankrupt.  Off-balance sheet financing arrangements can take the form of research and development limited partnerships, leasing transactions, or asset securitizations, to name the most prominent.[n.3]  And less visible are tax-arbitrage-related transactions.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questions of why SPVs exist.
[n.3] On research and development limited partnerships see, for example, Shevlin (1987) and Beatty, Berger, and Magliolo (1995); on leasing see, for example, Hodge (1996, 1998), and Weidner (2000). Securitization is later discussed in detail.
   The existence of SPVs raises important issues for the theory of the firm: what is a firm and what are its boundaries? Does a "firm" include the SPVs that it sponsors? (From an accounting or tax point of view, this is the issue of consolida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onsoring firm and its SPV?  In what sense does the sponsor control the SPV?  Are investors indifferent between investing in SPV securities and the sponsor's securities?  To make headway on these questions we first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SPVs.  Then we test some implications of the theory, using unique data on credit card securitizations.

   One argument for why SPVs are used is that sponsors may benefit from a low cost of capital, because sponsors can remove debt from the balance sheet, so balance sheet leverage is reduced.  Enron, which created over 3,000 off-balance sheet SPVs, is the leading example of this (see Klee and Butler 2002).  But Enron was able to keep their off-balance sheet debt from being observed by investors, and so obtained a lower cost of capital.  If market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 off-balance sheet vehicles, and assuming that these vehicles truly satisfy the legal and accounting requirements to be off-balance sheet, then it is not immediately obvious how this lowers the cost of capital for the sponsor.  In the context of operating leases Lin, Mann, and Mihov (2003) find that bond yields reflect off-balance sheet debt.[n.4]

   ( ... ... )
   ( ... ... )
   ( ... ... )

   Nonetheless, there are many unanswered questions.  Why are SPVs valuable?  Are they equally valuable to all firms?  Why do sponsors offer recourse?  How is the implicit arrangement self-enforcing?  The details of how the arrangement works and, in particular, how it is a source of value have never been explained.  We show that the value of the relational contract, in terms of cost of capital for the sponsor, is related to the details of the legal and accounting structure, which we subsequently explain.  To briefly foreshadow the arguments to come, the key point is that SPVs cannot in practice to bankrupt.  In the United States it is not possible waive the right to have access to the government's bankrupt procedure, but it is possible to structure an SPV so that there cannot be "an event of default" that would throw the SPV into bankruptcy.  This means that debt issued by the SPV should not include a premium reflecting expected bankruptcy costs, as there never will be any such costs.[n.6]  So, one benefit to sponsors is that the off-balance sheet debt should be cheaper, ceteris paribus.  However, there are potential costs to off-balance sheet debt.  One is the fixed cost of setting up the SPV.  Another is that there is no tax advantage of off-balance sheet debt to the SPV sponso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PV, the interest expense of off-balance sheet debt may not be tax deductible.

   ( ... ... )


12.2 Background on SPVs

In this section we briefly review some of the important institutional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SPVs and their relation to their sponsor.

12.2.1 Legal Form of the SPV

A special purpose vehicles or special purpose entiry is a legal entity that has been set up for a specific, limited purpose by another entity, the sponsoring firm.  An SPV can take the form of a corporation, trust, partnership, or a limited liability company.  The SPV may be a subsidiary of the sponsoring firm, or it many an orphan SPV, one that is not consolidated with the sponsoring firm for tax, accounting, or legal purposes (or may be consolidated for some purposes but not others).

   In securitization, the SPV most commonly takes the legal form of a trust. A trust is a legal construct in which a fiduciary relationship is created with respect to some property.  A trustee then has duties to perform for the benefit of third party beneficiaries.  See Restatement (Third) of Trusts.  Often the SPV is a charitable or purpose trust.  These traditional trus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vehicle with a different economic substance than what was perhaps contemplated by the law.  These transformed trustsㅡcommercial trustsㅡare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rusts (see Schwarcz 2003a, Langbein 1997, and Sitkoff 2003).

   A purpose trust (called a STAR trust in the Cayman Islands) is a trust set up to fulfill specific purposes rather than for beneficiaries.  A charitable trust has charities as the beneficiaries.  For many transactions there are benefits if the SPV is domiciled offshore, usually in Bermuda, the Cayman Islands, or the British Virgin Islands.


12.2.2  Accounting

A key question for an SPV (from the point of view of SPV sponsors, if not economists) is whether the SPV is off-balance sheet or not with respect to some other entity.  This is an accounting issue, which turn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transfer of receivables from the sponsor to the SPV is treated as a sale or a loan for accounting purposes.[n.7]  The requirements for the transfer to be treated as a sale, and hence receive off-balance sheet treatment, are set out in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 No. 140 (FAS 140), "Accounting for Transfers and Servicing of Financial Assets and Extinguishment of Liabilities," promulgated in September 2000.[n.8]  FAS 140 essentially has two broad requirements for a "true sale." First, the SPV must be qualifying SPV, and second, the sponsor must surrender control of the receivables.

   In response to Enron's demise,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 Board(FASB) adopted FASB Interpretation No. 46 (FIN 46; revised December 2003), "Consolidation of Variable Interest Entities, an Interpretation of Accounting Research Bulletin (ARB) No. 51," which has the aim of improving financial reporting and disclosure by companies with variable interest entities (VIEs). [n.9]  Basically, FASB's view is that the then-current accounting rules that determine whether an SPV should be consolidated were inadequate.  Because FASB had difficulty defining an SPV, it created the VIE concept.  FIN 46 sets forth a new measure of financial control, one based not on majority of voting rights, but instead on who holds the majority of the residual risk and obtains the majority of the benefits, or bothㅡindependent of voting power.

   A "qualifying" SPV (QSPV) is an SPV that meets the requirements set forth in FAS 140; otherwise, it is treated as a VIE in accordance with FIN 46.  FIN 46 doe not apply to QSPVs.  To be a qualifying SPV means that the vehicle: (1) is "demonstrably distinct" from the sponsor, (2) is significantly limited in its permitted activities, and these activities are entirely specified by the legal documents defining its existence, (3) holds only "passive" receivablesㅡthat is, there are no decisions to be made, and (4) has the right, if any, to sell or otherwise dispose of noncash receivables only in "automatic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certain events.  The term "demonstrably distinct," means that the sponsor cannot have the ability to unilaterally dissolve the SPV, and that at least 10% of the fair value (of its beneficial interests) must be held by unrelated third partes.

   On the second requirement of FAS 140, the important aspect of surrendering control is that the sponsor cannot retain effective control over the transferred assets through an ability to unilaterally cause the SPV to return specific assets (other than through a cleanup call or, to some extent, removal of account provisions).

   FAS 140 states that the sponsor need not include the debt of a qualifying SPV subsidiary in the sponsor's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 QSPV must be a separate and distinct legal entityㅡseparate and distinct, that is, from the sponsor (the sponsor does not consolidate the SPV for accounting reasons).  It must be an automation in the sense that there are no substantive decisions for it to ever make, simply rules that must be followed; it must be bankruptcy remote, meaning that the bankruptcy of the sponsor has no implications for the SPV, and the SPV itself must (as a practical matter) never be able to become bankrupt.


12.2.3  Bankruptcy

An essential feature of an SPV is that it be bankruptcy remote. This means that should the sponsoring firm enter a bankruptcy procedure, the firms creditors cannot seize the assets of the SPV.  It also means that the SPV itself can never become legally bankrupt.  The most straightforward way to achieve this would be for the SPV to waive its right to file a voluntary bankruptcy petition, but this is legally unenforceable (see Klee and Butler 2002, p. 33 ff.).  The only way to completely eliminate the risk of either voluntary or involuntary bankruptcy is to create the SPV in a legal form that is ineligible to be a debtor under the U.S. Bankruptcy Code.  The SPV can be structured to achieve this result.  As described by Klee and Butler: "The use of SPVs is simply a disguised form of bankruptcy waiver" (p. 34)

   ( ... ... )


12.2.4  Tax

There are two tax issues[n.10]  First, how is the SPV taxed?  Second, what are the tax implications of the SPV's debt for the sponsoring firm?  We briefly summariz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easier to answer.  SPVs are usually structured to be tax neutral, that is, so that their profits are not taxed.  The failure to achieve tax neutrality would usually result in taxes being imposed once on the income of the sponsor and once again on the distributions from the SPV.  This "double tax" would most likely make SPVs unprofitable for the sponsor.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design an SPV to achieve tax neutrality.  We briefly review some of them.

   Many SPVs are incorporated in a tax haven jurisdiction, such as the Cayman Islands, where they are treated as "exempted companies."  See Ashman (2000).  An exempted company is not permitted to conduct business in, for example, the Cayman Islands, and in return is awarded a total tax holiday for 20 years, with the possibility of a ten-year extension.  Because such entities are not organized or created in the United States, they are not subject to U.S. federal income tax, except to the extent that their income arises from doing busines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organizational documents for the SPV will limit it so that for purposes of the U.S. Internal Revenue Code of 1986, it can be construed as not being "engaged in U.S. trade or business."

   An investment trust that issues pass-through certificates is tax neutral; that is, the trust is ignored for tax purposesㅡthere is no taxation at the trust levelㅡand the certificate owners are subject to tax. ( ... ... )

   More common than pass-through structures are pay-through structures. Pay-through bonds are issued by SPVs that are corporations or owner trusts.  In these structures, the SPVs issue bonds, but this requires that there be a party that holds the residual risk, an equity holder.  If the SPV is a corporation, the the pay-through bonds have minimal tax at the corporate level because the SPV's taxable income or los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yields on its assets and the coupons on its pay-through bonds. Typically these are matched as closely as possible.

   The second question is more complicated.  Some SPVs achieve off-balance sheet status for accounting purposes but not for tax purposes. Securitizations can fit into this category because they can be treated as secured financing for tax purposes.


12.2.5  Credit enhancement

Because the SPV's business activities are constrained and its ability to incur debt is limited, it faces the risk of a shortfall of cash below what it is obligated to pay investors.  This chance is minimized via credit enhancement.  The most important form of credit enhancement occurs via tranching of the risk of loss due to default of the underlying borrower.  Tranching takes the form of a capital structure for the SPV, with some senior-rated tranches sold to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s (called A notes and B notes), a junior security (called a C note) which is typically privately placed, and various forms of equity-like claims.  Credit enhancement takes a variety of other forms as well, including over-collateralization, securities backed by a letter of credit, or a surety bond, or a tranche may be guaranteed by a monoline insurance company.  There may also be internal reserve funds that build-up and diminish based on various criteria.  We will review this in more detail later with respect to credit card securitization in particular.


12.2.6  The Use of Off-Balance Sheet Financing

Off–balance sheet financing is, by definition, excluded from the sponsor’s financial statement balance sheet, and so it is not systematically reported. Consequently, it is hard to say how extensive the use of SPVs has become. Qualified off–balance sheet SPVs that are used for asset securitization usually issue publicly rated debt, so there is more data about these vehicles. This data is presented and discussed in the following. SPVs that are not qualified, however, are hidden, as was revealed by the demise of Enron. Enron led to assertions that the use of off–balance sheet SPVs is extreme.[n.11] But, in fact, the extent of the use of SPVs is unknown.


12.3  Securitization

Securitization is one of the more visible forms of the use of off-balance sheet SPVs because securitization uses qualified SPVs and involves selling registered, rated securities in the capital markets.  Consequently, there is data available.  Our empirical work will concentrate on credit card receivables securitization.  In this section we briefly review the important features of securitization SPVs.


12.3.1  Overviews of Securitization

Securitization involves the following steps: (1) a sponsor or orginator of receivables sets up the bankruptcy-remote SPV, pools the receivables, and transfers them to the SPV as a true sale; (2) the cash flows are tranched into asset-backed securities, the most senior of which are rated and issued in the market; (3) the proceeds are used to purchase the receivables from the sponsor; (4) the pool revolves, in that over a period of time the principal rereived on the underlying receivables is used to purchase new receivables; and (5) there is a final amortization period, during which all payments received from the receivables are used to pay down traches principal amounts. ( ... ... )

   Figure 12.2 shows a schematic drawing of a typical securitization transaction.  The diagram shows the two key steps in the securitization process: pooling and tranching.  Pooling and tranching cor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risk. Pooling minimizes the potential adverse selection problem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the assets to be sold to the SPV.  Conditional on selection of the assets, tranching divides the risk of loss due to default based on seniority.  Since tranching is based on seniority, the risk of loss due to default of the underlying assets is stratified, with the residual risks borne by the sponsor.

   ( ... ... )

   Closely related to securitization is asset-backed commercial paper (ABCP).  Asset-backed commercial paper SPVs are called "conduits."  ABCP conduits are bankruptcy-remote SPVs that finance the purchase of receivables primarily through issuing commercial paper.  ( ... )

[Z. Pozsar's] The Rise and Fall of the Shadow Banking System (2008)


※ 발췌(reading note with excerpts):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onstellation of forces that drove the emergence of the network of highly levered off-balance sheet vehiclesㅡthe shadow banking systemㅡthat is at the heart of the credit crisis.  Part one of this four-part article presents the evolution of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s and how they changed from tools to manage credit risk to a source of credit risk in and of themsevles. Part two discusses the types of investors who ended up hold subprime exposure through CDOs, and why the promise of risk dispersion through originate-to-distribute model failed to live up to expectations.  Part three defines the shadow banking system, discusses the causes and repercussions of its collapse, and contrasts it with the traditional banking system. An accompanying chart provides an exhaustive view of the institutions, instruments and vehicles that make up the shadow banking system and depicts the asset and funding flows in it.  Finally, part four discusses why it might still be too early to call an end to the credit crisis.


Banking's changed nature.

The traditional model of bankingㅡborrow short, lend long, and hold on to loans as an investmentㅡhas been fundamentally reshaped by competition, regulation and innovation.  Everything from the types of assets bank hold to how they fund themselves to the sources of their income have changed dramatically.  Competition from finance companies and broker-dealers in lending to consumers, corporate and sovereigns; changes in rules governing capital requirements; and innovations in securitization and credit risk transfer have been key facilitators of this change, and have led to the gradual emergence of the originate-to-distribute model of banking.

   The originate-to-distribute model has deeply changed the way credit is intermediated and risk is absorbed in the financial system, as these functions now occur less on bank balance sheets and more in capital markets.  Banks no longer hold on to the loans they originate as investments, but instead sell them to broker-dealers, who in turn pool the undelying cash flows and credit risks and, using dedicated securities, distribute them in bespoke concentrations to a ranger of investors with unique risk appetites.  To properly function, the originate-to-distribute model needs liquid money and securities markets to intermediate credit through the daisy chain of asset originators, asset packagers and asset managers.

   The originate-to-distribute model and the securitization of creidt and its transfers to investors through traded capital market instruments has been part of the financial landscape since the 1970s, when the first mortgage-backed securities were issued.  But this model has grown increasingly more complex over the past decade, as securitization expanded to riskier loans and came in increasingly more opaque and less liquid forms such as structured finance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s.  These developments were driven by loose monetary policy and depressed yields in recent years and became most apparent in subprime mortgage lending.  Low interest rates created an abundance of credit for borrowers and a scarcity of yield for investors.  With the housing boom as the backdrop, exotic mortgages to borrowers with spotty credit histories and investors stretched for yield made for a potent mix of inputs for trouble ahead.


Part I─CDO evolution

The 1988 Basel Accord was the main catalys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edit risk transfer instruments.  Following the banking crises of the late 1980s, which were triggered by laon deaults by Latin American governments, the accord applied a minimum capital requirement to bank balance sheets and required more capital protection for riskier assets.  These rules prompted banks to reconfigure their assets using credit risk transfer instruments such as credit default swaps or CDOs.  This was done either by purchasing insurance against credit losses using CDSs (reducing the gross risk of a loan portfolio) or by removing the riskier (first loss) portions of a loan portfolio using CDOs.

   Initially, CDOs were applied to corporate loans. A bank would pool the corporate loans on its books (the assets of a CDO) and carve up the pool's underlying cash flows into tranches with varying risk profiles (the liabilities of a CDO).  Payouts from the pool were first paid to the least risky senior tranches, then the mezzianine tranches, and lastly to the most riskly equity tranches.  Conversely, losses were first allocated to equity tranches, then to the mezzanines, and only then to senior tranches. Correspondingly, equity tranches offered the highest yields and senior tranches the lowest in CDO's capital structures.

   Tranching did not reduce the overall amount of risk associated with the pool.  It merely skewed the distribution of risks such that equity tranches ended up with a concentrated dose and senior tranches ended up with diluted ones.  In this sense, equity tranches are overleveraged instruments, whereas senior tranches are underleverage of the entire CDO, and the leverage of the entire CDO, similar to whole loans and bonds, is one by construction.[n.1]  This pooling and tranching of loans allowed banks to sell credit risk in concentrated forms using equity tranches and to hold on to credit risk in diluted form through senior tranches, allowing them to set aside a much smaller amount of capital than for whole loans.[n.2]

   This initial raison d'etre of CDOs changed over time.  They were no longer used solely to fine-tune the risk profile of a bank's loan portfolios to manage capital requirements (so-called balance sheet CDOs), but also to pool traded whole loans and corporate bonds, earning a spread between the yield offered on these assets and the payment made to various tranches (arbitrage CDOs).

   ( ... ... )


Part II─ No risk dispersion  ( ... ... )


Part III─Shadow Banking System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