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자료동네 | 기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자료동네 | 기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11월 8일 목요일

Cell Biology:// Heteroplasmy vs. Homoplasmy



- A cell can have some mitochondria that have a mutation in the mtDNA and some that do not. This is termed heteroplasmy. The proportion of mutant mtDNA molecules determines both the penetrance and severity of expression of some diseases.

- Homoplasmy refers to a cell that has a uniform collection of mtDNA: either completely normal mtDNA or completely mutant mtDNA.

- A unique feature of mtDNA is that, at cell division, the mtDNA replicates and sorts randomly among mitochondria. In turn, the mitochondria sort randomly among daughter cells. Therefore, in cells where heteroplasmy is present, each daughter cell may receive different proportions of mitochondria carrying normal and mutant mtDNA.




2. 출처: Mitochondrial DNA, https://en.wikipedia.org/wiki/Mitochondrial_DNA

Mitochondrial DNA (mtDNA or mDNA) is the DNA located in mitochondria, cellular organelles within eukaryotic cells that convert chemical energy from food into a form that cells can use, adenosine triphosphate (ATP). Mitochondrial DNA is only a small portion of the DNA in a eukaryotic cell; most of DNA can be found in the cell nucleus and, in plants and algae, also in [plastids] such as [chloroplasts].

In humans, the 16,569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encode for only 37 genes. Human mitochondrial DNA was the first significant part of the human genome to be sequenced. In most species, including humans, mtDNA is inherited solely from the mother.

Since animal mtDNA evolves faster than nuclear genetic markers, it represents a mainstay of phylogenetics and evolutionary biology. It also permits an examination of the relatedness of populations, and so has become important in anthropology and biogeography. ( ... ... )


출처 3: FAQs: Mitochondrial DNA Explained (Phillips DNA Project)


Mitochondrial DNA (mtDNA) is genetic material found in mitochondria.  It is passed down from mothers to both sons and daughters, but sons cannot pass along their mothers' mtDNA to their children.  This is because mtDNA is transmitted through the female egg.  The mtDNA found in the egg is nonrecombinant, meaning that it does not combine with any other DNA so that it is passed down virtually unchanged through the direct maternal line over the generations.  You inherited your mtDNA exclusively from your mother.

The mtDNA test is more of an anthropological test than a genealogical test.  From a genealogical standpoint, mtDNA is not very useful for two reasons.  The first reason is ( ... ... )

The second reason mtDNA is not very useful for historical genealogical research is because mtDNA mutates very, very slowly - much slower than yDNA.  This means that your mtDNA is nearly identical to the mtDNA of your straight line maternal ancestor who lived thousands of years ago, and it is also identical to thousands of people living today.  My mother has over 1,000 low resolution mtDNA matches in the FTDNA database.  This means she shares a common maternal ancestor with them somewhere back in time.  The problem is there is no way to know whether this common maternal ancestor lived recently or thousands of years ago. ( ... ... )

2018년 7월 14일 토요일

2018년 7월 6일 금요일

재검색: Louis Bachelier



─. 이전 검색: http://hsalbert.blogspot.com/2017/09/louis-bachelier-and-random-walk.html


─. 발췌: Jim Holt, "A Random Walk with Louis Bachelier"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Oct 24 2013)

While he was a doctoral student in mathematics at the Sorbonne, Bachelier derived his financial model by considering the movement of bond prices on the Paris Bourse.

His striking conclusion was that such prices followed what came to be known as a “random walk”: buffeted by unpredictable bits of breaking news, they meandered in a way that was impossible to foretell. This is the nub of what is today called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 발췌: https://fr.wikipedia.org/wiki/Louis_Bachelier

Dans sa thèse de doctorat intitulée « Théorie de la spéculation », de son directeur de thèse Henri Poincaré, soutenue le 29 mars 1900 à la Sorbonne de Paris, il introduit l'utilisation en finance du mouvement brownien (découvert par le biologiste botaniste Robert Brown), ... ...


─. 발췌: Jean-Michel Courtault, Youri Kabanov, Bernard Bru, Pierre Crepel, Isabelle Lebon, et al.. Louis Bachelier On the centenary of Théorie de la Spéculation. Mathematical Finance, Wiley, 2000, 10 (3),
pp.339-353.

The date March 29, 1900, should be considered as the birthdate of mathematical finance: on this day French postgraduate student Louis Bachelier successfully defended at Sorbonne his thesis Théorie de la Spéculation. ( ... ... )

After the military service, having in total a four-year interruption of his studies, Louis Bachelier arrived in Paris to continue his university education at Sorbonne. Scarce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se years. ( ... ... )


─. 발췌: https://en.wikipedia.org/wiki/Louis_Bachelier

Bachelier arrived in Paris in 1892 to study at the Sorbonne, where his grades were less than ideal.

Defended on March 29, 1900 at the University of Paris,[2] Bachelier's thesis was not well received because it attempted to apply mathematics to an unfamiliar area for mathematicians.[3] However, his instructor, Henri Poincaré, is recorded as having given some positive feedback (though socially insufficient for finding an immediate teaching position in France at that time).

[2]의 출처: https://www.encyclopediaofmath.org/images/f/f1/LouisBACHELIER.pdf

( ... ... ) but his father's death forced him to interrupt his studies. He took them up again at the age of 22, and was successful in obtaining an undistinguished Bachelor's degree in Paris in October 1895. He then defended his doctoral thesis, entitiled “Théorie de la Spéculation” and written under the supervision of Enri Poincaré, on 29 March 1900 ( ... ... )


2018년 6월 24일 일요일

재검색:// conceptual arc에서 arc는 '틀(frame, framework)'처럼 꽉 짜인 것이 아니다

※ 발췌 (excerpts):


출처 1: Conceptual Structures: Applications, Implementation and Theory (1995)


2.2 A new approach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conceptual clustering, called COING, which consists in searching a concept hierarchy of a set of objects through a space of concept hierarchies ^explicitly^ built: the Generalization Space. This approach is based on a representation of complex objects using conceptual graphics [28]. We will first introduce some terminology and an example used along this article.


Knowledge representation. Our work being related to the MSG developed by Mineau [25], we have considered the same restrictions on the conceptual graphs: existential graphs where only binary relations are used. Such graphs may be decomposed without ambiguity as a set of triplets 〈concept 1, relation, concept 2. We call conceptual arc or arc such a triplet of a conceptual graph. Throughout this paper, we will use as an example a set of objects to be clustered (see figure 2). This set of objects, taken from [14], provides a good example of an application of our approach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objects do not require the full expression power of the conceptual graphs formalism. In this example, we represent each object using conceptual graphs; figure 3 presents the representation of an object.





The term ^concept^ will be used within two contexts:

 ─ an ^acquired concept^ in the conceptual clustering paradigm designs the entity "cluster + cluster description",

 ─ a ^domain concept^ corresponds to a concept of the conceptual graphs formalism.

( ... ... )


출처 2: Abstraction, Reformulation, and Approximation (2003)

A conceptual arc is a triplet: [concept(s)] → (relation) → [concept(d)], where (relation) corresponds to a relation between [concept(s)] and [concept(d)]. A conceptual graph is a graph composed of a set of conceptual arcs. For more information about conceptual graphs, the reader should refer to [25] [5].

Figure 1 below presents an example of a house description using conceptual graphs. The triplet [Window] → (color) → [White] is a conceptual arc. This example is used throughout the article to illustrate the algorithms presented.



출처 3: Character Arc, Conceptual Arc and Thematic Arc: Which Should You Use? (Michael Lee | Script Mag, 2016년 5월 5일)

There are suddenly a lot of people coming out against character arcs. Some critics and writers take issue with the notion that every script requires a character arc. They site examples of very successful movies where the main character doesn't undergo a big, dramatic change like the modern classic ^Ghostbusters^ and the recent ^The Martian^. And these people have a point to an extent.

( ... ... )

Does the world see him differently at the end?  This is a gray area. Often characters are defined by what they think and feel and what they do. But you can consid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world as part of their character. So what if that relationship is the thing that changes? It depends. What does the writer consider more important; the reason why society has changed its attitude towards the character? That would suggest a more thematic or conceptual arc for the story. But if what's important is how the change in attitude affects the character then we're back to the character arc.



2018년 6월 23일 토요일

검색: Ixion// 익시온의 형별 (지옥불의 수레바퀴? 하늘에서 이글거리는 태양의 수레바퀴?)

※발췌:


출처 1: 익시온, 탄탈로스, 시시포스 ─ 영원한 저주에 빠진 영혼의 해방 (블로그 푸른미르, 2012)


제우스는 익시온에게 벼락을 내려 올림포스 산에서 쫓아내고, 영원한 형벌을 내렸다. 그 영원한 형벌은 지옥에서 영원히 도는 불(Fire)의 수레바퀴에 익시온을 묶어 영원히 고통받게 하는 것이라고도 하고, 태양의 수레바퀴에 묶어 영원히 고통받게 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출처 2: https://en.wikipedia.org/wiki/Ixion

Ixion was expelled from Olympus and blasted with a thunderbolt. Zeus ordered Hermes to bind Ixion to a winged fiery wheel that was always spinning. Therefore, Ixion is bound to a burning solar wheel for all eternity, at first spinning across the heavens,[8] but in later myth transferred to Tartarus.[9]


출처 3: Britannica

Ixion abused his pardon by trying to seduce Zeus’s wife, Hera. Zeus substituted for her a cloud, by which Ixion became the father of Centaurus, who fathered the Centaurs by the mares of Mount Pelion. Zeus, to punish him, bound him on a fiery wheel, which rolled unceasingly through the air or, according to the more common tradition, in the underworld.


출처 4: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Zeus now unleashed a full set of punishments on Ixion. First, he was repeatedly lashed by Hermes until he repeated the phrase 'benefactors deserve honour' as if he meant it. Then he was tied to a flaming wheel (perhaps the Sun) which was sent to spin forever through the heavens. In later tradition, this was changed to Hades, or perhaps the wheel and its cargo just ended up down there eventually.


출처 5: [네이버 지식백과] 익시온 [Ixion]


제우스는 또 다시 신성모독의 죄를 범한 익시온을 불타는 수레바퀴에 묶어 허공으로 던져버렸다. 익시온은 타르타로스(저승)에 가서도 불타는 수레바퀴에 묶여 영원한 고통을 받고 있다고 한다. 전승에 따라 익시온이 묶인 수레바퀴에는 활활 타오르는 불길이 아니라 뱀이 휘감겨 있기도 하다.



출처 6: Encyclopedia Mythica


Ixion, as a punishment, was chained by Hermes with his hands and feet to a wheel, which is described as winged or fiery, and said to have rolled perpetually in the air or in the lower world. He is further said to have been scourged, and compelled to exclaim, "Benefactors should be honored."


출처 7: The Myth of Ixion (Cecil Smith | The Classical Review, Vol. 9, No. 5. June 1895. pp.277-280.)



2018년 6월 14일 목요일

용어:// 성경 vs. 성서

※ 이하 발췌:

출처 1: '성서'인가 '성경'인가 (김인보 신부 지음 | 가톨릭뉴스 여기지금, 2011년 11월 23일)

한국 천주교회는 1985년부터 '그리스도 왕 대축일'로 시작되는 연중 마지막 구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지내고 있다. '성서 주간'이 제정된 이유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한 마디로 '성경'이 지니는 중요성 때문이다. 예로니모 성인은 "성경을 모르면 그리스도를 모르는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도 바오로 역시 "성경은 전부 하느님의 영감으로 쓰인 것으로, 가르치고 꾸짖고 바로잡고 의롭게 살도록 교육하는 데에 유익"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성경은 '책' 또는 '거룩하게 기록된 것들'이라는 뜻
그렇다면 '성경'이라는 말은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성경'이라는 말은 그리스어 'biblia'에서 유래했다. 이는 '자세하게 기록한 쪽지'를 뜻하는 'biblos'의 복수형으로 '책'을 뜻한다. 그리고 이는 다시 라틴어 'Biblia'로 파생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영어권 국가드은 'The Bible'로, 스페인어권에서는 'La Biblia' 그리고 독일어권에서는 'Die Bibel', 프랑스어권에서는 'La Bible'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모두 라틴어의 영향으로 '책'이라는 의미로 쓰인 이름들이다.
또 다른 이름으로, 영어로는 'The Holy Scripture', 독일어로는 'Die Heilige Schrift', 프랑스어로는 'La Sainte Ecriture'가 있다. 이 역시 라틴어 'Sacra Scripture'에서 유래한 것으로 '거룩하게 기록된 것들'을 뜻한다. 하지만 이 'Scripture'는 '책'의 의미와 더불어 성경의 '구절' 또는 '내용'을 언급할 때 주로 사용한다.
'성경'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할 무렵인 기원전 1500년경에는 오늘날과 같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이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이집트와 시리아의 얕은 개울에서 주로 자라던 갈대의 일종인 '파피루스'(Papyrus) 줄기 껍질을 얇게 벗겨내 서로 엇갈려 겹쳐 놓은 뒤 그늘진 곳에서 말린 후 펴서 기록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파피루스에서 '종이'를 뜻하는 영어 'Paper'가 파생되었다.
( ... ... )
( ... ... )
나라마다 다른 이름, '성서'와 '성경'
몇 년 전부터 '성경'이라는 이름에 대한 질문을 자주 듣는다. 아마 그 동안 '성서'라고 불러오다가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에서 2005년에 새번역성경을 출간하면서 '성경'으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대한성서공회에서 1977년에 발간한 《공동번역 성서》 그리고 한국 천주교 전례 200주년을 기념하여 발간한 《200주년 성서》 등 '성서'라는 명칭을 써 오다가 '성경'이라고 부르기 어색한 탓도 있을 것이다.
우리와 같은 한자 문화권인 일본과 중국 역시 성경에 대한 명칭이 다르다. 중국에서 ‘성경’(聖經)이라 부르는데, 이는 한자 ‘경’(經)의 의미에서도 드러나듯이, 계율이나 법률적인 성격의 내용을 담고 있는 책에 대해서는 ‘경’(經)을 사용하는 전통을 따른 것이다. 중국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서적을 들여온 우리나라에서도 초창기에는 ‘성경’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1801년 신유박해 이전에 이미 <셩경직해광익> 또는 <셩경광익직해>라 불리던 우리말 최초의 성경이 있었고, 1892~1897년경 4복음서의 일부를 번역한 <셩경직해>가 발간되었으며, 1910년에는 불가타본을 번역한 한기근(바오로) 신부의 <사사셩경>이 출판되었다.
일본에서는 ‘성서(聖書)’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일본에서 성경(聖經)은 불경(佛經)을 뜻하기 때문에 혼란을 피할 목적으로 ‘성서’를 사용한 것이다. 이런 사정은 우리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 불교용어 가운데 ‘성경대’(聖經臺)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불경을 놓고 읽는 독서대(讀書臺)를 뜻하는 것으로 ‘독경대’(讀經臺)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경'인가 '성서'인가
성서(聖書)와 성경(聖經), 그 논란의 중심에는 경전성(經典性)이 자리하고 있다. 개신교 진보 신학자 정강길에 의하면 “경전성을 강조하는 보수적인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을, 비판적 접근을 강조하는 진보적 그리스도인들은 성서라는 말을 쓰는 경향”(<미래에서 온 기독교>, 정강길, 에클레시안, 2007)이 있다고 설명한다. 일면 맞는 말이기도 하다.
‘성경’을 사용하게 되면 성경의 규범적 차원이 강화되고, 법(法)적 권위를 드러내는 불가침의 성역으로 성경이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사사로운 해석이 금지되고, 교회 권위에 의한 해석만이 유일한 해석으로 강제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개신교의 경우에 ‘축자영감설’ 등 근본주의 교설이 힘을 얻을 수도 있겠다.
한편 ‘성서’란 이름을 쓰면, 정경(Canon)이란 뜻보다는 ‘역사적 산물인 책’의 의미로 쓰일 수 있기에, 독자들의 자유로운 해석의 여지를 더욱 넓혀준다. ‘성서’는 종교적 권위에 앞서 의미있는 삶을 위한 인생의 참고서로서, <탈무드>처럼 비그리스도인들에게도 친근한 느낌을 주게 된다. ‘성서’에 절대성을 부여하기 보다는 ‘성서’를 자유로운 탐구 영역으로 남겨두는 효과가 있다. 이런 점에서 ‘성경’은 교회의 권위에 기여하고, ‘성서’는 세상과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성서(聖書)를 쓰든, 성경(聖經)이라는 명칭을 쓰든지 간에, 근본적으로 그 내용과 본질에는 변함이 없다. 그리스도인이 삶의 ‘근본’(經)으로 삼아야 하는 하느님의 ‘말씀’이며, 또한 계시를 기록(書)한 ‘책’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서’와 ‘경’의 논란은 무의미할 수 있다.
( ... ... )
( ... ... )
덧붙여, 주교회의에 제안할 것이 있다. ‘성서’가 ‘성경’으로 바뀐 지 햇수로 6년여 되었다. 하지만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성서주간’ 등 교회용어들은 대부분 ‘성서’라는 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야 알 수 없지만 일관성이 없어 보인다. 신자들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위와 같은 명칭들도 개정하든가, 아니면 ‘성경’을 ‘성서’라는 본래 사용하던 이름으로 되돌려 놓아야 할 것이다.


출처 2: "성경"이 맞습니까? "성서"가 맞습니까? (홍삼열 지음 | 산타클라라 연합감리교회, 2015년 9월 21일)
기독교인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앙의 지침으로 삼는 책이 있다. 구약과 신약으로 이루어진 66권의 책이다. 이 책이 어떤 때는 성경(聖經)으로 불리고 어떤 때는 성서(聖書)로 불린다. 어떤 표현이 맞는 것일까?

이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입장이 존재한다.
첫째는 성경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다. “경”(經)이란 글자는 기독교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경전”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기독교 신자는 성서라는 표현 대신에 성경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다.
둘째는 성서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 있다. 영어 표현으로 The Bible 혹은 The Holy Scripture는 교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경전의 의미 이전에 하나님의 말씀이 담긴 책(書), 그러나 역사성이 있는 거룩한 책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성서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셋째는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교회가 성서와 성경을 별 구분 없이 그리고 큰 문제 없이 지금까지 사용해왔기 때문에 이제 와서 이 두 표현 사이에 옳고 그름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한국교회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 대한성서공회에서 번역 출판한 <성경전서>인데, 이미 이 이름 안에 “경”과 “서”가 함께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 ... ... )
현재 사람들이 기독교 경전을 지칭하는 표현을 들으면 “성경”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부류와 “성서”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부류가 좀 다른 것 같다. 매일 나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자 하는 일반 신도들은 성경이란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초대교회의 다양한 문헌들 중에서 선택된 책으로서 기독교 경전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성서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역사적으로 검토해 보면, 특히 신약성서의 예를 보면, 사도들이 썼다고 주장은 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사람들이 쓴 가짜 글들도 많이 있었다. 초대교회는 그런 글들 중에서 정말 사도들이 쓴 글을 식별해서 일정 숫자를 기독교 경전으로 확정하게 되는데 이것을 경전화(canonization) 과정이라 부른다. 그 덕분에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성경/성서가 만들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때 “성서”라는 이름보다는 “성경”이란 이름이 교회의 권위 혹은 교회제도와 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성경이란 명칭 안에는 하나님 말씀의 법적, 규범적 성격이 강해서 개인의 사사로운 해석이 금지되고 교회가 공식적으로 해석해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반면에 성서라는 명칭을 사용할 때는 성경이 어느 날 하늘에서 뚝 덜어진 “완벽한” 책이 아니라 역사적 산물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 교회의 공식적인 해석 이전에 어느 정도의 개인적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느낌으로 다가온다.
( ... ... )


출처 3: 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하버드 석학 하비 콕스의 바이블 가이드 (하비콕스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 펴냄 2018년)
( ... ... ) 이 책을 쓰면서 내가 바라는 것은 성서에 대한 '영적' 접근법이라는 관점에서 '성경 공부''성서학' 사이에 다리를 놓는 것이다. 내 목적은, 비전문가들로 하여금 성서학자들의 때로는 위협적인 연구에서부터 성경 공부에 적용할 수 있는 관점을 얻어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동시에 전문학자들 또한 성경 공부 모임에서 얻을 수 있는 통찰을 제대로 볼 수 있게끔 독려하는 것이다. 내 계획은 성서 속에서 몇몇 책을 골라서 논의하려는 것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 책들이 성서 전반에 걸쳐 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성경 공부와 성서학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각 책이 가르쳐줄 수 있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나는 하나님의 실재가 궁극적으로 표현 불가하다고 믿으며 그래서 두말할 것 없이 사람의 성별로 남아낼 수 없다고 믿는다. 따라서 근자에 찬송시와 기도를 번역할 때 성별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려는 노력을 지지한다. 그러나 성서 본문의 단어를 인용할 때 '그/그녀'he/she라고 어색하게 쓰는 일을 피하기 위해 나는 원어의 용법을 따르려 한다. 이런 경우는 어색한 것보다 옛것을 선호한 것이다.[주]

[주] 양성(兩性)을 모두 아우르는 현대적 어법을 사용하지 않고 남성을 '기본'으로 보던 고대 히브리어와 그리스어의 표현을 그대로 직역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우리말에서는 양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인칭 대명사 '그'가 있으므로 저자가 걱정하는 이 문제는 본 번역서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 ...

2018년 6월 7일 목요일

용어:// (un)constrained optimization



※ 발췌:

출처 1: 미스터 알고리즘 (페드로 도밍고스, 비즈니스북스 2016)

조건부 최적화(constrained optimization)는 일정한 제약 조건 아래에서 함수를 최대화하거나 최소화하는 문제다. ( ... ... ) 예를 들어 공장에서 가동하는 기계 장치의 수와 제품 규격, 그 외 다른 제약 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수를 최대화하고자 한다. ( ... ) 조건이 없는 최적화는 산의 정상에 도달하는 것이고 기울기 하강(이 경우는 기울기 상승)이 수행하는 일이다.

조건부 최적화는 도로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높이 올라가는 것이다. 도로가 정상까지 곧장 연결된다면 조건부와 무조건부 최적화(unconstrained optimization) 문제들의 해답은 같다. 하지만 더 많은 경우 도로는 지그재그로 산을 올라가다가 정상에 도달하지 않고 다시 내려온다. 더 이상 도로를 벗어나지 않고서는 더 높이 ( ... ... )


출처 2: 정보통신 기술용어 해설 (2018.03.31.)

비구속 최적화(unconstrained optimization), 구속 최적화(constrained optimizaion), 목적함수 및 구속조건(식), ....


출처 3: 알고리즘, 인생을 계산하다 (브라이언 크리스천, 청림출판 2018)

이는 수학자들과 컴퓨터과학자들에게 '제한적 최적화(constrained optimization)' 문제라고 알려진 한 사례다. 특정한 규칙들과 점수 측정법 하에서 한 변수 집합의 단일한 최적 배열을 찾아내는 방법을 가리킨다. ( ... ... ) 하지만 비서 문제처럼, 이 문제도 20세기 중반에 출현했기에 그 시대를 떠올리게 하는 전형적인 이름이 붙어 있다. '순회 외판원(traveling salesman problem)'다.


기타 생략...

2018년 5월 30일 수요일

탐색: Amazon// third-party seller

※ 발췌:


출처 1: 아마존 오픈마켓 판매방식, 유명 브랜드에 피해 (연합뉴스, 2012.10.24)

아마존이 운영하는 오픈마켓 플랫폼에서 외부 판매자(third-party seller)들이 [유명 브랜드] 제품을 지나치게 낮은 가격에 마구잡이로 판매해 [이들 유명 브랜드 회사들이] 피해를 입고 있지만, 아마존은 뒷짐을 지고 있다는 것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생산 업체들은 아마존이 외부 판매자의 규정 외 할인 행위에 대한 단속에 나서야 한다며 불편한 심기를 보이고 있다.

아마존은 제조업체로부터 도매가에 물건을 받아 직접 판매하는 전통적 전자상거래 방식이 아닌 외부 판매자들을 위한 마켓 플랫폼도 운영하고 있다. ( ... ) 그러나 오픈마켓에서 살아남기 위한 경쟁 때문에 판매자들이 정찰 가격 밑으로 물건을 팔아치우고 있는 데다, 이들 상품은 정식 유통 경로를 통하지 않고 공급 과정에서 '새나간' 물건이 많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 ... ... )


출처 2: 아마존 韓 이커머스 진출설 "기업정책상 공유 못해" (아시아경제, 2017.09.28)

( ... ... ) 온라인 쇼핑 업계는 아마존이 국내에 진출한다면 오픈마켓 형태의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외의 '제3자 판매자(third-party seller)들이 아마존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다. 이베이코리아, 11번가 등이 이같이 운영하고 있다. ( ... ... )


출처 3: "아마존, 브라질에서 오픈마켓 넘어 직접판매 논의 중" (뉴스원, 2018.03-08)

( ... ... ) 이번 논의는 아마존이 브라질 소매 시장에서 오픈마켓 서비스만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직접 판매시장에 뛰어들겠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마존은 지금까지 브라질에서 물류 인프라 없이 판매 플랫폼만 빌려주는 '제3자 판매자(third-party seller)' 서비스만 제공해왔다. ( ... ... )


출처 4: 2016∼2026 빅이슈 트렌드 : 한 발 앞서 내다보는 국내외 유망시장 (트렌즈지 특별취재팀 지음, 권춘오 옮김 | 일상과이상, 2015.12.2)

( ... ... ) 앞으로 5년 내에 제3자 판매자(third-party seller)의 브로커 역할을 하는 소매업자들이 늘 것이다. 현재 아마존닷컴에서는 전체 상품의 단 3분 1만 아마존이 판매자가 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나머지 3분의 2는 외부 벤더들이 아마존닷컴에서 판매하는 것이다. 월마트(Wal-mart)와 시어스(Sears)는 이러한 아마존의 전략을 그대로 따라해 매출을 상승시키기 시작했다. ( ... ... )

2018년 5월 22일 화요일

회사명: 블록버스터// Blockbuster


※ 발췌 (excerpts):

출처 1: 비즈니스 모델의 절대 강자 (카란 지로트라, 세르게이 네티신 지음 | 전략시티 펴냄. 2017)

블록버스터의 혁신 경험

그런데 우리가 주장하는 BMI[비즈니스 모델 혁신]는 사실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앞으로 설명할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많은 회사가 그동안 BMI를 산발적으로 실행해 왔다. 하지만 대부분 BMI를 정해진 데로 반복할 수 있는 명확하고 체계적인 과정으로 발전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 ... ... )

초창기 비디오 대여 시장을 개척하며 선구자로 자리매김했지만 이후 힘든 시기를 겪은 블록버스터를 예로 들어보자. ( ... ... )

1990년대 중반, 블록버스터는 영화 제작사에 VHS 테이프 한 개당 65달러를 지불했다. 한 번 대여료가 3달러이므로, 65달러의 비용을 만회하려면 최소한 22번은 대여해야 했다. 이와 같은 수익 모델 때문에 아무리 인기가 많은 최신 영화라고 지점마다 테이프를 대량 구매해 고객에게 대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게다가 블록버스터는 최신작이 출시되면 첫 일주일 동안은 의도적으로 대여를 제한했다. ( ... ... ) 블록버스터의 모기업인 비아콤Viacom의 CEO 섬너 레드스톤은 블록버스터의 비즈니스 모델 문제점으 이렇게 분석했다. "간단히 말해, 고객이 원하는 영화마다 충분한 개수의 테이프를 공급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습니다. ... 블록버스터 지점을 방문한 고객의 30%는 빈손으로 돌아가야만 했습니다. 블록버스터 경영진은 이를 가리켜 '(자신들에 의해) 의도된 불만족'이라고 표현했습니다."

( ... ... )

이와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블록버스터는 비즈니스 모델에 변화를 주기로 결심했다. ( ... ...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따르면, 블록버스터는 영화 제작사에 테이프당 3달러를 지불했다. 대신, 기존 모델 대비 가격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테이프 대여 수익의 반을 제작사화 나누기로 했다. 이제 테이프 한 개를 한 번만 대여해도 손해를 보지 않게 되었으므로, 블록버스터는 새로 출시되는 신작을 예전보다 많이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 대여 가능한 테이프의 수가 많아지자, 블록버스터의 매출 또한 급증했다. ( ... ... )

( ... ... ) 만약 블록버스터가 이 성공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일상화로 나아갔다면 어땠을까? 그랬다면 넷플릭스를 비롯한 다른 경쟁사에 시장을 뺏긴 후 어려움을 겪다 결국 파산하는 운명을 바꿀 수 있었을까?


출처 2: https://en.wikipedia.org/wiki/Blockbuster_LLC (위키피디아, 2018.5.22)

Blockbuster LLC, formerly Blockbuster Entertainment, Inc.,[4] and also known as Blockbuster Video[5] or simply Blockbuster, was an American-based provider of home movie and video game rental services through video rental shops, DVD-by-mail, streaming, video on demand, and cinema theater.[6] Blockbuster became internationally known throughout the 1990s. At its peak in 2004, Blockbuster employed 84,300 people worldwide, including about 58,500 in the United States and about 25,800 in other countries, and had 9,094 stores in total, with more than 4,500 of these in the US.[7][8][9][10] ( ... ... )

 On September 23, 2010, Blockbuster filed for Chapter 11 bankruptcy protection due to challenging losses, $900 million in debt, and strong competition from Netflix, Redbox, and video on-demand services.[75][76] Movie Gallery/Hollywood Video had filed for Chapter 7 bankruptcy liquidation earlier in 2010 for similar reasons.[77] ( ... ... ) t was reported in February 2011 that Blockbuster and its creditors had not come up with a Chapter 11 exit plan and that the company would be sold for $300 million or more, along with taking over debts and leases.[78] Blockbuster has admitted that it may not be able to meet financial obligations required under its Chapter 11 filing, a circumstance which could mandate conversion of the bankruptcy filing to Chapter 7 (liquidation).[80] On March 1, 2011, the U.S. Department of Justice filed a claim disclosing that Blockbuster did not have the funds to continue reorganizing and should liquidate.

On March 28, 2011, South Korean telecommunications company SK Telecom made a surprise bid to buy Blockbuster.[81] Dish Network had also expressed interest in bidding, as did Carl Icahn, despite calling Blockbuster "the worst investment I ever made".[82] ( ... ... )

2018년 3월 3일 토요일

지도: // 뉴저지 해리슨에서 뉴욕 컬럼비아 대학, 클레어몬트로 가는 경로


출처: 구글 지도

1. Harrison, NJ로부터 뉴욕시 맨해튼의 Harlem까지

2. Harlem에서 Claremont Avenue까지
3. Harlem에서 Columbia University까지



※ 한편, 뉴욕주 Harrison에서 뉴욕시 맨해튼의 Harlerm까지


2018년 2월 20일 화요일

탐색: Timestamping// its meanings, usages, and logics


※ 발췌 (excerpts):


출처 1: https://en.wikipedia.org/wiki/Trusted_timestamping

Trusted timestamping is the process of securely keeping track of the creation and modification time of a document. Security here means that no one─not even the owner of the document─should be able to change it once it has been recorded provided that the timestamper's integrity is never compromised.

The administrative aspect involves setting up a publicly available, trusted timestamp management infrastruction to collect, process and renew timestamps.


History

The idea of timestamping information is actually centuries old. For example, when Robert Hooke discovered Hooke's law in 1660, he did not want to publish it yet, but wanted to be able to claim priority. So he published the anagram ^ceiiinosssttuv^ and later published the translation ^ut tensio sic vis^ (Latin for "as is the extension, so is the force"). Similarly, Galileo first published his discovery of the phases of Venus in the anagram form.

Sir Issac Newton, in responding to questions from Leibniz in a letter in 1677, concealed the details of his "fluxional technique" with an anagram:

The foundations of these operations is evident enough, in fact; but because I cannot proceed with the explanation of it now, I have preferred to conceal it thus: 6accdae13eff7i3l9n4o4qrr4s8t12ux. On this foundation I have also tried to simplify the theories which concern the squaring of curves, and I have arrived at certain general Theorems.


Classification

( ... ... )


Trusted (digital) timestamping

According to the RFC 3161 standard, a trusted timestamp is a timestamp issued by a Trusted Third Party (TTP) acting as a Time Stamping Authority (TSA). It is issued to prove the existence of certain data before a certain point (e.g. contracts, research data, medical records, ...) without the possibility that the owner can backdate the timestamps. Multiple TSAs can be used to increase reliability and reduce vulnerability.

( ... ... )


Creating a timestamp

The technique is based on digital signatures and hash functions. First a hash is calculated from the data. A hash is a sort of digital fingerprint of the original data: a string of bits tha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duplicate with any other set of data. If the original data is changed then this will result in a completely different hash. This hash is sent to the TSA. The TSA concatenates a timestamp to the hash and calculates the has of this concatenation. This hash is in turn digitally signed with the private key of the TSA. This signed hash + the timestamp is sent back to the requester of the timestamp who stores these with the original tata (see diagram).




Since the original data cannot be calculated from the hash (because the hash function is a one-way function), the TSA never gets to see the orginal data, which allows the use of this method for confidential data.


Checking the timestamp

Anyone trusting the timestamper can then verify that the documents was ^not^ created ^after^ the date that the timestamper vouches. It can also no longer be repudiated that the requester of the timestamp was in possession of the original ata at the time given by the timestamp. To prove this (see diagram) the hash{https://en.wikipedia.org/wiki/Cryptographic_hash_function} of the original data is calcualted, the timestamp given by the TSA is appended to it and the hash of the result of this concatenation is calcluated, call this hash A.




Then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TSA needs to be validated. This can be done by checking  that the signed hash provided by the TSA was indeed signed with their private key by digital signature verification. The hash A is compared with the hash B inside the signed TSA message to confirm they are equal, proving that the timestamp and message is unaltered and was issued by the TSA. If not, then either the timestamp was altered or the timestamp was not issued by the TSA.


Decentralized timestamping on the blockchain

With the advent of cryptocurrencies like bitcoin, it has become possible to securely timestamp information in a decentralized and tamper-proof manner. Digital data can be hashed and the hash can be incorporated into a transaction stored in the blockchain, which serves as a secure proof of the exact time at which that data existed. The proof is due to a tremendous amount of computational effort performed after the hash was submitted to the blockchain. Tampering with the timestamp would also lead to breaking the integrity of the entire digital currency[4] , and this would result in the digital currency devaluing to zero.[4]

The decentralized timestamping approach using the blockchain has also found applications in other areas, such as in dashboard cameras, to secure the integrity of video files at the time of their recording, or to prove priority for creative content and ideas shared on social media platforms.


See also


출처 2: https://en.wikipedia.org/wiki/Timestamp

A timestamp is a sequence of characters or encoded information identifying when a certain event occurred, usually giving date and time of the day, sometimes accurate to a small fraction of a second. The terms derives from rubber stamps used in offices to stamp the current date, and sometimes time, in ink on paper documents, to record when the document was received. Common example of this type of timestamping are a postmark on a letter or the "in" and "out" times on a time card.

In modern times usages of the term has expanded to refer to digital date and time information attached to digital data. For ex., computer files contain timestamps that tell when the file was last modified, and digital cameras add timestamps to the pictures they take, recording the date and time the picture was taken.


Digital timestamps

( ... ... )


출처 3: [제10강, PPT] 전자 무역, E-Trade

2. 전자 인증과 보안 인증: (가) 기밀성, (나) 인증, (다) 무결성(integrity), (라) 부인 방지(non-repudiation)

3. 인증 기관의 역할: 신분 확인, 공개키 인증, 시간 날인, 증거 확보, 배달 매가, 분쟁 해결 등


출처 4: 폐쇄형 전송 시스템에서 열차 제어 신호 전송 방법

장비의 결함에 의해 잘못된 시간에 전송 될 수 있던 것을 송신기 응용 계층에서 기본 전송 프레임에 시간 날인 필드를 추가하여 수신기 응용계층에서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통신을 달성하는 폐쇄형 전송 시스템에서 열차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 ( ... ... ) 기본 전송 프레임의 데이터 송신자 정보를 나타내는 출처 식별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송신기 응용 계층에서 상기 기본 전송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날인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 ... ... )

    2018년 2월 4일 일요일

    [용어] 시장 지대 (market rent)?


    시장 지대(market rent)라는 범주적 개념이 있어서 마치 토지 지대(land rent), 독점 지대(monopoly rent)처럼 특정 형태의 지대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고 있나?


    ※ 발췌:

    출처 1: Market Rents by Town and Postcode

    Learn about local rents, types of homes for rent, number of bedrooms for rent and how long rental properties have been on the market with Home.co.uk. By analysing every property for rent found by the Home.co.uk property search engine, we provide the latest rental statistics for towns, cities and postcode districts across the UK. To find home rental information for a particular town or postcode, enter the rental location in the search box below and click on Search.


    출처 2: Market rent explained (뉴질랜드 사례)

    Market rent is a useful guide for landlords when they’re deciding what the rent will be. Note that if a landlord charges significantly higher rent than the market rent, a tenant can apply to the Tenancy Tribunal asking for the rent to be reduced.


    출처 3: Fair Market Rents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Fair Market Rents (FMRs) are used to determine payment standard amounts for the 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to determine initial renewal rents for some expiring project-based Section 8 contracts, to determine initial rents for housing assistance payment (HAP) contracts in the Moderate Rehabilitation Single Room Occupancy program (Mod Rehab), rent ceilings for rental units in both the HOME Investment Partnerships program and the Emergency Solution Grants program, calculation of maximum award amounts for Continuum of Care recipients and the maximum amount of rent a recipient may pay for property leased with Continuum of Care funds, and calculation of flat rents in Public Housing units.

    The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HUD) annually estimates FMRs ( ... ... )


    출처 4: Average Market Rents in Ontario (Ministry of Housing, Canada 등)

    Rents are required to be at or below 80 per cent of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 (CMHC) Average Market Rent (AMR). Average rent for a project is calculated using the actual rents paid by tenants after factoring in rent supplement or housing allowance assistance. Other reasonable methods of achieving 80 per cent of CMHC AMR for a project will be considered on a case-by-case basis.


    출처 5: Mid and full-market rents (Glasgow Housing Association, 영국 글래스고)

    These customers have no priority for social housing, but cannot afford to buy their own home or pay full-market rents.

    Our sister company Lowther Homes, has mid and full-market homes across the West and Central Scotland.


    출처 6: Market rents protest (뉴질랜드 사례)

    The introduction of market rents for state house tenants in the 1990s made it very difficult for many tenants to make ends meet. In Auckland, the State Housing Action Coalition sought to support those who faced eviction for non-payment of rent. This included state-housing tenant Len Parker, who in 1999 barricaded himself in the basement of his state house to prevent his eviction, as shown in this television clip. Later that year an incoming Labour government abolished market rents for state housing tenants.


    출처 7: ....

    2018년 1월 31일 수요일

    [명칭] Better Business Bureau


    ※ A nonprofit organization, namely a NGO, now seemingly relevant in the US, Canada, and Mexico.

    * * *

    ※ 발췌 (excerpts):


    출처 0: https://www.bbb.org/en/us/about-bbb


    출처 1: https://en.wikipedia.org/wiki/Better_Business_Bureau

    The Better Business Bureau (BBB), founded in 1912, is a nonprofit organization focused on advancing marketplace trust ( ... ... ) The Better Business Bureau is not affiliated with any government agency. Businesses that affiliate with the BBB and adhere to its standards do so through industry self-regulation. ( ... ... )


    출처 2: 하와이 소비자보호센터 BBB (하와이 토백이의 진짜 하와이 이야기들, 2013년 2월)

    혹시 하와이 상점 문에 위와 같은 마크 보신적 있으신가요? 이마크의 의미는 Better Business Bureau 즉, 좋은 비지니스를 할수있게 관리해주는 기관입니다. 혹, 하와이 계시면서 핸드폰요금이라던지, 구입하셨던 차량에 문제가 있었는데 제대로 고쳐주지 않았던지 물건을 샀는데 불량품인것 같은데 교환을 안해준다던지, 이런 문제가 생겼을때 한국분들 거의 당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미국 하와이에도 한국처럼 소비자보호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거의 10년전쯤 아시는분이 모핸드폰사에서 터무니없는 금액이 나왔다고 해서 회사에 직접 전화를 여러번 했었는데 결국 터무니없이 나온 금액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 왔었는데 BBB에 컨플레인(항의) 편지를 보냈고, 일주일정도 후에 모핸드폰사에서 사과 전화와 함께 일년치 무료 통화요금을 해줬다고 하더군요.


    출처 3: GetConnectedToday.com (시기 불명)

    거래 개선국[???]: Better Business Bureau(BBB)는 공정하고 정직한 상행위를 위한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고수함으로써, 소비자와 비즈니스를 돕는 편견 없는 비영리 기관입니다. BBB의 인정을 획득하는 기업은 계약서를 통해 거래개선국의 높은 윤리적 거래행동 표준에 동의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BBB의 인정 기준에 충족하면 기장을 받게 되는데,  이를 전시해 놓은 회사와의 거래는 안전함을 의미합니다.


    출처 4: 북미 소비자들의 '수호천사'…100년 전통 'BBB' 아시나요 (미주 중앙일보, 2013년 12월)

    밸리에 거주하는 50대 한인 이모씨는 최근 크레딧 카드 신청을 권유하는 우편물을 받았다. '유니온 워커스 크레딧 서비스(UWCS)란 이름의 회사가 발송한 이 홍보물은 "37달러의 비용만 지불하면 1만 달러의 크레딧 라인 제공을 개런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좋은 조건에 솔깃해진 이씨는 곧바로 카드를 신청하려다 혹시나 싶어 북미 최대 규모의 소비자보호기관[???] '베터 비즈니스 뷰로우(Better Business Bureau)' 웹사이트에서 UWCS에 대해 검색을 해봤다. 검색 결과는 놀라웠다. BBB는 UWCS에게 'D-(마이너스)' 평점을 매겼다. BBB는 또 UWCS가 발급하는 카드는 메이저 크레딧 카드가 아니며 이 회사가 취급하는 물품을 카탈로그를 통해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인들에게는 생소한 편이지만, BBB는 북미 지역 영어권 소비자들에게는 '수호천사'나 다름없는 비영리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12년 설립된 BBB는 미국과 캐나다 각지에 113곳의 지부를 두고 있다. 각 지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워싱턴DC의 BBB위원회의 지침에 따른다. ( ... ... ) 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불만사항을 접수하면 BBB는 해당 업소에 답변 및 소명 기회를 주면서 소비자의 불만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비록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적지 않은 소비자가 BBB를 참고하기 때문에 불만 신고가 많이 접수될수록 해당 업체에겐 손해다. 따라서 어지간한 업체들은 BBB의 중재에 적극적으로 응하는 편이다.


    출처 5: 리틀 시스터 - 필립 말로 시리즈 5 (레이먼드 챈들러 지음. 북하우스 2005)

    경영 개선 협회[???](Better Business Bureau, BBB): 1912년에 미국과 캐나다를 기반으로 해서 설립된 협회로 불공정 거래에 대한 소비자 불만 신고를 받고 조정하는 업무를 하는 기관.


    출처 6: [미국/캐나다] BBB (Better Business Bureaus) 컴플레인 (클리앙, 2008년 10월)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가끔씩 자주 당하는 업체들의 횡포에서 살아남기 위에서 언제부터인지 BBB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BBB는 대부분의 미국 주요 도시에 있으며, 일급 소비자 “보호” 단체들 중 하나입니다. 거기에서는 소비자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질문에 답해주며, 답변을 하지 않았다든지, 해결되지 않은 불만들 또는 다른 시장 문제 등 회사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중재는 물론, 업체에 대한 구매자/판매자들의 불만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들은 또한 사람들로부터 기부금을 받기 원하는 자선단체와 공공기관들에 대한 정보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7: 해외광고 심의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KARB, 시기 불명)

    미국의 광고 자율 규제는 1971년 광고주협회(ANA), 대행사협회(AAAA), 미국광고연맹(AAF)과 경영개선협회[???](Better Business Bureau, BBB) 이사회가 공동으로 전국광고심의기구(National Advertising Review Council: NARC)를 설립, 운영했으나, 이미 1911년에 ( ... ... )


    출처 8: 소비자 보호 단체 BBB, 불만 신고 많이 접수된 이사 업체 공개 (미주 중앙일보 밴쿠버, 2016년 7월)

    밴쿠버의 소비자 보호 단체 BBB(Better Business Bureau)가 불만 신고가 많이 접수된 이삿짐 운송 회사 상호와 신고 사례를 공개했다. 해당 업체는 '밴쿠버 밴 라인(Vancouver Van Lines)'으로 BBB는 이 업체에 대해 'F 등급을 매겼다'고 밝혔다. 공개된 불만 신고 내용 중에는 '물건을 옮겨놓고도 트럭 차량에 싣지 않았다'와 '고객인 나에게 직접 짐을 옮기라고 했다' 등이 있었다. 컬터스 레이크(Cultus Lake)에 거주하는 한 여성은 "지난 해에 서비스를 신청했었는데 이용료 반을 선불로 요구해서 지불했다. 그런데 이사 당일 아무리 기다려도 나타나지 않고 연락도 원활하지 않아 결국 우리 가족이 짐을 모두 옮겼다. 그런데 앞서 지불한 돈을 돌려받는데 1년이 넘게 걸렸다"고 말했다.

    ... ...

    2018년 1월 30일 화요일

    [기사 발췌] 농축 우라늄, 고농축 우라늄


    ※ 용어: 농축 우라늄(enriched uranium), 고농축 우라늄(highly enriched uranium)

    ※ 발췌:

    출처 1: 고농축 우라늄, 소름돋는 이야기 (한겨레21,  2006년 10월)

    사진(우측): 이런 연구용 원자로는 고농축 우라늄을 사용한다. 원자로 임계조절장치에 쓰이는 원반형 우라늄 함유 장치

    고농축 우라늄의 세계적 보급은 미국과 소련이 남긴 유물이다. 양국은 1960년대 후반까지 평화적 이용을 내세우며 경쟁적으로 자국에 연구용 원자로를 건설하고 정치적 목적에 따라 해외에 보급했다. 당시 1800여 톤의 고농축 우라늄이 전세계에 퍼진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은 ( ... ) 어디에서든 고농축 우라늄의 사용을 억제하고 누적된 재고를 없애려고 한다. 지난 2004년 발족된 '세계 위협 제거 이니셔티브(GTPI)'에 따라 각국에서 고농축 우라늄을 회수하고 있다. ( ... ) 이 우라늄은 조잡한 대포형 폭발 장치만 이용해도 도시를 불태우는 공격용 핵무기로 바뀔 수 있다. 미국이 주도적으로 회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임계치 조절 장치는 새로운 원자로를 만들기 전에 노심이 설계자의 의도대로 분열해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시험하는 실물 모형이다. 마치 알루미늄 피복을 입혀 원반처럼 생긴 이 장치는 소량의 무기급 우라늄을 함유하고 있지만 ( ... ) 현재 러시아의 다양한 원자력 연구 시설에는 지름 2인치의 우라늄 원반이 수만 개씩 보관되어 있다.


    출처 2: Bar stock (위키피디아)

    Bar stock, also (colloquially) known as blank, slug or billet,[1] is a common form of raw purified metal, used by industry to manufacture metal parts and products. Bar stock is available in a variety of extrusion shapes and lengths. The most common shapes are round (circular cross-section), rectangular, square and hexagonal or hex.


    출처 3: Enriched uranium (위키피디아)

    A billet (bar stock) of highly enriched uranium metal:



    출처 4: Armenian Nationals Arrested in Georgia for Alleged Smuggling of Highly-Enriched Uranium (2010년 11월)

    According to the Georgian Interior Ministry, the suspects were arrested in Tbilisi last March with 18 grams (0.6 ounces) of uranium hidden in a cigarette pack which they tried to sell, for $1.5 million, to an undercover police agent posing as a Turkish Islamist radical. Ministry representatives say the uranium was nearly 90 percent enriched and useable in a nuclear warhead.



    ... ...

    2018년 1월 26일 금요일

    [발췌] 로즈 장학생


    ※ 발췌 (excerpts):

    출처 1: Rhodes Scholars, Oxford, and the Creation of an American Elite (Thomas J. Schaeper, Kathleen Schaeper 지음. Berghahn Books, 2010)

    Each year 32 seniors at American universities are awarded Rhodes Scholarships. These students then spend two or three years studying at the University of Oxford in Britain. The scholarships were founded by Cecil Rhodes, the British colonialist and entrepeneur, who died in 1902. This program has become the most famous academic scholarship in the world. It is the "glittering prize," and the lucky students are "golden boys" (and since 1976, "golden girls") who reputedly have a "ticket to succes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Over the decades the winners have included scientists such as Edwin Hubble, writers such as Robert Penn Warren, jurists such as Byron White, and politicians such as J. William Fullbright and Bill Clinton. ( ... ... )

    ( ... ... ) We spent most of each summer observing how our American students adapted to Oxford--and how Oxford adapted to them. We were curious to see if any detailed study had ever been done on Rhodes Scholars. Outside of the many short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that have appeared regularly throughout the century, we found that there was no recent, thorough book on the subject. ( ... ... )

    We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time had come for an extended examination of this subject. What kinds of people have won the scholarships? What did these students do in Oxford? What did they achieve in their later careers?  ( ... ... )

    ( .... ... ) We focus on American Rhodes Scholars, who have made up roughly 40% of the total. As far as we know, no one yet has done a thorough study of Rhodes Scholars from Canada, Australia, India, and the other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 ... ... )

    We hope that Rhodes Scholars will forgive two small liberties that we take throughout the following pages. Among Rhodes Scholars, the sentiment is, "once a Rhodes Scholar, always a Rhodes Scholar." One is never a "former" scholar. However, in order to avoid confusion, we use "former" when we refer to those who have completed their studies in Oxford and begun their careers. Also, among Rhodes Scholars, the proper way to identify oneself is to give one's state, Oxford College, and class year. Students who try for the scholarship have the option of applying to the selectin committee in either their home state or in the state where they will graduate from college. Bill Clinton, for example, had the option of applying from Arkansas or, as a student at Georgetown University, from Washington, DC. He chose the former. In Oxforf he studies at University of College. Therefore his proper Rhodes Scholar identification is "Arkansas and University 1968." For the sake of brevity, throughout this book we eliminate the state and college. At the first mention of a person we will give his or her class year.


    출처 2: http://digitalassets.lib.berkeley.edu/roho/ucb/text/ball_markham_2014.pdf

    ( ... ... ) Every time the American Secretary of the Rhodes Trust would come to Oxforf, my wife and I would be invited to tea or sherry at Rhodes House and we would chat with the warden of Rhodes House and the American secretary. Obviously the question on their minds, not articulated, of course, to us, was does getting married ruin the capacity of one of our scholars to be a proper Rhodes Scholar? The answer was no, it did not impair, and I think it was the year after we left that Rhodes Scholars could be married.


    출처 3: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4803452 (2016년 11월)

    세계적인 장학 프로그램인 로즈 장학생(Rhodes Scholar)에 하버드 대학에 재학중인 한인 학생이 선정됐다. 로즈 장학재단은 하더브 4학년생인 낸시 고(21)씨가 미국에서 선정된 32명의 장학생 중 한 명에 포함됐다고 지난 19일 발표했다. 브루클린 출신인 고씨는 올해 로즈장학생 중 유일한 한인이며, 하버드대에서는 고씨를 포함해 총 4명이 뽑혔다.

    고씨는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장학생으로 선발될 것으로 기대하지도 않았는데 뜻밖의 결과를 얻어 기쁘고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현재 역사와 중동학을 복수전공하고 있는 고씨는 내년 봄 하버드대를 졸업한 후 옥스퍼드 대학에서 중동 근대사 연구석사(MPhil) 과정을 밟을 계획이다.



    2018년 1월 25일 목요일

    Dic/ club music


    ※ 발췌 (excerpts):


    출처 1: 2017년 클럽에서 가장 많이 들어봤던 곡 (유튜브, 2017년 9월 5일)





    출처 2: The 25 best club tracks of 2017 (Gabe Meier, The Fact Magazine, 2017년 12월 14일)

    Gabe Meier ... selects the year's biggest, best and most innovative tracks from shifting world of ^underground club music^.

    2017 proved once again that club music is thriving across the globe, as brand new artists and legends alike turned in material destined for classic status. While our monthly ^For Club Use Only^ ( http://www.factmag.com/tag/for-club-use-only/ ) column proved that fresh artists, labels and styles continue to emerge across the world, the past year also saw labels like Hyperdub, Planet Mu and Local Action embrace an eclectic release strategy that appealed to both younger fans of ^club music^ and other heads alike.

    In Lisbon, the Principe crew ( ... ... ). In the UK, Night Slugs and Swing Ting ( ... ... ). In New York and New Jersey, familiar names like DJ Jayhood and MikeQ in continued to impress while younger artists such as AMG and DJ Yae pushed Jersey and Baltimore club into faster, more extreme territor.


    출처 3: Baltimore Club Music (Urban Dictionary)

    A type of house music that has 130 BPM, influences from R&B, rap, crunk, 80s synths, techno, and rock, samples that one wouldn't expect to make a song from, such as President Bush's stutter in a recent speech of his, and allows people to dance their pain away while inticing fights and moshipits at the same time. ( ... ... )



    출처 4:

    2018년 1월 17일 수요일

    [발췌 메모] 이베이 경매에 참가하는 구매자 요령

    ※ 이베이도 역사가 꽤 되니 여러 가지 실험이 이루어져 
    경제학적 분석의 예로 소개되기도 한다. 
    아래 출처 1은 저자가 책의 일부를 공개한 웹문서인데, 
    말하자면 이베이 경매를 해설하는 사용자 설명서다. 이런 책이 3판이나 나옴.


    출처 1: Bidding 101: A Tutorial for Beginning eBay Bidders (Michael Miller 지음. 2005년 11월)


    ※ 발췌 (excerpt):

    ( ... ... ) HOw does bidding work? In a nutshell, it's as simple as telling eBay how much you'd be willing to pay for an item--and then finding out whether anyone else is willing to pay more than you. If you've made the highest bid, you win the auction--and you have to buy them.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t doesn't cost you anything to bid. You only have to pay if you win--and even then, you don't have to pay any fees to eBay. (All eBay fees are charged to the seller.)  You'll have to pay the seller the amount of your winning bid, plus any necessary shipping and handling costs to get the item to you.

    ( ... ... ) Thanks to eBay's automated bidding software ( ... ), registered bids will only be as high as necessary to beat out the next-highest bidder. If you bid $40 but the next highest bidder bid only $20, you'll win the auction with a $20.50 bid.

    ( ... ... ) And you should $40 bid even if, at the time, the current bid is only $1. Now, you might think that if the bidding is at the $1 level, you should bit no more than $2 or so. This isn't the case, again thanks to eBay's automated bidding software. ( ... ... )


    Understanding Proxy Bidding

    The automated bidding software used by eBay is called ^proxy^ (or "robot") software. If you're a bidder, eBay's proxy software can save you time and help ensure that you get the items you want (if you're a seller, it doesn't really matter, because all you're interested in is the highest price at the end of the auction...)

    On eBay, proxy software operates automatically as an ^agent^ that is authorized to act in your place--but with some predefined bidding parameters. ( ... ) The proxy software bids as little as possible to outbid new competition, up to the maximum bid you specified. ( ... ... )


    출처 2: eBay Customer Service

    You can leave feedback after you buy or sell an item. Buyers can leave a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rating, and a short comment for sellers. Sellers can leave a positive rating and a short comment for buyers. ( ... ... )


    출처 3: eBay Bans Negative Feedback For Buyers; Everyone Be Good Now (TechDirt, 2008년 2월 5일)

    ( ... ... ) Now, the company has banned sellers from giving "negative" feedback on buyers. This is quite an interesting move. Years back, eBay was often held up as the epitome of user feedback/rating systems. However, over the years, problems have cropped up, leading to questions about how effective the system really is, as it's often been gamed. A specific complaint is that many buyers are afraid to leave negative feedback, as a seller can retaliate and provide a similarly negative response to the buyers. The hope, then, is that by not allowing negative feedback, buyers can start being more honest about sellers. Of course, from the sellers' standpoint, it also means it's much more likely that buyers can now be problematic, without worrying about a response. eBay claims that it will now personally handle complaints from sellers about problem buyers


    출처 4: EBay to ban negative seller views (BBC, 2008년 2월 5일)

    ... ...

    2017년 12월 26일 화요일

    [발췌] 헤라클레이토스의 공간 원리와 엘리엇의 <네 사중주>



    출처: 헤라클레이토스의 공간 원리와 엘리엇의 <네 사중주> (이철희 지음. 현대영어영문학. 58권 3호. 2014년 8월. 171-88.



    ※ 발췌:

    ( ... ... ) 이 글은 <네 사중주Four Quartet>를 감상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엘리엇이 정의한 시간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특히 엘리엇의 시간 논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헤라클레이토스의 공간 내에서의 사물의 이동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 ... ... )


    II. 헤라클레이토스의 공간 원리

    엘리엇은 <네 사중주>의 제사로서 헤라클레이토스가 주장한 우주 만물의 이동 원리를 사용한다. ( ... ... ) 그 제사의 내용은 다음과 가다.

    ⓐ로고스가 공통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치 자신이 지혜를 가진 것처럼 생활한다.

    Although the Word (Logos) is common to all, most people live as if each of them had a private intelligence of his own.

    ⓑ올라가는 길과 내려가는 길은 하나이고 동일하다.

    The way up and the way down are one and the same. (Quinn 14)


    ( ... ... ) 우선 첫 번째 제사는 "개인은 로고스와의 조화 또는 종속 관계"(Williamson 209)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간 개개인은 로고스에 종속되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 ... ) 그리고 두 번째 제사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영고성쇠의 교리를 나타내는 말로써"(이종철 207)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매우 불합리하고 비논리적인 주장으로 곡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 ... ... ) 헤라클레이토스에게 로고스는 다음과 같다.

    그가(헤라클레이토소) 말하려고 한 핵심 관념은 로고스 관념이다. 모든 사물이 그것에 따라 조직되고 또한 여러 가지 모습으로--전쟁, 투쟁, 불신 등으로--자신을 드러내는 바의 그것이 바로 로고스이다. (햄린 19)

    ( ... ) [이것을] 엘리엇의 <네 사중주>의 제1 악장인 <번트 노턴(Burnt Norton)>에 적용해 보면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 ... ... ) 그러므로 로고스를 중심으로 설정하고 사물의 이동 방향을 주시하면 올라가는 기리나 내려가는 길이나 동일한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기독교 시각에서 로고스를 말씀 혹은 회전하는 세계의 중심에 위치한 정점"(기쉬 171)으로 간주하는 것 또한 당연하다. ( ... ) 제1 악장인 <번트 노턴>은 제2 악장인 <이스트 코우커>, 제3 악장 <드라이 셀비지즈>와 제4 악장 <리틀 기딩>에 이르기까지 전체 4악장이 제1 악장의 제사로 압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 )

    ( ... ) 이와 같은 헤라클레이토스의 우주 만물의 이동 원리[는] ( ... ) 구심점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원형 추들이 상하, 좌우로 이동하는 원리라고 볼 수 있다. 원추들이 좌우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위에 위치한 구심점은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고 보면 될 것이다.[주]3  상부의 중심축을 로고스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원형 추들은 우주 만물을 상징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상부의 구심점은 아무런 움직임이나 변함이 없고 늘 그 자리에 고정되어 잇는데, 엘리엇은 이것을 로고스라고 명명한 것이다. ( ... ) 결국 두 제사의 의미[를] 요약하면, "헤라클레이토스는 만물을 생성시키고 변화시키는 원동력을 모순과 대립으로 보았으며 그 모순과 대립 속에서도 조화를 이루게 하는 원동력이 바로 로고스"(박영식 33)라고 정의한다. 결국 세상의 만물들은 생성과 변화를 보이는 반면에 영원히 변함없는 존재는 로고스 밖에 없다. 특이한 점은 여기서 "엘리엇이 주로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끊임없는 변화라기보다는 변화 속에 존재하는 질서"(Gish 97)라는 것이다. 즉 엘리엇은 ( ... ) 변화 속에서도 질서를 유지하는 모습에 관심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도 필연적으로 항상성을 보이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이 기제가 바로 로고스라는 것이다. ( ... )


    III 공간 원리 적용의 실재

    ( ... ) 흥미로운 점은 헤라클레이토스의 우주 운행 원리를 엘리엇에게 적용하면 현재와 과거는 모두 미래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시간과 과거의 시간은
    아마 모두 미래의 시간에 존재하고
    미래의 시간은 과거의 시간에 포함된다.
    모든 시간이 영원히 현존한다면
    모든 시간은 되찾을 수 없는 것이다.

    Time present and time past
    Are both perhaps present in time future
    And time future contained in time past,
    If all time is eternally present
    All time is unredeemable.


    ( ... ... ) 이와 같이 "엘리엇은 <네 사중주>의 도입부를 시간과 구원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에 대한 명상으로 시작한다"(Rics 238). 다시 말해, "엘리엇은 <네 사중주>에서 시간의 안과 밖 그리고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합일점에 가장 관심을 두었으며"(Tamplin 154) 또한 "시간은 지속적으로 흘러가지만 로고스 안에서만은 영원하다"(Smith 256)는 전제를 설정하여 시간과 로고스와의 관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 ... ) 특히 <번트 노턴>은 종교적 언어와 이미져리에 의존해서 시간 밖에 존재하는 절대적 가치에 대한 생각이나 관념을 창조하려고 시도한다"(Scofield 197).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하나님의 말씀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시간이 영원히 존재한다면 모든 시간은 되찾을 수 없는 논리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리스도의 육화를 지속적으로 변하는 것과 영원한 것 사이의 합일을 최상으로 간주하듯" 엘리엇에게 하나님고의 친교의 순간이란 ( ... ) 지속적으로 이어진 시간임을 역설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 ... ... ) 그러나 엘리엇의 시간은 형이상학적으로 묘사되고 있으므로 그 모습을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색의 세계"가 펼쳐지게 된다.

    있을 수 있었던 일은 하나의 추상으로
    다만 사색의 세계에서만
    영원한 가능성으로 남는 것이다.

    What might have been is an abstraction
    Remaining a perpetual possibility
    Onl in a world of speculation.

    위와 같은 정의를 통해서 우리는 가상의 세계(미래)란 단지 영원한 가능성 속에서만 존재하며[,] 하나의 추상이란 미래가 단순히 어느 한 시점에서 종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영원한 가능성 속에서만 그 가상의 세계가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엘리엇은 이 간단한 시간의 원리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있을 수 있었던 일과 있은 일은
    한 점을 향하고, 그 점은 항상 현존한다.

    What might have been and what has been
    Point to one end, which is always present.

    즉, "있을 수 있었던 것과 있었던 것은 추상적 사변이라기보다는 경험에 의해서 나온 감각"(Moody 144)이라는 점에서 시간은 경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에 있엇던 것은 정확하게 미래를 의미하는 한 끝을 향하게 된다. 과거/현재/미래는 한 끝을 향하며 동시에 "항상 현존하여" 현재와 연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 )

    ( ... ... ) 헤라이클레이토스의 세계관을 엘리엇은 <이스트 코우커>에서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나의 시작에 나의 끝이 있다. 연달아서
    집들은 서고, 쓰러지고, 허물어지고, 넓혀지고,
    옮겨지고, 파괴되고, 복구되고, 또는 그 자리에
    넓은 논밭이나 공장이나 도로가 있다.
    낡은 돌이 새 건물에, 낡은 목재는 새 부레,
    낡은 불은 재로, 재는 흙으로,
    흙은 이미 살이고, 모피ㅣ고, 배설물이고,
    사람과 짐승의 뼈이고, 곡식 대이고 잎이다.
    집들은 살다 죽는다. 세우는 시간이 있고,
    사는 시간, 생산하는 시간이 있다.
    또는 바람이 흔들리는 유리창을 깨뜨리는 시간,
    들쥐가 달음질치는 벽 판장을 흔드는 시간, 그리고
    무언의 표어를 짜 넣은 해진 에라스 천 벽결이를 흔드는 시간이 있다.

    In my beginning is my end. In succession
    Houses rise and fall, crumble, are extended,
    Are removed, destroyed, restored, or in their place
    Is an open field, or a factory, or a by-pass,
    Old stone to new building, old timber to new fires,
    Old fires to ashes, and ashes to the earth
    Which is already flesh, fur and faeces,
    Bone of man and beast, cornstalk and leaf,
    Houses live and die; there is a time for building
    And a time for living and for generation
    And a time for the wind to brek the loosened pane
    And to shake the wainscot where the field-mouse trots
    And to shake the tattered arras woven with a silent motto.

    엘리엇은 위와 같이 헤라이클레이토스가 규정한 우주 만물의 "항변(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즉, 이미 시작은 끝을 향한 새로운 출발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은 바로 생물의 탄생은 곧 죽음을 향해 시간 위를 질주하는 모습에 견줄 수 있다. 그러면서 엘리엇은 바로 그 항면의 모습을 여러 가지 상황으로 설명한다. (1) 연달아서 집들이 서고 쓰러지고 허물어지고 넓혀지고 옮겨지고, 파괴되고, 복구되고, (2) 그런데 그 자리에 다시 넓은 논밭이나 공장이나 도로가 생기며, (3) 낡은 돌은 새 건물에 사용되고, (4) 낡은 재목은 새 불에 사용되기, (5) 낡은 불은 재로 옮겨서 다시 사용되고 다시 재는 흙으로 돌아가는 것 등 시공간적으로 열 가지의 변화와 변전을 겪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열 가지를 변화와 변전의 종결부로 맺고 다시 이어지는 연을 "나의 시작에 나의 끝이 있다"는 재단정의 진술로 이어진다. 이는 바로 시작이라는 시간은 이미 끝을 향한 것이고 끝은 다시 시작으로 회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 ... ... )

    ( ... ... )

    우리의 유일한 건강은 병이다.
    죽어가는 간호사에 복종하면
    그의 끊임없는 간호는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에게 우리의 그리고, 아담의 저주를 상기시키는 것이다.
    그러니 회복하자면 우리의 병은 점점 악화되어야 한다.

    온 지상은 우리의 병원이다.
    파멸한 갑부가 물려준
    그 속에서 우리의 건강이 튼튼하자면
    우리는 우리를 버리지 않고, 도처에서 우리를 보호하는
    절대적인 아버지의 간호로써 죽어야 할 것이다.

    Our only health is the disease
    If we obey the dying nurse
    Whose constant care is not to please
    But to remind of our, and Adam's curse,
    And that, to be restored, our sickness must grow worse.

    The whole earth is our hospital
    Endowed bythe ruined millionaire,
    Wherein, if we do well, we shall
    Die of the absolute paternal care
    That will not leave us, but prevents us everywhere.

    ( ... ... )

    회전하는 세계의 정지하는 일점에, 육도 비육도 아닌
    그곳으로부터도 아니고 그곳을 향하여서도 아닌, 정지점 거기에 춤이 있다.
    정지도 운동도 아니다. 고정이라고 불러선 안 된다.
    과거와 미래가 합치는 점이다. 그 곳으로부터 또는 그 곳을 향한 운동도 아니고,
    상승도 하강도 아니다. 이 점, 이 정지점 없이는
    춤은 없다. 거기에만 춤이 있다.

    At the still point of the turning world. Neither flesh nor fleshless;
    Neither from nor towards; at the still point, there the dance is,
    But neither arrest nor movement. And we do not call it fixity,
    Where past and future are gathered. Neither movement from nor towards,
    Neither ascent nor decline. Except for the point, the still point,
    There would be no dance, and there is only the dance.

    ( ... ... )

    패턴의 세부는 운동이다.
    열 개의 계단의 비유에서처럼.
    욕망 자체는 동이고
    그 자체는 좋지 못하다.
    사랑은 그 자체가 비동이고
    다만 동의 원인이고 궁극일 뿐,
    초시간이고, 비 욕망,
    시간의 양상이 아닌
    비존재와 존재 사이의
    영역의 형태로 파악된다.

    The detail of the pattern is movement,
    As in the figure of the ten stairs.
    Desire itself is movement
    Not in itself desireable;
    Love is itself unmoving,
    Only the cause and end of movement,
    Timeless, and undesiring
    Except in the aspect of time
    Caught in the form of limitation
    Between un-being and being.

    ( ... ... ) 이와 같은 논리로 추론해 볼 때 엘리엇은 <네 사중주>를 헤라이클레이토스의 우주 공간 속에서의 사물의 이동 원리를 바탕으로 창작했음이 분명함을 알 수 있다.

    IV. 나오며

    ( ... ... )

    2017년 12월 15일 금요일

    [발췌] 제임스 마이어 로스차일드의 편지


    ※ 메모: James Mayer Rothschild. His letter written (supposedly) in 1839 about the unexpected marriage of, or its decision by, Hannah Mayer de Rothschild, the second daughter of Nathan Mayer Rothschild. That letter seemed to be addressed to his nephews, i.e., her brothers and the sons of Nathan, located in London.


    CF. [메모] 로스차일드 가계의 구성 중에서


    ※ 발췌 (excerpts): 

    출처 1: Negotiating Risk: British Pakistani Experiences of Genetics (Alison Shaw, Berghahn Books, 2009). 구글도서

    ( ... ... ) In 1839, Hannah Mayer shocked the family by marrying the son of an English aristocrat; this prompted her paternal uncle, Mayer's son James, to write to Hannah's brothers (his London nephews) to warn them of the threat to future marriages planned within the family of tolerating romantic attachments outside it. ( ... .... )


    출처 2: Incest and Influence (Adam Kupe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구글도서

    When Hannah Mayer made her shocking marriage in 1839, her uncle James wrote a letter to her brothers, his London nephews, which smoothly elided the tradition of Jewish endogamy with the new Rothchild doctrone that Rothschilds should marry Rothschilds. The "main point", he insisted, was "religion," but he them immediately passed on to the constraints imposed by the Rothschild destiny:


    출처 3: "Fraternity and endogamy. The House of Rothschild", (Adam Kuper, Social Anthropology (2001), 9, 3, 273-287)

    ( ... ... ) When Nathan's second daughter, Hannah Mayer, married a Christian, Henry Fitzroy, in 1839, she was effectively ostracized by the family. It was not until the 1870s that such marriages (usually into aristocratic families) began to be tolerated, but only Rothschild daughters were involved ( ... ... )

    ( ... ... ) Hannah Mayer's shocking marriage in 1829 to the son of an English aristocrat inspired James to write a letter to her brothers, his London nephews, which nicely elided the tradition of Jewish endogamy with the new Rothschild doctrine that Rothschilds should marry Rothschilds. The 'main points', he insisted, was 'religion', but he then immediately passed on to the constraints imposed by the Rothschild destiny:

    I and the rest of the family have ... always brought our offspring up from their early childhood with the sense that their love is to be confine to members of the family, that their attachment for one another would prevent them from getting any ideas of marring anyone other than one of the family so that the fortune would stay inside the family. Who will give me any assurance that my own children will do what I tell them if they see that there is no punishment forthcoming?  ( ... .... ) Do you really think that all the nicely conceived projects [will come to fruition] -- that is, that Mayer will marry Anselm's daughter, that Lionel's daughter will marry the child of another member of the family so that the great fortune and the Rothschild name will continue to be honoured and transmited [to future generations] -- if one doesn't put a stop to this? (1: 321-1)

    출처 4: The House of the Rothschild, Vol. 1 (Niall Ferguson. Penguin Books, 1998). 자료 링크.

    ※ 발췌 (excerpt):  Part III Uncle and Nephews, Chapter 12 Love and Debt

    [T]he very society which you think is today rejecting you because you are not being very friendly to it over a sister who is behaving against the wishes of her family, that very same society will be just as friendly to you and will hold you in even greater esteem when they see that you stick to your principles ... ... ─ James to Nat, July 16, 1839

    ※ 여기서 Nat은 Nathan Mayer Rothschild(1777-1836)의 넷째 아들 Nathaniel de Rothschild (1812-1870)를 지칭. Nathan의 둘째 딸 Hannah Mayer de Rothschild (1815-1864)의 바로 위 오빠. 편지에 등장하는 Lionel은 Nathan의 첫째 아들 Lionel Nathan de Rothschild(1808-1879)를 지칭.


    On April 29, 1839, a catastrophe befell the Rothschilds--or so it seemed to the family at the time. Less than three years after the unexpected death of Nathan at the very height of his powers, his second daughter, Hannah Mayer, renouced Jadaism to marry a Christian.

    ( ... ... )

    The Crime and Punishment of Hannah Mayer

    In the classic topos of the 19th-century novel, it is the aristocratic family which disapproves of the mercantile match. Fitzroy's family undoubtedly did disapprove, cutting off his allowance. However, they did not disapprove nearly as violently as the Rothschilds. This was not, in fact, the first time Hannah Mayer had formed an attachment to a Gentile: before her father's death, according to one account, Prince Edmond de Clary had proposed to her in Paris. Then Nathan had bluntly dismissed the idea; and when his brother James heard of her new affair with Fitzroy, he was no more sympathetic:
    Well, my dear Lionel, your letters wherein you speak about the distressing circumstances and the love affair of your sister Hannah Mayer break our heart. You can imagine why this is so because nothing could possibly be more disastrous for our family, for our continued well-being, for our good name and for our honour than such a decisin, God forbid. ( ... ... )

    ( ... ... ) James advised his nephews to inform thir uncle Salomon of Hannah's intentions, but was doubtful whether he would be able "to do any more good as far as this issue is conerned than I can." He also agreed to come to London before February 20 to try to dissuade his niece in person. "But," he wrote gloomily,
    whether our trip will turn out to be successful and what kind of impression this will make on the public, this I can't possibly predict, or whether Hannah Mayer will take any notice of our well-meaning advice when she well knows that the only purpose of our visit to London is to frustrate her love adventure. I am more inclined to believe that in view of this girl's independent character we are more likely to exasperate her even more than convince her to abandon this ill-starred love affair. ( ... ... )

    In fact, James was prevented from visiting England by a bout of illness. Instead, he suggested that Hannah Mayer--chaperoned by her mother--come to stay with him in Switzerland, where he planned to continue his convalescence. This suggested "diversion" came too late. The very day after James sent his invitation, the wedding took place at St George's in Hanover Square. Only her brother Nat attended the service, the bride's mother having escorted her no further than the church gates. A few weeks later the scandal made it into ^The Times^:

    ( ... ... ) It is said that the bride's uncles are by no means pleased with a match which renders a change of religion necessary.

    This last was an understatement. "I admit quite frankly," wrote an incadenscent James from Paris,

    that the story about Hannah Mayer made me so ill that I did not have the courage to pick up a pen and write about this matter. ( ... ... ) You say, my dear Nat, that she has found everything except for religion. However, I believe that [religion] means everything. Our good fortune and our blessings depend upon it. We shall therefore wipe her from our memory and never again during my lifetime will I or any other member of our family see or receive her. We now want to wish her all the best and banich her from our memory as if she had never existed.

    ... ...

    2017년 12월 11일 월요일

    Elle Luna's talks about her "The Crossroads of Should and Must"



    1차 검색: http://hsalbert.blogspot.kr/2017/10/elle-luna-crossroads-of-should-and-must.html


    출처 1: Her talks at Goole, July 2015



    출처 2: Elle Luna on Creative LIve | Chase Jarvice LIVE, May 2016



    출처 3: Her another talk ... Should and Must, Apr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