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Owen Davies, Witchcraft, Magic and Culture, 1736-1951,
※ 발췌 (excerpt):
p.287~ :
( ... ... ) In terms of personal sickness, insuranace conver began to have a social impact only from the early 20th century onwards. The first general accident and sickness insurance policy was available in 1900 and proved popular among the self-employed. The growth of the popular insurance market undoubtedly contributed to a general easing of the severity of misfortune in terms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ersonal health. ( ... ... )
The social transformation that have just been outlined led to the creation of the following five interrelated circumstances, which effectively hampered the mechanisms that had produced accusations of witchcraft within any given community, and ultimately resulted in the declining belief in witchcraft.
Communal instability
Witchcraft accusations were generated in a social environment where there was a considerable degree of long-term social stability, and where there was an intimacy of association in which one person's affairs were the affairs of the whole community. ( ... ... ) Those bonds of intimacy and association that bound the community together in terms of work and leisure, unified it with a sense of a shared past and present, gradually fell away with the decline of the barter economy, the advent of mechanisation, and as a result of the rupture this brought about between all levels of rural society. With the exodus of the young and the death of the old, with the break-up of estates, the increasing turnover of tenancies and the influx of newcomers, the stream of inherited oral tradition ran dry. ( ... ... )
Decline of self-governance and the intrusion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
( ... ... )
p. 294~ :
The experience of misfortune has changed profoundly in our predominantly urban, welfare society. Once the state began to provide more securities in life, such as pensions, unemployment benefits, national insurance and subsidies, and with the extension of universal suffrage and basic human rights, not only was the scope and impact of misfortune mitigated, but blame for the experience of misfortune began to be apportioned to the failures of these welfare mechanisms. In our modern social climate, people are far more aware of the national and global factors influencing their lives in polit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terms. While financial hardship no longer results from the death of a pig or a cow, for instance, the reduction of European subsidies constitutes a serious case of misfortune for farmers. As a result, the bureaucrats in Brussels rather than village witches are now the scapegoats in farming communities. Nevertheless, although the actions of the mass of the people are no longer strongly bound by occult forces, they continue to maintain a variety of observances to ward off misfortune. However, such practices are no longer employed against individuals who emanate supernatural malign influence, but against an impersonal, abstract conception of bad luck. Many people also retain a fascination with the professed ability to interpret occult forces. The belief in fortune-telling continues, for instance, because it functions as a means of assuaging personal insecurities about the future. The expression of these insecurities may have changed over the centuries, but the fundamental fear of being hurt, emotionally or financially, will always lead people to seek comfort in the realm of magic.
In other words, the popular belief in the supernatural has continued by a process of adaptation to changing perceptions of the world. Thus the inexplicable, violent movement of objects, supernatural stone-throwing and bed-rocking, which were once attributed to witchcraft, are now seriously explained in terms of poltergeist activity. Is the former explanation any more 'irrational' than the latter? And although few people still believe in fairies and fairy abduction, many now believe in UFOs, egg-headed aliens, and alien abduction. Stories of such encounters are probably as widely deliberated in modern mass culture as stories of fairies were in the old rural culture. ( ... ... )
2018년 6월 30일 토요일
발췌
2018년 6월 26일 화요일
발췌 2: 대실 해밋// Flitcraft parable
※ 발췌: 출처, "G In The Air," in his Maltese Falcon
─ 1. 우화의 시작:
( ... ... )
A man named Flitcraft had left his real-estate-office, in Tacoma, to go to luncheon one day and had never returned. He did not keep an engagement to play golf after four that afternoon, though he had taken the initiative in making the engagement less than half an hour before he went out to luncheon. His wife and children never saw him again. His wife and he were supposed to be on the best of terms. He had two children, boys, one five and the other three. He owned his house in a Tacoma suburb, a new Packard, and the rest of the appurtenances of successful American living.
( ... ... )
─ 2. 중간:
(Spade put the telephoe down and told her: “He'll be up in a few minutes.) Well, that was in 1922. In 1927 I was with one of the big detective agencies in Seattle. Mrs. Flitcraft came in and told us somebody had seen a man in Spokane who looked a lot like her husband. I went over there. It was Flitcraft, all right. He had been living in Spokane for a couple of years as Charles--that was his first name--Pierce. He had an automobile-business that was netting him twenty or twenty-five thousand a year, a wife, a baby son, owned his home in a Spokane suburb, and usually got away to play golf after four in the afternoon during the season.”
Spade had not been told very definitely what to do when he found Flitcraft. They talked in Spade's room at the Davenport. Flitcraft had no feeling of guilt. He had left his first family well provided for, and what he had done seemed to him perfectly reasonable. The only thing that bothered him was a doubt that he could make that reasonableness clear to Spade. He had never told anybody his story before, and thus had not had to attempt to make its reasonableness explicit. He tried now.
“I got it all right,” Spade told Brigid O'Shaughnessy, “but Mrs. Flitcraft never did. She thought it was silly. Maybe it was. Anyway, it came out all right. She didn't want any scandal, and, after the trick he had played on her--the way she looked at it--she didn't want him. So they were divorced on the quiet and everything was swell all around.
“Here's what had happened to him. Going to lunch he passed an office-building that was being put up--just the skeleton. A beam or something fell eight or ten stories down and smacked the sidewalk alongside him. It brushed pretty close to him, but didn't touch him, though a piece of the sidewalk was chipped off and flew up and hit his cheek. It only took a piece of skin off, but he still had the scar when I saw him. He rubbed it with his finger--well, affectionately--when he told me about it. He was scared stiff of course, he said, but he was more shocked than really frightened. He felt like somebody had taken the lid off life and let him look at the works.”
Flitcraft had been a good citizen and a good husband and father, not by any outer compulsion, but simply because he was a man who was most comfortable in step with his surroundings. He had been raised that way. The people he knew were like that. The life he knew was a clean orderly sane responsible affair. Now a falling beam had shown him that life was fundamentally none of these things. He, the good citizen-husband-father, could be wiped out between office and restaurant by the accident of a falling beam. He knew then that men died at haphazard like that, and lived only while blind chance spared them.
─ 3. (2)의 연속:
It was not, primarily, the injustice of it that disturbed him: he accepted that after the first shock. What disturbed him was the discovery that in sensibly ordering his affairs he had got out of step, and not into step, with life. He said he knew before he had gone twenty feet from the fallen beam that he would never know peace again until he had adjusted himself to this new glimpse of life. By the time he had eaten his luncheon he had found his means of adjustment. Life could be ended for him at random by a falling beam: he would change his life at random by simply going away. He loved his family, he said, as much as he supposed was usual, but he knew he was leaving them adequately provided for, and his love for them was not of the sort that would make absence painful.
─ 4. (3)에서 이어짐. 우화의 끝:
“He went to Seattle that afternoon,” Spade said, “and from there by boat to San Francisco. For a couple of years he wandered around and then drifted back to the Northwest, and settled in Spokane and got married. His second wife didn't look like the first, but they were more alike than they were different. You know, the kind of women that play fair games of golf and bridge and like new salad-recipes. He wasn't sorry for what he had done. It seemed reasonable enough to him. I don't think he even knew he had settled back naturally into the same groove he had jumped out of in Tacoma. But that's the part of it I always liked. He adjusted himself to beams falling, and then no more of them fell, and he adjusted himself to them not falling.”
2018년 6월 25일 월요일
발췌: 대실 해밋// Flitcraft parable
─ 1. 이전 검색: http://hsalbert.blogspot.com/2017/11/flitcraft-parable.html
─ 2. 발췌 (excerpt): 출처, "G In The Air," in his Maltese Falcon
Spade had not been told very definitely what to do when he found Flitcraft. They talked in Spade's room at the Davenport. Flitcraft had no feeling of guilt. He had left his first family well provided for, and what he had done seemed to him perfectly reasonable. The only thing that bothered him was a doubt that he could make that reasonableness clear to Spade. He had never told anybody his story before, and thus had not had to attempt to make its reasonableness explicit. He tried now.
이야기의 이 부분에서 스페이드가 전하는 이야기:
- 플릿크래프는 아무런 죄책삼을 느끼지 않았다.
- 그는 자신이 이전 가족을 떠났을 때 그들이 넉넉히 누리고 살고 있었다는 것을 지적했다. 가족을 떠났던 자신의 행동은 전적으로 합리적이었다고 생각하는 듯했다.
- 플릿크래프트가 불편해했던 유일한 점은 자신이 느꼈던 그 합리성을 스페이드에게 분명히 전할 수 있을지 미심쩍었다[자신이 없었다, doubt]는 점이었다.
- 플릿크래프는 이전에 한 번도 그 이야기를 꺼냈던 적이 없었던지라 자신의 그 행동이 합리적인 것이었음을 분명히 표현하려고 시도해야 했던 적이 없었다.
─ 3. 한편 이야기의 이 부분을 다른 저자가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Flitcraft/Pierce expressed no apparent remorse, pointing out to Spade that his previous family was well provided for. Nonetheless, Flitcraft/Pierce was anxious to relay to Spade an explanation, as he'd never told anyone what happened. (Chapter 1, in Mihir Desai, Wisdom of Finance)
─. 4 형용사 anxious에 대한 용례 설명
Usage Note (American Heritage 5th edn):
Anxious has a long history of use as a synonym for eager, but some prefer that anxious be used only to describe those who are worried or uneasy, as in the sentence He's anxious about his upcoming surgery. The acceptability of anxious to mean eager has been increasing, however. In our 1999 survey of the Usage Panel, 47 percent approved of the sentence We are anxious to see the new show of British sculpture at the museum, whereas in 2014, this sentence was acceptable to 57 percent of panelists. The acceptability was higher for this usage in a sentence about a situation with a tinge of uneasiness: After a four-hour bus ride, the children were anxious to get outside (acceptable to 69 percent of the Panel in 1999 and 78 percent in 2014). Although resistance to the use of anxious to mean eager is waning, writers should be aware that there are still those who frown upon using the word in situations where no anxiety is present.
요약: anxious to V는 초조와 불안이 개입되지 않는 상황에서 열렬한 욕구/욕망만을 표현하는 데 쓰지 않는 것이 좋다.
2018년 6월 24일 일요일
Dic: dismiss // dismiss something as something (in meanings of disregard, discount, reject)
대다수 사전들이 dismiss의 대표적 용례 하나로 'dismiss something as [화자가 보기에 부정적인 무엇]'을 꼽는데, 적지 않은 영어권 작가들이 'dismiss something as [화자가 보기에 긍정적인 무엇]'의 구문을 'something이 긍정적인 무엇임을 인정하지 않다/일축하다/묵살하다/무시하다/거부하다'의 용도로 쓴다.
최근의 예를 보자면, 이런 문장:
- There are many who dismiss markets as mechanisms for establishing true values.
- 다른 예가 더 있을 터인데 ...
다음 문장에 등장한 did not show 와 as의 관계도 이와 비슷하게 작문된 예다. 여기서 'did not show'는 'disregard'와 비슷한 뜻이다.
- Before long, the president would want a way of measuring the economy that did indicate its total capacity to produce but did not show additional government expenditure on armaments as reducing the nation's output. [출처]
하여, 사전의 풀이와 예문을 다시 찾아 적어본다. 사람 헷갈리게 만드니까...
─. If you dismiss something, you decide or say that it is not important enough for you to think about or consider. = discount. [V n as n, V n]
─. to refuse to consider someone's idea, opinion etc, because you think it is not serious, true or important.
─. To refuse to accept or recognize; reject.
─. To reject someone or something by viewing or designating it in a particular way.
- Mr Wakeham dismissed the reports as speculation.
- I would certainly dismiss any allegations of impropriety by the Labour Party.
- He just laughted and dismissed my proposal as unrealistic.
- It's an idea that shouldn't be dismissed out of hand (= dismissed immediately and completely).
- dismissed the claim as highly improbable.
- The studio may dismiss me as a dumb blonde, but i'll show them how versatile an actress I can be!
- The candidate dismissed the negative report about him as a total fabrication.
─ 2. If you dismiss something from your mind, you stop thinking about it. = banish. [V n from n, V n]
─. To stop considering; rid one's mid of; dispel
- I dismissed him from my mind.
- "It's been a lovely day," she said, dismissing the episode.
- dismissed all thoughts of running for office.
재검색:// conceptual arc에서 arc는 '틀(frame, framework)'처럼 꽉 짜인 것이 아니다
※ 발췌 (excerpts):
출처 1: Conceptual Structures: Applications, Implementation and Theory (1995)
2.2 A new approach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conceptual clustering, called COING, which consists in searching a concept hierarchy of a set of objects through a space of concept hierarchies ^explicitly^ built: the Generalization Space. This approach is based on a representation of complex objects using conceptual graphics [28]. We will first introduce some terminology and an example used along this article.
Knowledge representation. Our work being related to the MSG developed by Mineau [25], we have considered the same restrictions on the conceptual graphs: existential graphs where only binary relations are used. Such graphs may be decomposed without ambiguity as a set of triplets 〈concept 1, relation, concept 2〉. We call conceptual arc or arc such a triplet of a conceptual graph. Throughout this paper, we will use as an example a set of objects to be clustered (see figure 2). This set of objects, taken from [14], provides a good example of an application of our approach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objects do not require the full expression power of the conceptual graphs formalism. In this example, we represent each object using conceptual graphs; figure 3 presents the representation of an object.
The term ^concept^ will be used within two contexts:
─ an ^acquired concept^ in the conceptual clustering paradigm designs the entity "cluster + cluster description",
─ a ^domain concept^ corresponds to a concept of the conceptual graphs formalism.
( ... ... )
출처 2: Abstraction, Reformulation, and Approximation (2003)
Figure 1 below presents an example of a house description using conceptual graphs. The triplet [Window] → (color) → [White] is a conceptual arc. This example is used throughout the article to illustrate the algorithms presented.
출처 3: Character Arc, Conceptual Arc and Thematic Arc: Which Should You Use? (Michael Lee | Script Mag, 2016년 5월 5일)
There are suddenly a lot of people coming out against character arcs. Some critics and writers take issue with the notion that every script requires a character arc. They site examples of very successful movies where the main character doesn't undergo a big, dramatic change like the modern classic ^Ghostbusters^ and the recent ^The Martian^. And these people have a point to an extent.
( ... ... )
Does the world see him differently at the end? This is a gray area. Often characters are defined by what they think and feel and what they do. But you can consid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world as part of their character. So what if that relationship is the thing that changes? It depends. What does the writer consider more important; the reason why society has changed its attitude towards the character? That would suggest a more thematic or conceptual arc for the story. But if what's important is how the change in attitude affects the character then we're back to the character arc.
[니체, 도덕의 계보학] 제2논문 8절의 재검토
─. 이전 검색과 발췌:
- 영문 텍스트 차례와 링크: F. Nietzsche, On the Genealogy of Morals: A Polemical Tract (1887). 그중 프롤로그 발췌.
- 번역서 1의 발췌 :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김정현 옮김. 책세상 펴냄 (2002/2006)
─. 번역서 2: 《도덕의 계보학: 하나의 논박서》 홍성광 옮김. 연암서가 펴냄 (2011/2017)
※ 그중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의 8절의 발췌:
우리의 원래 연구로 되돌아가 본다면, 죄책감과 개인적인 의무감은 이미 우리가 살펴본 바처럼, 존재하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근원적인 개인 관계에, 즉 구매자와 판매자,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관계에 그 기원을 두었다. 즉 여기에서 우선 개인이 개인과 상대하였으며, 여기에서 우선 개인이 개인과 서로 견주었던 것이다.
아무리 저급한 문명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관계가 약간이나마 드러나지 않은 문명이 발견되지 않은 적은 아직 없었다. 값을 정하고 가치를 측정하며 등가물을 생각해 내서 교환하는 일─이러한 것은 어떠한 의미에서는 사고 그 자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인간의 가장 원초적 사고를 지배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가장 오래된 종류의 명민성이 개발되었고,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인간의 자긍심이나 다른 동물에 대한 우월감의 싹이 최초로 키워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아마 '인간Mensch(manas)'이라는 우리의 단어 또한 바로 이러한 자부심 같은 것을 표현하는 것이리라. 인간이란 가치를 재고 평가하고 측정하는 존재로, ‘평가하는 동물 자체’로 특징지어졌다.
구매와 판매는 그 심리적인 부속물과 아울러 심지어 어떠한 종류의 사회 조직이나 사회 집단의 시초보다도 더 오래된 것이다. 오히려 교환, 계약, 죄, 권리, 의무, 보상 등의 싹이 되는 감정은, 힘과 힘을 비교하고 재며 헤아려보는 습관과 더불어, 개인의 권리라는 가장 초보적인 형태에서 가장 조야하고 가장 원시적인 공동체 복합체(이것을 다른 유사한 복합체와 비교해 볼 때)로 옮아갔다. 이리하여 인간의 눈은 이제 이러한 관점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움직이기는 어렵지만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단호하게 같은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는 고대 인류의 사고에 특유한 저 굼뜬 일관성으로, 사람들은 곧바로 '어느 사물에나 가격이 있다. 모든 것에는 대가가 치러질 수 있다'고 뭉뚱그려 일반화하게 되었다. 이것은 정의에 관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순진한 도덕규범이며, 지상에서의 온갖 '선량함', 온갖 '공정성', 온갖 '선의', 온갖 '객관성'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최초의 단계에서 정의란 거의 동등한 힘을 가진 사람들끼리 서로 타협하고 조정을 통해 다시 '합의'를 보려는 선의이며, 그리고 보다 힘이 떨어지는 사람들에 관련해서는 그들끼리 조정에 이르도록 강요하는 선의이다.
─. 위 번역서 1 중 같은 부분(제2논문 8절)의 발췌:
우리의 연구 과정을 다시 시작해본다면, 죄의 감정과 개인적인 의무의 감정은 이미 우리가 보아왔듯이, 그 기원을 존재하는 가장 오래되고 근원적인 개인 관계에, 즉 파는 자와 사는 자, 채권자와 채무자의 관계에 두고 있다 : 여기에서 비로소 개인이 개인과 상대했으며, 여기에서 비로소 개인인 스스로를 개인과 견주었다. 이러한 관계를 이미 인정할 수 없을 정도로 저급한 문명은 발견된 적이 없다. 값을 정하고 가치를 측정하고 등가물을 생각해내며 교환하는 것─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사유라고 할 수 있을 만한 인간의 원초적 사유를 미리 지배하고 있었다 : 여기에서 가장 오래된 종류의 명민함이 길러졌고,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인간이 다른 동물에 대해 가진 긍지나 우월감의 싹도 최초로 얻었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마 '인간manas'이라는 우리의 용어도 바로 이러한 자기 감정의 그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것이리라 : 인간이란 가치를 재고 평가하고 측정하는 존재, ‘평가하는 동물 자체’로 묘사된다. 사고 파는 것은 심리적인 부속물과 더불어, 심지어는 어떤 사회 조직 형태나 집단의 시초보다 더 오래된 것이다 : 오히려 교환, 계약, 죄, 권리, 의무, 보상 등의 감정의 싹은, 동시에 힘과 힘을 비교하고 측정하고 계산하는 습관과 더불어, 개인의 권리라는 가장 초보적 형식에서 이제 가장 조야하고 원시적인 사회 복합체 (다른 유사한 복합체와 비교하여)로 ^이행^했다. 눈에 이제 이러한 관점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 움직이기는 어렵지만 일단 움직이기만 하면 단호하게 같은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는 고대인의 사유에 특유한 저 둔중한 일관성으로, 곧 "어느 사물이나 그 가격을 지닌다. 모든 것은 대가로 지불될 수 있다"는 중요한 일반화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정의의 가장 오래되고 소박한 도덕의 규준이며, 지상에서의 모든 '호의', 모든 '공정', 모든 '선한 의지', 모든 '객관성'의 발단이다. 이러한 최초 단계에서의 정의란 거의 동등한 힘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서로 타협하고 조정을 통해 다시 '합의'하려는 좋은 의지이다.─ 그리고 힘이 열등한 자에 관해 말하자면, 그들 상호간에 조정할 수 있도록 강제하는 선한 의지인 것이다.─
─. 위 영문 텍스트의 같은 부분 발췌:
To resume the path of our enquiry, the feeling of guilt, of personal obligation has, as we saw, its origin in the oldest and most primitive personal relationship there 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ler and buyer, creditor and debtor. Here for the first time one person moved up against another person, here an individual measured himself against another individual. We have found no civilization still at such a low level that something of this relationship is not already perceptible. To set prices, to measure values, to think up equivalencies, to exchange things—that preoccupied man’s very first thinking to such a degree that in a certain sense it’s what thinking itself is. Here the oldest form of astuteness was bred; here, too, we can assume are the first beginnings of man’s pride, his feeling of pre-eminence in relation to other animals. Perhaps our word “man” (manas) continues to express directly something of this feeling of the self: the human being describes himself as a being which assesses values, which values and measures, as the “inherently calculating animal.” Selling and buying, together with their psychological attributes, are even older than the beginnings of any form of social organizations and groupings; out of the most rudimentary form of personal legal rights the budding feeling of exchange, contract, guilt, law, duty, and compensation was instead first transferred to the crudest and earliest social structur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imilar social structures), along with the habit of comparing power with power, of measuring, of calculating. The eye was now adjusted to this perspective, and with that awkward consistency characteristic of thinking in more ancient human beings, hard to get started but then inexorably moving forward in the same direction, people soon reached the great generalization: “Each thing has its price, everything can be paid off”—the oldest and most naive moral principle of justice, the beginning of all “good nature,” all “fairness,” all “good will,” all “objectivity” on earth. Justice at this first stage is good will among those approximately equal in power to come to terms with each other, to “come to an agreement” again with each other by compensation—and in relation to those less powerful, to compel them to arrive at some settlement among themselves.—
... ...
2018년 6월 23일 토요일
검색: Ixion// 익시온의 형별 (지옥불의 수레바퀴? 하늘에서 이글거리는 태양의 수레바퀴?)
※발췌:
출처 1: 익시온, 탄탈로스, 시시포스 ─ 영원한 저주에 빠진 영혼의 해방 (블로그 푸른미르, 2012)
제우스는 익시온에게 벼락을 내려 올림포스 산에서 쫓아내고, 영원한 형벌을 내렸다. 그 영원한 형벌은 지옥에서 영원히 도는 불(Fire)의 수레바퀴에 익시온을 묶어 영원히 고통받게 하는 것이라고도 하고, 태양의 수레바퀴에 묶어 영원히 고통받게 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출처 2: https://en.wikipedia.org/wiki/Ixion
Ixion was expelled from Olympus and blasted with a thunderbolt. Zeus ordered Hermes to bind Ixion to a winged fiery wheel that was always spinning. Therefore, Ixion is bound to a burning solar wheel for all eternity, at first spinning across the heavens,[8] but in later myth transferred to Tartarus.[9]
출처 3: Britannica
Ixion abused his pardon by trying to seduce Zeus’s wife, Hera. Zeus substituted for her a cloud, by which Ixion became the father of Centaurus, who fathered the Centaurs by the mares of Mount Pelion. Zeus, to punish him, bound him on a fiery wheel, which rolled unceasingly through the air or, according to the more common tradition, in the underworld.
출처 4: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Zeus now unleashed a full set of punishments on Ixion. First, he was repeatedly lashed by Hermes until he repeated the phrase 'benefactors deserve honour' as if he meant it. Then he was tied to a flaming wheel (perhaps the Sun) which was sent to spin forever through the heavens. In later tradition, this was changed to Hades, or perhaps the wheel and its cargo just ended up down there eventually.
출처 5: [네이버 지식백과] 익시온 [Ixion]
제우스는 또 다시 신성모독의 죄를 범한 익시온을 불타는 수레바퀴에 묶어 허공으로 던져버렸다. 익시온은 타르타로스(저승)에 가서도 불타는 수레바퀴에 묶여 영원한 고통을 받고 있다고 한다. 전승에 따라 익시온이 묶인 수레바퀴에는 활활 타오르는 불길이 아니라 뱀이 휘감겨 있기도 하다.
출처 6: Encyclopedia Mythica
Ixion, as a punishment, was chained by Hermes with his hands and feet to a wheel, which is described as winged or fiery, and said to have rolled perpetually in the air or in the lower world. He is further said to have been scourged, and compelled to exclaim, "Benefactors should be honored."
출처 7: The Myth of Ixion (Cecil Smith | The Classical Review, Vol. 9, No. 5. June 1895. pp.277-280.)
2018년 6월 22일 금요일
Dic:// unhelpful
─. If you say that someone or something is unhelpful, you mean that they do not help you or improve a situation, and may even make things worse.
─. not helping in a situation and sometimes making it worse.
─ 1. not improving a difficult situation:
- The instruction were badly written and unhelpful.
- I don't need any more of your unhelpful advice!
- The shop assistant was rude and unhelpful.
- The woman was very unhelpful.
- Criticism is unhelpful, to say the least.
2018년 6월 21일 목요일
Dic:// problematic (영영사전들 풀이를 반영해 놓으면 영한사전 수준으로 편집해 놓는다)
아래 영영 사전들의 풀이를 보면, 상당수의 문맥에서 이 어휘는 '문제 소지가 많다' '까다로운/심각한 난점을 초래한다' 등의 표현이 적절하다. '소지(素地)'란 말이 잘 쓰이지 않는 말일까?
─. 소지(素地): 문제가 되거나 부정적인 일 따위를 생기게 하는 원인. 또는 그렇게 될 가능성.
─ CF. [말글찻집] 가능·가성능/최인호 (2006년 6월 9일)
발췌: ( ... ... ) "이 밖에 ‘가능성’이라면 문장에 따라 ‘여지·소지·실현성·있음직한’ 등 다른 말로 다양하게 바꿔 쓸 수도 있다."
problematic:
─. full of problems or difficulties.
- Getting everyone there on time might prove problematic.
- The situation is more problematic than we first thought.
- Which are the most problematic countries in the world for journalist.
─. difficult to understand, solve, or fix. (이해하고 해결하고 고치기 어렵다)
- a problematic [= puzzling] situation
- Rules of grammar are more problematic for non-native speakers.
2. in doubt or dispute: (미심쩍다, 논란의 여지가 있다)
─ 1. debatable, problematic, problematical (open to doubt or debate)
- "If you ever get married, which seems to be extremely problematic"
- "a baffling problem";
- "I faced the knotty problem of what to have for breakfast";
- "a problematic situation at home"
Dic:// orthodox는 무조건 '정통', unorthodox는 무조건 '비정통'으로 기계 번역?
─. 정통(바를 正; 거느릴 統): 바른 계통. 정당한 계통, 혈통.
─. 정통(正統): 바른 계통. 적장(嫡長)의 혈통. 사물의 중심이 되는 요긴한 부분. ...
─ 1. orthodox beliefs, methods, or systems are ones which are accepted or used by most people. (= conventional, ≠ unorthodox)
- Many of these ideas are now being incorporate into orthodox medical treatment.
2. If you describe someone as orthodox, you mean that they hold the older and more traditional ideas of their religion or party. (= conservative, traditional)
─ 1. conforming with established or accepted standards, as in religion, behaviour, or attitudes.
2. ...
─ 1. orthodox ideas, methods, or behaviour are accepted by most people to be correct and right. (= conventional)
2. someone who is orthodox has the opitions and beliefs that are generally accpeted as being right, and does not have new ideas or different ideas.
3. ...
─ 1. ...
4. Adhering to what is commonly accepted, customary, or traditional:
- an orthodox view of world affairs.
─ 1. (of beliefs, ideas or activities) considered traditional, normal and acceptable by most people:
- orthodox treatment/methods.
- orthodox views/opinions.
- We would prefer a more orthodox approach/solution to the problem.
─ 1. (esp of belies or behaviour) generally accepted or approved of; following generally accepted beliefs. (= traditional, ≠ unorthodox, cf. heterodox)
2. following closely the traditional beliefs and practices of a religion.
2018년 6월 17일 일요일
구어적 용어와 표상:// Wall Street vs. Main Street
온라인상으로 읽어만 봤던 자료들을 다시 검색해서 이제 기록으로 적어보자.ㅎ
※ 이하 발췌:
출처 1: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Wall Street and Main Street? (Money Badger, 2016)
When people talk about “Wall Street,” they’re discussing investment firms, corporations, “the 1%”, and everything in between. When people talk about “Main Street,” they’re really talking about the little guys: small businesses, the middle class, the economy, and more.
출처 2: 'Main Street' has meant many things over the years (Joe McClure | Pennlive.com, 2011년 12월 17일)
Main Street versus Wall Street. We hear pundits and politicians make this comparison all the time, especially since the Great Recession. Main Street represents the good guys, the hardworking average folks who form the backbone of the nation.
But the term "Main Street" hasn't always possessed such a positive meaning. It originally represented small-town provincialism and bigotry. As the decades have passed, nostalgia and the Great Recession have given it a more positive meaning.
The dim view of the small town was popularized by Sinclair Lewis' best-selling 1920 novel "Main Street." The novel established Lewis as a premier American satirist and launched a successful decade that made him the first American to wi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n 1930.
( ... ... ) Scholar James Hutchisson writes that [Lewis's "Main Street"] was the most successful because of its satiric approach and because the time was ripe. After World War I, small towns were no longer an essential part of the economy, and their social attitudes were seen as outdated.
( ... ... )
( ... ... )
Scholar Richard O. Davies writes that after "Main Street," criticism of small towns became fashionable in the 1920, but after World War II it was replaced by nostalgia, which continues today. Disneyland and Magic Kingdom have a Main Street, USA, based in part on Walt Disney’s hometown of Marceline, Mo.
( ... ... )
Since the Great Recession, Main Street has gained another connotation: the home of the average American who is a victim of Washington and, especially, Wall Street. The 2008 presidential race magnified the Main Street-as-victim theme, with Barack Obama and John McCain using Main Street as a foil to the evils of Big Business. Since becoming president, Obama has continued to juxtapose Main Street and Wall Street. In 2009, he embarked on a White House to Main Street Tour. He has called for Wall Street reform as a way to “bring greater security to folks on Main Street.”
This year’s Republican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contrasted Main Street with Wall Street and Washington, too. Former candidate Herman Cain claimed he was a better choice than Mitt Romney for the Republican presidential nominee next year because Romney “has been more of a Wall Street executive. I have been more of a Main Street executive.” Texas Gov. Rick Perry says that if he’s president, Washington lobbyists no longer will set policy. Instead, “it will be dictated by Main Street.”
( ... ... )
출처 3: Main Street (Wikipedia, as of June 19, 2018)
Main Street is a generic phrase used to denote a primary retail street of a village, town or small city in many parts of the world. It is usually a focal point for shops and retailer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and is most often used in reference to retailing and socializing.
( ... ... ) The best-selling 1920 novel Main Street was a critique of small town life, by the American writer Sinclair Lewis. The locale was "Gopher Prairie," presented as an 'ideal type' of the Midwestern town, and the heroine, Carol Kennicott, was a more urbane, 'ideal-typical' Progressive.
In North American media of later decades, "Main Street" represents the interests of everyday people and small business owners, in contrast with "Wall Street" (in the United States) or "Bay Street" (in Canada), symbolizing the interests of large national corporations. Thus, in the 1949 movie adaptation of On The Town, the song "When You Walk Down Main Street With Me" refers to small-town values and social life. Main Street Republicans, for example, see themselves as supporting those values as against urbane or "Wall Street" tendencies. ( ... ... )
출처 4: Wall Street (Investing Answers)
( ... ) The name "Wall Street" is also frequently used to describe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generally. ( .... ) [It is] often shortened to "the Street"─to be synonymous with high finance, all manner of ivesting and general economic prosperity.
In popular cultrue, "Wall Street" stands in contrasts to "Main Street." Whill Wall Street is used to describe the capital markets and the financial industry. Main Street is typically used to describe the larger economy in which the vast majority of people live and work.
Main Street (Investing Answers):
Main Street refers to collectively to members of the general population who invest in the capital markets. individuals and businesses that do not work for financial and investment companies are considered part of Main Street. Main Street should not be confused with Wall Street, which refers to members of the brokerage and financial services community. Main Street invests in the capital markets as investment clients through Wall Street. ( ... ... )
출처 5: Main Street (Investopedia)
Main Street is a colloquial term used to refer to individual investors, employees and the overal economy. Main Street is typically contrasted with Wall Street, with the latter referring to the financial markets, major financial institutions and big corporations, as well as the high-level employees, managers and executives of those firms. You'll find ofter hear about Main Street vs. Wall Street in rhetoric about the different goals, knowledge levels, interests and political power of these two groups.
Main Street can also describe small, independent investment company (i.e., a Main Street firm) as opposed to one of the large, globally recognized Wall Street investment firms. Wall Street firms tend to serve large investors with multi-billion dollar assets, like institutions, while Main Street firms tend to be better suited to serving small, individual investors by providing more personalized service.
Main Street is often seen as being the opposite of Wall Street. This can lead to some very unpleasant attitudes on both sides. ( ... ... ) Some people think that what's good for Wall Street is bad for Main Street and vice versa. ( ... ... )
... ...
2018년 6월 14일 목요일
용어:// 성경 vs. 성서
※ 이하 발췌:
출처 1: '성서'인가 '성경'인가 (김인보 신부 지음 | 가톨릭뉴스 여기지금, 2011년 11월 23일)
한국 천주교회는 1985년부터 '그리스도 왕 대축일'로 시작되는 연중 마지막 구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지내고 있다. '성서 주간'이 제정된 이유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한 마디로 '성경'이 지니는 중요성 때문이다. 예로니모 성인은 "성경을 모르면 그리스도를 모르는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도 바오로 역시 "성경은 전부 하느님의 영감으로 쓰인 것으로, 가르치고 꾸짖고 바로잡고 의롭게 살도록 교육하는 데에 유익"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성경은 '책' 또는 '거룩하게 기록된 것들'이라는 뜻
그렇다면 '성경'이라는 말은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성경'이라는 말은 그리스어 'biblia'에서 유래했다. 이는 '자세하게 기록한 쪽지'를 뜻하는 'biblos'의 복수형으로 '책'을 뜻한다. 그리고 이는 다시 라틴어 'Biblia'로 파생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영어권 국가드은 'The Bible'로, 스페인어권에서는 'La Biblia' 그리고 독일어권에서는 'Die Bibel', 프랑스어권에서는 'La Bible'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모두 라틴어의 영향으로 '책'이라는 의미로 쓰인 이름들이다.
또 다른 이름으로, 영어로는 'The Holy Scripture', 독일어로는 'Die Heilige Schrift', 프랑스어로는 'La Sainte Ecriture'가 있다. 이 역시 라틴어 'Sacra Scripture'에서 유래한 것으로 '거룩하게 기록된 것들'을 뜻한다. 하지만 이 'Scripture'는 '책'의 의미와 더불어 성경의 '구절' 또는 '내용'을 언급할 때 주로 사용한다.
'성경'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할 무렵인 기원전 1500년경에는 오늘날과 같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이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이집트와 시리아의 얕은 개울에서 주로 자라던 갈대의 일종인 '파피루스'(Papyrus) 줄기 껍질을 얇게 벗겨내 서로 엇갈려 겹쳐 놓은 뒤 그늘진 곳에서 말린 후 펴서 기록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파피루스에서 '종이'를 뜻하는 영어 'Paper'가 파생되었다.
( ... ... )
( ... ... )
나라마다 다른 이름, '성서'와 '성경'
몇 년 전부터 '성경'이라는 이름에 대한 질문을 자주 듣는다. 아마 그 동안 '성서'라고 불러오다가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에서 2005년에 새번역성경을 출간하면서 '성경'으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대한성서공회에서 1977년에 발간한 《공동번역 성서》 그리고 한국 천주교 전례 200주년을 기념하여 발간한 《200주년 성서》 등 '성서'라는 명칭을 써 오다가 '성경'이라고 부르기 어색한 탓도 있을 것이다.
우리와 같은 한자 문화권인 일본과 중국 역시 성경에 대한 명칭이 다르다. 중국에서 ‘성경’(聖經)이라 부르는데, 이는 한자 ‘경’(經)의 의미에서도 드러나듯이, 계율이나 법률적인 성격의 내용을 담고 있는 책에 대해서는 ‘경’(經)을 사용하는 전통을 따른 것이다. 중국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서적을 들여온 우리나라에서도 초창기에는 ‘성경’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1801년 신유박해 이전에 이미 <셩경직해광익> 또는 <셩경광익직해>라 불리던 우리말 최초의 성경이 있었고, 1892~1897년경 4복음서의 일부를 번역한 <셩경직해>가 발간되었으며, 1910년에는 불가타본을 번역한 한기근(바오로) 신부의 <사사셩경>이 출판되었다.
일본에서는 ‘성서(聖書)’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일본에서 성경(聖經)은 불경(佛經)을 뜻하기 때문에 혼란을 피할 목적으로 ‘성서’를 사용한 것이다. 이런 사정은 우리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 불교용어 가운데 ‘성경대’(聖經臺)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불경을 놓고 읽는 독서대(讀書臺)를 뜻하는 것으로 ‘독경대’(讀經臺)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경'인가 '성서'인가
성서(聖書)와 성경(聖經), 그 논란의 중심에는 경전성(經典性)이 자리하고 있다. 개신교 진보 신학자 정강길에 의하면 “경전성을 강조하는 보수적인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을, 비판적 접근을 강조하는 진보적 그리스도인들은 성서라는 말을 쓰는 경향”(<미래에서 온 기독교>, 정강길, 에클레시안, 2007)이 있다고 설명한다. 일면 맞는 말이기도 하다.
‘성경’을 사용하게 되면 성경의 규범적 차원이 강화되고, 법(法)적 권위를 드러내는 불가침의 성역으로 성경이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사사로운 해석이 금지되고, 교회 권위에 의한 해석만이 유일한 해석으로 강제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개신교의 경우에 ‘축자영감설’ 등 근본주의 교설이 힘을 얻을 수도 있겠다.
한편 ‘성서’란 이름을 쓰면, 정경(Canon)이란 뜻보다는 ‘역사적 산물인 책’의 의미로 쓰일 수 있기에, 독자들의 자유로운 해석의 여지를 더욱 넓혀준다. ‘성서’는 종교적 권위에 앞서 의미있는 삶을 위한 인생의 참고서로서, <탈무드>처럼 비그리스도인들에게도 친근한 느낌을 주게 된다. ‘성서’에 절대성을 부여하기 보다는 ‘성서’를 자유로운 탐구 영역으로 남겨두는 효과가 있다. 이런 점에서 ‘성경’은 교회의 권위에 기여하고, ‘성서’는 세상과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성서(聖書)를 쓰든, 성경(聖經)이라는 명칭을 쓰든지 간에, 근본적으로 그 내용과 본질에는 변함이 없다. 그리스도인이 삶의 ‘근본’(經)으로 삼아야 하는 하느님의 ‘말씀’이며, 또한 계시를 기록(書)한 ‘책’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서’와 ‘경’의 논란은 무의미할 수 있다.
( ... ... )
( ... ... )
덧붙여, 주교회의에 제안할 것이 있다. ‘성서’가 ‘성경’으로 바뀐 지 햇수로 6년여 되었다. 하지만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성서주간’ 등 교회용어들은 대부분 ‘성서’라는 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야 알 수 없지만 일관성이 없어 보인다. 신자들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위와 같은 명칭들도 개정하든가, 아니면 ‘성경’을 ‘성서’라는 본래 사용하던 이름으로 되돌려 놓아야 할 것이다.
출처 2: "성경"이 맞습니까? "성서"가 맞습니까? (홍삼열 지음 | 산타클라라 연합감리교회, 2015년 9월 21일)
기독교인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앙의 지침으로 삼는 책이 있다. 구약과 신약으로 이루어진 66권의 책이다. 이 책이 어떤 때는 성경(聖經)으로 불리고 어떤 때는 성서(聖書)로 불린다. 어떤 표현이 맞는 것일까?
이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입장이 존재한다.
첫째는 성경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다. “경”(經)이란 글자는 기독교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경전”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기독교 신자는 성서라는 표현 대신에 성경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다.
둘째는 성서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 있다. 영어 표현으로 The Bible 혹은 The Holy Scripture는 교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경전의 의미 이전에 하나님의 말씀이 담긴 책(書), 그러나 역사성이 있는 거룩한 책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성서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셋째는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교회가 성서와 성경을 별 구분 없이 그리고 큰 문제 없이 지금까지 사용해왔기 때문에 이제 와서 이 두 표현 사이에 옳고 그름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한국교회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 대한성서공회에서 번역 출판한 <성경전서>인데, 이미 이 이름 안에 “경”과 “서”가 함께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 ... ... )
현재 사람들이 기독교 경전을 지칭하는 표현을 들으면 “성경”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부류와 “성서”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부류가 좀 다른 것 같다. 매일 나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자 하는 일반 신도들은 성경이란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초대교회의 다양한 문헌들 중에서 선택된 책으로서 기독교 경전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성서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역사적으로 검토해 보면, 특히 신약성서의 예를 보면, 사도들이 썼다고 주장은 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사람들이 쓴 가짜 글들도 많이 있었다. 초대교회는 그런 글들 중에서 정말 사도들이 쓴 글을 식별해서 일정 숫자를 기독교 경전으로 확정하게 되는데 이것을 경전화(canonization) 과정이라 부른다. 그 덕분에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성경/성서가 만들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때 “성서”라는 이름보다는 “성경”이란 이름이 교회의 권위 혹은 교회제도와 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성경이란 명칭 안에는 하나님 말씀의 법적, 규범적 성격이 강해서 개인의 사사로운 해석이 금지되고 교회가 공식적으로 해석해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반면에 성서라는 명칭을 사용할 때는 성경이 어느 날 하늘에서 뚝 덜어진 “완벽한” 책이 아니라 역사적 산물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 교회의 공식적인 해석 이전에 어느 정도의 개인적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느낌으로 다가온다.
( ... ... )
출처 3: 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하버드 석학 하비 콕스의 바이블 가이드 (하비콕스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 펴냄 2018년)
( ... ... ) 이 책을 쓰면서 내가 바라는 것은 성서에 대한 '영적' 접근법이라는 관점에서 '성경 공부'와 '성서학' 사이에 다리를 놓는 것이다. 내 목적은, 비전문가들로 하여금 성서학자들의 때로는 위협적인 연구에서부터 성경 공부에 적용할 수 있는 관점을 얻어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동시에 전문학자들 또한 성경 공부 모임에서 얻을 수 있는 통찰을 제대로 볼 수 있게끔 독려하는 것이다. 내 계획은 성서 속에서 몇몇 책을 골라서 논의하려는 것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 책들이 성서 전반에 걸쳐 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성경 공부와 성서학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각 책이 가르쳐줄 수 있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나는 하나님의 실재가 궁극적으로 표현 불가하다고 믿으며 그래서 두말할 것 없이 사람의 성별로 남아낼 수 없다고 믿는다. 따라서 근자에 찬송시와 기도를 번역할 때 성별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려는 노력을 지지한다. 그러나 성서 본문의 단어를 인용할 때 '그/그녀'he/she라고 어색하게 쓰는 일을 피하기 위해 나는 원어의 용법을 따르려 한다. 이런 경우는 어색한 것보다 옛것을 선호한 것이다.[주]
[주] 양성(兩性)을 모두 아우르는 현대적 어법을 사용하지 않고 남성을 '기본'으로 보던 고대 히브리어와 그리스어의 표현을 그대로 직역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우리말에서는 양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인칭 대명사 '그'가 있으므로 저자가 걱정하는 이 문제는 본 번역서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 ...
2018년 6월 13일 수요일
쳐먹고 돈 내고 꺼져
그지 같은 편집은 정말 그지 같다.
'니들 쳐먹고 돈 내고 꺼져' 식 태도로 싸구려 짜장면을 만드는 주방장이 재료(원고), 조리 과정(원고를 이해하고,원고 생산자와 토의하면서 다루는 과정), 고객(독자)을 대하는 태도와 다를 게 없다.
재료와 절차에 충실하지 않은 주방장이 화학 조미료로 고객의 미각을 속이려고 하듯이, 재료-조리-고객으로 이어지는 프로세스에 대한 책임감도 목적의식도 없다.
"짜장면을 많이 팔면 된다."
이거 하나밖에 없는 건방진 돌대가리들이다.
2018년 6월 9일 토요일
두뇌 유출…, 유령 나라, 무리드파… (전문가의 독재)
9.6 두뇌 유출
이제 이 부의 첫머리에 국가주의에 관해 언급했던 두뇌 유출에 대해 다시 거론해 보자. 두뇌 유출 당사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한 국외 소득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두뇌 유출이 재앙적이라는 생각이 일정 정도 신빙성을 잃었다.
경제학자들은 개인들이 자기 나라에서 기능 개발에 투자하는 이유 중에는 이민도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기능 습득을 위해 많이 희생함으로써 얻는 보상은 노동자가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일할 수 있을 때 더 높아진다. 노동자가 국외에서 일할 수 없어서 보상이 떨어진다면, 그 노동자가 기능 개발에 투자할 개연성도 작아질 것이다. 국외로 나가는 이민을 억제해서 두뇌 유출을 막으면, 애초부터 ‘두뇌’가 되려고 투자할 사람도 줄어들 것이다. 새로 탄생할 두뇌가 줄어든다면, 결국 그 손실이 두뇌 유출을 막아서 지킬 수 있는 두뇌 숫자를 상쇄하고 말 것이다. 더욱이 한 나라가 국내뿐 아니라 국외로 수출되는 일정 유형의 유능한 노동자들을 잘 배출한다면(가령 필리핀 간호원), 그것은 축하해 마땅한 일이지 가로막을 일이 아니다.
‘공식적 발전’이 시작된 이래 이처럼 상식적인 논점을 깨닫는 데 수십 년이 걸렸다는 사실은 발전에서 국가주의적 강박증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말해 준다. 이제는 두뇌 유출의 부정적 효과와 긍정적 효과 모두를 고려하는 논의가 마침내 원조 기관에서도 용인되고 있다.
그래도 두뇌 유출의 주된 수혜자, 즉 나라 밖으로 떠나는 두뇌 유출 당사자들에 대한 고려는 여전히 금지되어 있다. 두뇌 유출자들에게는 발전의 배반자라는 오명이 따라붙고, 그들이 이민에서 얻는 이득은 불법적인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손의 원리는 이민에서도 잘 작동한다. 두뇌 유출자들에게 지불되는 임금은 그들이 세계적 산출에 기여하는 가치를 반영한다. 두뇌 유출자들이 저임금 일자리를 버리고 고임금 일자리로 옮겨가면, 그들의 생산성은 늘어난다. 그들은 그들 자신만을 이롭게 하는 게 아니라 세계의 발전 전체를 이롭게 한다. 오직 국가주의적 강박 관념만이 그러한 세계적 발전의 이득을 무시하려고 할 것이다.
두뇌 유출자들에 반대하는 논거 중 하나는 그들을 교육하는 고국의 비용이 들어갔으니, 그들을 떠나지 못하게 강제하거나 그 교육비를 토해 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미심쩍을 정도로 이민 문제만을 특이하게 취급하는 것이다. 교육받은 내국인이 국내에 살면서 무언가 다른 (가령 수도원에 들어간다든가 노동을 하지 않고 가사와 육아에 전념하는 등의) 이유로 그 나라의 생산에 가담하지 못한다고 해 보자. 이런 사람들에게 벌금을 물리자고 주장할 수 있는가?
9.7 웨스트버지니아의 사라진 공화국
강압적인 국가주의에 관한 우리의 이중 잣대를 또 다른 소재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같은 나라 안에서 다른 곳보다 더 가난한 지방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두뇌 유출이 피해를 유발한다는 논리는 그 피해가 가난한 나라의 문제든 같은 나라 안의 가난한 지역 차원의 문제든 동일하다. 그러나 지역 차원의 문제에 대해서는 별로 주목하지 않는다.
웨스트버지니아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가난한 주다. 1957년 9월 캄캄한 그믐날 밤, 그곳에 살던 두 사람의 두뇌 유출자들이 두 아이(그중 어린 아이는 생후 2주였다)를 데리고 오하이오 강을 건넜다. 북서쪽의 오하이오 주로 가서 일자리를 구하려던 것이다. 두 사람 모두 웨스트버지니아 대학을 졸업했고, 그중 남자는 박사 학위까지 취득했다. 두 살 때 아버지의 사망으로 거의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진 그는 자신의 운명에서 탈출하고자 교육을 바탕으로 더 나은 생활을 찾아 나섰다. 하지만 그러려면 좋은 일자리가 필요했는데, 좋은 일자리들은 웨스트버지니아가 아니라 오하이오에 있었다.
이 여정에 함께했던 생후 2주의 아이가 바로 나였다. 1950~2000년 사이 애초 2백만 명에 불과했던 웨스트버지니아에서 80만 명이 (나의 숙모와 숙부, 사촌을 포함해) 그곳을 떠났다. 아무도 내 부모를 향해 웨스트버지니아를 배신했다고 비난하지 않았으며, 그들에게 들어간 교육비를 웨스트버지니아에 토해 내라고 요구하지 않았다.
9.8 유령 나라
발전에서 빈곤 경감의 수단으로 이민을 적대시하는 태도는 이민이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정말로 ^이로울^ 때에도 계속되었다. 웨스트버지니아를 떠나는 이민의 큰 원인은 그 지역 석탄 산업의 장기적 쇠퇴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철도가 자동차로 대체됨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석탄에서 석유로 넘어가는 추세가 결정타였다. 그러니 웨스트버지니아는 창조적 파괴의 희생양이었던 셈이다. 게다가 광산이 기계화됨에 따라 웨스트버지니아 석탄 산업의 고용은 석탄 생산량의 감소보다도 빠르게 줄어들었다. 주력 산업인 석탄이 망하는 길로 들어서자 웨스트버지니아의 다른 산업들도 악영향을 입었다.
이제 뛰어난 두뇌의 이동에만 주목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숙련 노동자와 비숙련 노동자 모두의 인구 이동을 고려해 보자. 웨스트버지니아의 거대한 인구 유출은 숙련 노동자와 비숙련 노동자가 둘 다 이동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두 집단을 한데 묶어서 경제학자들이 애용하는 ‘노동’이라는 개념으로 사용해 보자. 그리고 웨스트버지니아를 잠비아와 비교해 보자. 잠비아 역시 구리 산업의 쇠퇴로 인해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잠비아는 이 장의 첫머리에 소개한 ‘의사 도둑질’을 언급한 논문이 주목했던 나라다.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 잠비아의 의사 쿤즈 데사이는 잠비아 사람들 중에는 예외적인 경우였다. 대부분의 잠비아 사람들은 다른 나라의 이민 규제 때문에 이민을 갈 수 없었다. 이제 우리의 초점을 단지 두뇌 유출에서 벗어나, 모든 잠비아 사람들에 대한 국외 이민 금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논의를 하는 김에─역시 숙련 노동과 비숙련 노동을 구분하지 않은 채─노동에 대한 수요·공급 분석을 해 보자. 이 분석은 랜트 프리체트가 「호황 가도의 도시와 유령 나라」라는 논문에서 제시한 것이다. 웨스트버지니아와 잠비아는 둘 다 외부적인 경제 요인(각각 석탄 및 구리 수요의 붕괴)이 국지적인 노동 수요의 붕괴를 초래하는 사태에 직면했다. 만일 이민이 불가능하고 그 지역의 노동 공급이 변하지 않으면, 노동 수요의 붕괴로 임금도 붕괴될 수밖에 없다. 대략 이와 같은 사태가 잠비아에서 일어났다. 그로 인해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1인당 소득이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노동 수요의 붕괴에 대응해 수많은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떠날 수 있다면, 결과는 달라진다. 사람들이 떠나면 고향의 노동 공급이 줄어든다. 웨스트버지니아에서 그랬다. 노동 수요가 줄어드는 속도만큼 국지적인 노동 공급이 줄어들면, 남아 있는 사람들의 임금이 붕괴될 이유는 없다. 실제로 웨스트버지니아는 인구가 대대적으로 유출되던 동안, 1인당 소득의 상승 속도가 줄곧 미국 평균의 상승 속도와 동일했다. 웨스트버지니아는 인구 유출 때문에 가난해진 것이 아니다. 웨스트버지니아는 인구 유출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가난했던 것이고, 인구 유출 덕분에 더 가난해지지 않은 것이다.
반대로 잠비아는 구리 산업의 붕괴와 같은 엄청난 충격을 입을 때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잠비아는 실제로 더 가난해졌다. 프리체트는 ‘유령 도시ghost town’ 현상과 그가 ‘유령 나라ghost countries’로 불러야 한다고 제안한 현상을 대비했다. 유령 도시는 탄광이 폐쇄돼서 사람들이 떠나가는 곳인 반면, 유령 나라는 그와 반대로 사람들이 떠날 ^수 없기^ 때문에 광산이 폐쇄돼서 대폭 가난해지는 나라를 말한다. 그런 나라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감옥인 셈이다.[주]11
9.8 무리드파
이민이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방식은 이민을 떠난 사람들이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국제적 무역 및 금융 네트워크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줄 때다. 서방 도시들에는 그 실례를 보여주는 집단이 하나 있다. 놀랍게도 그들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인데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이 얼마나 넓게 퍼져 있는지 확인해 보려면, 뉴욕이나 파리·마드리드·밀라노에서 아프리카풍의 길거리 소매점 아무 데나 들러 세네갈에서 왔느냐고 물어보라. 그렇다는 답을 들을 게 거의 확실하다. 그들이 무리드Mouride파이냐고 물어보라. 이 질문에도 그들은 그렇다고 답할 것이다.
무리드는 세네갈에 있는 이슬람교 종파의 하나로 국제적인 상인 네트워크로 진화했다. 그들은 그들끼리 물건을 구매할 자금이나 창업 자금을 융통해 주며, 세네갈에 있는 가족에게 국제 송금도 해 주고 서로 융자도 해 준다.[주]12
19세기 말 세네갈이 프랑스의 식민 통치하에 있던 1883년, 프랑스와 세네갈의 엘리트를 비판하는 회교도 아마두 밤바 음바케Ahmadou Bamba Mbacké(1853~1927)가 무리드파Mouride brotherhood를 설립했다. 밤바는 종교적 구원의 길로 열심히 일할 것과 금욕적 생활, 집단의 단결을 주창했다. 그는 사망하기 전에 무리드파를 위한 성스러운 도시 투바Touba를 건설했다. 그가 묻힌 곳도 여기다.[주]13 오늘날 투바는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 동쪽 자동차로 4시간 거리에 있는 두 번째로 큰 도시다.
무리드파 사람들이 억세고 부지런히 일하던 시기는 프랑스 식민 통치 때 땅콩 생산이 급증할 때와 일치한다. 그래서였는지 그들은 독립 이전부터 쭉 땅콩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1980년대 초 가뭄과 땅콩 가격 하락으로 인해 많은 무리드파 사람들이 다른 기회를 찾아 나섰다. 그들 중 특히 프랑스·미국·스페인·이탈리아 등지로 이민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았다.[주]14
무리드파 사람들은 이민을 가로막는 가시적이고 비가시적인 장벽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이민을 떠났다. 그들은 보통 이민 갈 사회의 언어나 사회 규정에 대한 아무런 지식도 없이 이국 땅에 도착했지만, ^다히라스dahiras^라는 모임을 통해 자립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받았다. 다히라스는 신규 이민자를 위해 주거 및 금융, 정서적 지원에 더하여 업무 훈련이나 조언을 제공해 주는 남자들의 (최근에는 여성도 참여하는) 집단이다.
무리드파 사람들의 경제활동 네트워크를 형성해 준 것은 이 상호 부조와 신뢰 네트워크였다. 이 네트워크의 본부는 여전히 세네갈에 있다. 다카르의 산다가Sandaga 시장에는 물결 모양의 철판 지붕을 덮은 가판대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데, 이곳이 무리드파 사람들의 월스트리트다. 무리드파 상인이 뉴욕에서 전자제품이나 화장품을 사고, 이탈리아에서 핸드백과 구두를, 파리에서 의류를 사기 위해 세네갈을 떠날 때면, 카라KARA 국제 환전소의 산다가 시장 지점에 현금을 예치한다. 카라는 웨스턴유니온Western Union(미국에 본사를 둔 국제적 금융·통신 회사)처럼 기능하지만, 순간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지고 비용도 훨씬 적게 든다. 무리드 상인은 뉴욕에 도착하자마자 산다가 카라 지점에서 맡긴 금액을 뉴욕의 브로드웨이에서 인출할 수 있다.[주]15
무리드 상인은 뉴욕에서 추가적인 신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뉴욕의 할렘 지역(흑인 거주 지역)에 가면 ‘리틀 세네갈’로 불리는 무리드 커뮤니티가 있는데, 세네갈 이민자들이 모여 사는 116번가와 말콤엑스 대로 주변이다. 무리드 상인은 이곳 이민자들 중 한 사람으로부터 돈을 빌리면 된다. 이러한 거래를 처리하는 데 계약서나 공증인 증명, 담보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무리드 상인이 뉴욕에 머무는 동안 세네갈에 있는 그의 가족이 식품이나 돈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면 상인은 산다가에 있는 무리드 상인에게 전화를 걸면 된다. 그러면 그의 가족은 당일 산다가의 자그마한 상점에서 현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무리드파 사람들은 아주 신속하면서도 비용도 거의 안 드는 금융 거래를 일종의 시스템으로 구축했다. 국제 원조 기관들이 세계 곳곳의 미소 금융microfinance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 없이 엇갈리는 결과만 보았다. 하지만 무리드파 사람들은 수십 년 동안 스스로 자부할 만한 미소 금융의 대단한 성과를 이룩했다. 그럼에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성과를 간과했다.
그들의 촘촘한 네트워크는 시장 정보의 교환에도 기여한다. 무리드파 상인은 그들의 네트워크에서 얻는 정보를 바탕으로 뉴욕시 차이나타운에서 플라스틱 황새 조형물을 사서 프랑스 동쪽 스트라스부르에 오는 독일 여행객들에게 판다. 그들이 공급하는 가격을 스트라스부르의 상인들이 따라잡지 못할 것임을 잘 알기 때문이다.[주]16
무리드 네트워크는 세네갈에 남은 사람들과 국외로 나간 사람들을 포함해 다수의 구성원들에게 번영을 가져다주었다. 세네갈 카올락Kaolack 출신의 폴Fall 다섯 형제는 ^다히라스^에서 성장해 의류 거래상으로 돈을 벌기 시작했다. 이민을 떠난 맏형 체이크 음바케 폴Cheikh Mbacke Fall은 1973년 뉴욕에 도착해 카메룬의 어느 사업가에게 팔려고 CD를 매입했다. 그 후 8년 동안 그는 한국인 사업 동반자와의 합작 사업으로 아프리카 시장에 판매할 가발을 개발했다.[주]17
체이크는 세네갈에 돌아와 혼자서 세네갈의 가발 시장을 일구었다. 그와 한국인 사업 동반자는 세네갈 최초의 가발 제품 공장을 가동했다. 체이크의 동생들은 맏형의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카올락을 떠났다. 그중 하나인 압두 라하트Abdouh Lahat는 뉴욕에서 미용 제품과 전자 제품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향수와 텔레비전을, 홍콩에서 라디오를 수입해서 맏형을 거들었다. 1990년대에 폴 형제들은 세네갈의 화장품과 신발 시장에 진입했다. 화장품은 영국과 미국에서 수입했고, 신발은 대만에서 수입했다.
폴 형제는 국제적인 무리드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무리드 안팎의 사업 참여자들과 동반자들의 거래 대금 결제를 무사히 처리했다. 카올락의 후미진 마을에서 시작한 폴 형제의 사업은 전 세계에 퍼져 있는 무리드파 사람들을 한 세대 내에 그들의 사업에 활용했다.
9.9 결론
개인의 권리냐 국가의 특권이냐 하는 문제에서 이민은 발전의 태도를 감별하는 탄광 속 카나리아와도 같다. 잠비아를 떠나 부유한 나라로 향하는 유능한 전문가를 적대시하는 것은 ‘잠비아’라는 땅 덩어리에 사는 집단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주지만, 그와 동시에 잠비아 사람들의 개인적 권리는 중시하지 않는 태도를 드러내 준다.
그뿐 아니라, 발전을 국가 영토 내에 갇힌 자족적인 것으로 여기는 편견은 무리드파 사람들처럼 내국인 이외의 다국적인 요인이나 집단이 경제 발전에서 발휘하는 역할을 볼 줄 모른다는 점도 보여준다. 다음 장에서는 국외적 요인을 배제한 국가적 요인이라는 것이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중요한 게 아니라는 증거를 좀 더 살펴본다.
4부_ 국가인가 개인인가 (전문가의 독재)
2012년 3월 7일 《뉴욕타임스》는 영국 스코틀랜드의 언론인 매트 맥콜리스터의 기사, 「미국이 세계의 의사들을 훔쳐 가고 있다」[주]1를 실었다. 이 기사는 가난한 나라의 의사들이 부유한 나라로 떠나는 것을 한탄했고, 특히 아프리카에서 미국으로 떠나는 경우를 강조했다. 기사는 자기 고국을 뒤로 하고 미국 뉴저지 뉴워크의 대학 병원으로 자리를 옮긴 쿤즈 데사이Kunj Desai라는 잠비아 출신 의사의 이야기를 상세히 다루었다. 데사이 박사는 미국에서 더 풍요로운 자리를 얻으려고 자기 나라를 떠난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맥콜리스터는 영국 의학 잡지 《랜시트Lancet》에 실린 한 소론을 긍정적으로 인용했는데, 아프리카의 의료 부문 노동자를 채용해 가는 것은 범죄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글이었다.[주]2 이 소론은 의사 ‘도둑질’을 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고 지칭했다.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의사를 훔쳐가는 사람들을 전범을 기소하는 국제기구인 국제 형사 재판소에 제소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했다.
이러한 글에 흐르는 정서를 보면 명목적으로는 완전히 진보적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프리카인들의 권리를 존중하는 입장이 아니다. 문제의 아프리카 의사들은 사람이다. 아프리카의 어떤 나라에서 사람을 ‘훔치는’ 것은 오로지 그 사람이 그 나라의 재산일 때에만 가능한 일이다. 그러한 범죄가 권리를 침해하다면, 그것은 권리가 그 나라 사람들의 것이 아니라 그 나라의 것이라는 이야기다.
부자 나라에 사는 개인과 가난한 나라에 사는 개인을 불공평하게 취급하는 이중 잣대가 존재한다. 그런 이중 잣대를 보면 가난한 나라 사람들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난다. 부자 나라의 유능한 전문가들은 별다른 허가 없이 다른 나라로 이민을 간다. 가령 언론인 매트 맥콜리스터가 스코틀랜드의 작은 신문사에서 퇴사해 《뉴욕타임스》로 전직하기로 결정했다고 해 보자. 그래도 반대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며, 그를 ‘훔쳐갔다’고 주장할 리도 없다. 그의 전직 결정이 자발적인 것이니 맥콜리스터 본인도 전직에 대해 만족할 것이다.
이 일화는 발전 논쟁에서 국가의 특권이냐 아니면 개인의 권리냐 하는 문제를 잘 드러내 주는 출발점이다. 지금까지 국가의 특권이 개인의 권리보다 우위를 차지했다. 발전이란 문제는 개인의 운명이 아니라 거의 나라의 운명만을 주목하는 듯하다. 쉽게 말해, 우리는 잠비아 사람들보다 잠비아를 더 중시하는 것 같다.
4부에서 우리는 나라냐 개인이냐 하는 윤리적이고 실용적인 문제의 논쟁을 두 각도에서 살펴본다. 먼저 9장에서는 나라 간의 이민 문제를 국가와 개인의 관점에서 고려한다. 이어서 10장에서는 발전을 주로 나라 차원에서 분석하는 통상적 접근에 어떠한 함축이 들어 있는지 살펴본다. 물론 국가는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일까? 커다란 시야의 발전 논의에서 국가를 분석의 단위로 삼는 것을 의문시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그로 인한 대가도 무시되고 있다.
이 4부에서 국가주의적 관념과 국가주의자들을 싸잡아 비판하지는 않는다. 국가주의nationalism도 부분적으로 자발적인 운동의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 정도 긍정적인 성과도 이루었다. 이곳에서 비판하는 것은 ‘국가주의적 강박증’이라고 부를 만한 과도한 국가주의다. 나라의 발전을 주관할 주된 담당자로 나서려는 정부의 입장에서 국가주의적 강박증은 아주 편리한 사고방식이다. 편리할 뿐 아니라 다수의 권위주의적 국가에 힘을 실어 주는 핵심 이데올로기 요소 중 하나가 그것이다. 또한 좀 더 섬세한 맥락에서 보면, 발전 전문가들이 상대할 만한 유일한 사람들이 해당 국가의 정부 대표자들이니 국가주의적 강박증은 발전 전문가들에게도 편리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만으로 국가주의적 강조점을 무조건 배격해서도 안 되겠지만, 정치적으로 편리하다는 이유만으로 국가 차원으로 분석을 제한하는 것도 용납해서는 안 될 것이다.
9장_ 집인가 감옥인가? 국가와 이민
잠비아 의사의 예에서 보듯, 발전 커뮤니티에서 이민을 다루는 태도를 보면 은연중에 개인의 권리보다 국가의 특권이 얼마나 강한지 잘 드러난다. 이 장에서 거론할 이민 문제는 앞서 3장에서 다룬 1920년대 중국에서의 발전 논의를 상기시키는 아이러니한 측면이 있다. 그 시절 테크노크라트적 관점의 초창기 발전관은 중국인에 대한 미국의 이민 제한을 비호했다.
9.1 국가주의의 도덕성
나라에 대한 사랑은 고귀한 것일 때가 많다. 20세기에 여기저기서 새로운 나라들이 생겨났다. 다국적 제국(예를 들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나 오스만 제국)이나 식민주의 제국을 통치하는 다른 나라 사람들의 지배에 맞서 단일한 국적이나 민족 혹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해방되고자 분투했던 결과다. 남의 땅을 지배하던 다민족 제국들이 해체됨에 따라 각 민족 집단이 자신의 나라를 가지게 되니 갈등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서로 다른 민족이 섞이지 않고 같은 민족 사람들끼리 일하게 되자 공공 서비스의 운영에서 협력하기(가령 공립학교에서 사용할 언어에 대한 합의)가 더 수월해졌다.
그러나 ‘나라 사랑’이라는 관념 자체도 선택을 전제한다. 개인들은 가족이나 지역 혹은 인종·종교·언어에 바탕을 두는 민족 집단 등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소속감이나 충성심 중에서 자신의 나라 사랑을 어디에 둘지를 결정한다. 그런데 그처럼 사람들이 선택하는 각각의 집단은 너무 많아서 각 집단마다 나라를 세우기는 불가능했다.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는 국가라는 단일한 단위로 정의된 충성심만 존재하기를 원했겠지만, 그와 다른 정체성을 선택하는 충성은 사라지지 않았다.
개인들에게 그러한 선택권을 주지 않을 때 국가주의는 권위주의로 변한다. 몇 가지 예에서도 잘 드러나는 사실이다. 20세기의 전쟁과 식민지 해방의 여파로 새로운 나라들이 출현했을 때, 나라의 정체성을 다수파 민족 집단으로 정의하는 국가주의적 지도자들이 출현했다. 신생국 정부가 소수 집단의 언어 사용을 금지하는 등 소수 민족 집단의 정체성을 의도적으로 억압하는가 하면(일례로 터키 지도자들의 쿠르드족 언어 금지), 다수파의 문화와 상충된 믿음을 가진 소수 집단을 박해하기도 했다(일례로 파키스탄은 국가 정체성을 수니파 이슬람교로 정함에 따라 소수파인 시아파 이슬람교도와 기독교도들의 권리를 억압했다). 또한 지역이나 종족의 분리주의 운동과 비슷해 보이기만 해도 모조리 혹독하게 탄압했다(일례로 에티오피아 군대는 소말리아에 인접한 남부 지방의 소말리아 소수 집단을 탄압했다).
권위주의적 국가주의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부추긴 탓에 부유한 나라들에서는 신뢰를 잃었다. 하지만 가난한 나라들의 발전에서 새로 활개 칠 터전을 얻었다. 가난한 나라들의 발전을 후원하는 부유한 나라들은 국가 차원의 발전 노력만을 강조했다(앞서 2부에서 보았듯, 이는 부유한 나라들의 외교 정책상의 필요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가난한 나라들의 국가 당국은 국가적 정체성을 여타 모든 정체성보다 우선시했다. 이 두 가지가 합세함에 따라 발전은 고의적이지는 않더라도 소수자 권리의 억압을 부채질했다. 국가의 집단적 복지를 다른 모든 것보다 중시한다는 미명하에 벌어진 일이다.
가난한 나라들의 권위주의적 국가주의는 수많은 전쟁 범죄와 권리 침해를 저질렀다. 그 과정에서 투트시Tutsi족, 보스니아 이슬람교도, 쿠르드족, 티베트인, 다르푸르Darfur족과 같은 소수 집단들은 국가주의 다수파에 희생되었다. 메릴랜드 대학의 ‘위태로운 소수 집단Minorities at Risk’ 프로젝트에서 1950년 이래 어느 시기에 ‘위태로운 상태’를 겪었던 소수 집단이 283개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거의 다 부유한 나라에 속하지 않는 집단들이다.[주]3
9.2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이민
지난 수 세기 동안 권위주의적 국가주의와 종족 박해에서 벗어나는 길은 이민이었다. 독재자에게 억압당하는 종족 구성원들이 억압이 덜한 다른 곳으로 떠나는 것이다. 그러한 예의 하나로 앞에서 뉴욕의 그린 스트리트 구역에 정착한 세이샤스 가족을 보았다. 18세기 포르투갈의 종교 재판은 권위주의적 국가주의의 초창기 형태였다. 그 국가주의란 포르투갈이라는 나라를 가톨릭 신앙과 동일시하는 것이었다. 세이샤스 집안을 포함한 포르투갈 유대인들은 포르투갈을 등지고 뉴욕으로 떠남으로써 그들 개인의 권리를 지킬 수 있었다. 즉, 이민은 혹독한 억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안전밸브나 탈출구 같은 것이었다.
그 후 1880년대에도 그린 스트리트는 이민자들의 안전밸브 역할을 했다. 러시아 차르 치하의 박해를 피해 유대인 노동자들이 이 동네로 대거 몰려들었다. 차르 제정은 러시아 사람을 동방 정교회를 믿는 사람으로 정의해 버렸다. 이 박해에서 벗어나려는 유대인들의 탈출을 보고, 1883년 엠마 라자루스Emma Lazarus가 쓴 시가 나중에 자유의 여신상에 새겨졌다. “... 모두 움츠인 채 자유를 숨 쉬고자 갈망하는 그대의 군중들을 내게로 보내라. ... 내가 황금빛 문 곁에서 불을 밝히리라!” 엠마 라자루스도 세이샤스 집안의 후손이었다. 제8장에서 보았듯 1840년대에 조카 벤저민 세이샤스와 같은 그린 스트리트 아래쪽에 살았던 세이샤스 네이선과 사라 세이샤스의 손녀가 그녀다.[주]4 이민의 역사에서 최대의 비극은 1930~40년대에 독일계 유대인들이 역사상 최악의 권위주의적 국가주의에서 탈출하려고 할 때 엠마 라자루스의 황금빛 문을 미국이 닫아버렸던 일이다.
1920년대 미국의 이민 제한 조치로 동양인 배제법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3장에서 보았듯 중국인들과 인종 갈등이 유발되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발전은 고의적이지는 않더라도 테크노크라트적인 견지에서 미국의 이민 제한을 두둔했다. 심지어 이민 제한의 이유가 감정을 배제한 발전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인종적 적대감일 때에도 발전은 이민을 제한하는 편에 섰다. 이민 제한은 이민 희망자들 고국의 독재자들에게도 이로운 일이었다. 자국민이 이민으로 탈출할 길이 막히니 독재자들이 자기 국민들을 착취하기 더 좋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민자들은 자기 고국의 국가적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기술과 노동을 남의 나라로 가지고 갔다. 그러니 고국에 남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이민을 우려할 만도 하다. 그러나 발전은 이민 희망자 본인들의 복지를 계산에 넣지 않았다. 그 나라 국민들 모두가 잠재적으로 이민 희망자일 수도 있을 터인데, 발전은 이민 희망자들이 자신과 가족을 위해 스스로 선택할 권리를 고려하지 않았다.
발전은 이민자들의 개인 권리에는 등을 돌렸지만, 고국에 남는 사람들의 복지를 염려하는 인도주의와도 합세할 수 있었다. 테크노크라트적 발전의 천재성은 가치관이 거의 정반대인 집단들을 만족시키는 능력을 계속 발휘한다는 점이다. 테크노크라트적 발전은 타민족을 적대시하는 부자 나라 사람들을 대할 때는 이민 제한을 정당화해 줄 뿐 아니라, 바로 그 타민족을 걱정하는 부자 나라의 인도주의자들을 대할 때는 그 타민족 국가의 발전을 선물로 내놓는다.
억압을 피해 자신을 받아주는 탈출구로 떠나가는 이민자들을 볼 때 가장 심금을 울리는 사례가 민족 집단이다. 이 경우의 억압은 민족에 대한 억압이다. 하지만 이민에 대한 논의를 민족 억압에만 국한할 이유는 없다. 정치·경제적 권리의 박탈로 고통 받는 개인들도 억압자를 피해 그들이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다른 곳으로 도망가고 싶을 것이다. 우리가 흔히 보듯, 압제적 정권에 반대하는 유명한 반체제 인사가 자유 국가로 정치적 망명을 하는 경우가 이러한 사례다. 하지만 탈출구를 왜 유명 인사들에게만 제한해야 하는가? 이민 문제에서도 발전은 자신의 권리를 누릴 곳을 찾아 가려는 개인들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다. 단지 일정한 땅 조각들에 국한된 경제적 성과만을 중시하는 것이다.
이민자들은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이동한다. 즉 잠재적 소득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이 같은 경제적 이유의 이민을 더 많은 권리를 누리기 위한 이민과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권리의 박탈과 경제적 잠재력의 부재는 서로 공생적 관계이고 서로가 서로를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적 이유만으로 이민 가는 사람을 분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이민 동기를 특별히 안 좋게 봐야할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이민 문제에 대한 부자 나라 사람들의 이중 잣대를 보면 가난한 사람들의 권리를 얼마나 존중하지 않는지 잘 드러난다. 부유한 서방 국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이유로 늘 이동을 한다. 같은 나라의 이 지역에서 저 지역으로 가기도 하고, 이 산업에서 저 산업으로 가기도 한다. 우리는 장소를 이동하여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할 권리가 우리들 누구에게나 있다는 원칙을 소중히 여긴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그들의 잠재력을 실현하고자 국경을 넘어 이민 오는 가난한 나라 사람들에게 특별한 적대감을 갖는 것일까?
이러한 이야기의 논점은 세계 모든 지역이 이민을 완전히 개방하라는 요구가 아니다. 나라마다 이민 정책은 수많은 복잡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고, 이 책에서 다 다룰 수도 없는 문제다. 여기서 논점은 발전이 영토라는 땅 조각의 경제적 잠재력 극대화만을 중시해 왔으며, 그러한 개념에 갇힌 발전이 개인의 권리에 적대적이었다는 점이다. 발전은 개인들의 이민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적대적이었다. 이러한 적대감은 이민이라는 것이 세계적 발전과 개인적 발전 모두의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지 못하도록 우리의 눈을 가린다.
9.3 빈곤을 줄이는 이민
만일 가난한 어떤 나라의 빈곤 탈출 사례를 모두 통틀어 보니, 그중 82%가 단 하나의 빈곤 퇴치 사업 덕분이었다면 어떤 생각이 들겠는가? 발전 커뮤니티의 반응은 아마도 이랬을 것이다. ‘아주 고약한 상황이었나 보다.’
그 나라는 아이티였고, 그 빈곤 퇴치 사업이란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는 것이었다. 마이클 클레멘스와 랜트 프리체트가 그 계산을 해보았다(이 장의 많은 부분이 이들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두 사람은 하루 소득이 10달러가 넘는 아이티 사람들을 주목했다. 하루 10달러면 통상적으로 국제적 빈곤선으로 취급되는 하루 1~2달러보다 안전하게 높은 수준이다(물론 미국의 빈곤선과 비교하면 3분 1 수준에 불과하다). 두 연구자는 아이티에 남아 있는 사람들뿐 아니라 떠난 사람들도 모두 통계에 포함시켰다. 그러고 계산해 보았더니, 빈곤선을 넘어선 아이티 사람들 중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은 82%에 달했고, 아이티에 거주하는 사람은 18%에 불과했다.[주]5
물론 계속 아이티에서 살 사람들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은 백번 지당하다. 하지만 발전은 아이티를 떠나려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쓰지 않는 반대편의 극단을 달리는 듯하다. 발전의 사고방식은 사람들이 고국에 머물고 있을 때에만 빈곤 퇴치가 중요하다는 것처럼 보인다. 즉 ‘아이티’라는 이름의 땅에서 이룩한 성취만이 중요하며, 아이티의 개인들이 이룩한 성취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관은 미국의 반(反)이민 정서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지만, 반이민 정서를 가진 사람들로서는 분명히 환영할 만한 선물이다.
국가주의적 강박증도 이민이 ^세계적^ 발전에 가져올 긍정적 효과를 우리의 시선에서 가린다. 아이티 사람 하나가 적게 버는 곳에서 훨씬 많이 버는 곳으로 이동하면 그 사람으로 말미암아 세계 GDP는 그만큼 늘어난다. 국가 차원의 발전만 중시하고 세계 차원의 발전은 중시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는가?
9.4 열리지 못하는 유엔 정상회의
세계적 문제를 놓고 유엔 정상회의를 여는 게 그다지 힘든 일은 아니다. 전형적인 유엔 정상회의는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즉, 무엇을 문제라고 공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행동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동안 여성이며 인구며 환경에다 어린이와 노령화에 관한 유엔 정상회의가 열렸다. 또 빈곤 축소를 위한 새천년 발전 목표에 관한 정상회의도 열렸고, 그 밖에 유엔의 이러한 행동 유형에 적합한 많은 주제에 관해서도 정상회의가 열렸다.[주]6
정상회의 현안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적 공동 행동을 추진하자는 것은 어느 한 나라 정부가 나선다고 될 일이 아님을 뜻할 것이다. 그런데 유엔 정상회의가 제시한 해결책이 별 성과가 없게 되면 대개 딱 하나의 해결책만 있을 뿐이다. 다시 또 유엔 정상회의를 여는 것이다. 나는 유엔 정상회의를 말만 많지 행동이 없다고 여러 차례 조롱했음을 시인한다.
어떤 국제적 현안이 유엔 정상회의에 오르기 위한 관문은 극히 낮지만, 이민이라는 주제는 좀처럼 이 관문을 통과하지 못한다. 그만큼 이민이라는 문제가 정치적으로 민감하다는 징후다. 정상회의를 열자는 빈번한 제안에도 불구하고 유엔의 ‘이민에 관한 정상회의’는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일찍이 1993년에 유엔 총회에서 이민 정상회의를 열자는 제안이 결의되었다. 그 후로 위에서 언급한 다른 주제에 대한 정상회의는 대부분 잘 열리기만 했다. 하지만 이민이라는 주제는 정치적으로 너무 어려웠다. 미국처럼 부유한 나라들에서는 이민이 불편한 토의를 유발할 위험이 있는 듯하다. 미국시민자유연합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은 그 불편한 사안을 미국의 몇 가지 법률이라고 지적하는데, 그 내용인즉 “이민자들에게 법원에 호소할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무제한적이고 의무적인 구금을 강요하며, 국적을 이유로 차별하는 법률”이다.[주]7 우리가 제3장에서 다룬 초창기 권위주의적 발전에서 살펴보았듯, 지금으로부터 90년 전 동양인 배제법에 대한 거론을 회피하려고 했던 일과 비슷한 점을 엿볼 수 있다.
13년에 걸친 노력과 협상 끝에 2006년에야 이민에 관한 ‘고위급 회의high-level dialogue’를 열기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유엔 정상회의는 이미 거의 전적으로 공허한 것이지만, 고위급 대화는 그보다 더 공허한 장치다. 이처럼 이중으로 공허한 결과밖에 나오지 않았다는 것은 이민 문제에 대한 국제적 이목을 조금도 끌지 않으려는 모조의 작업 때문일 것이다. 그러한 작업은 성공했다. 내가 개인적으로 증언할 수 있는 내용이다. 직업적으로 유엔의 발전 노력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또 이민에 대한 관심이 큰 나임에도 불구하고, 2006년 이민에 관한 고위급 대화가 열렸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이 회의가 왜 열리지 않는지 알아보려고 하니 이민 문제 전문가인 마이클 클레멘스에게 물어보아야 했다.
말하면 안 되는 주제를 차단하는 일이 2006년 모종의 타협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타협은 이민자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부유한 나라들─즉 미국, 호주, 캐나다, 유럽연합─의 이해를 반영하는 것이다. 아마도 이 나라들은 자기 영토에 들어오는 이민 후보자들을 자기들이 얼마나 처참하게 대우는지, 혹은 자기들이 타지역에서 끔찍하게 학대당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식으로 피난처를 거부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끌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이민자를 받아줄 나라들은 그들 자신의 이민 정책을 결정할 합당한 사유가 있다. 하지만 그들이 이민과 발전에 관한 국제적 토론을 검열할 권리는 없다.
전문가의 독재
- 지은이: 윌리엄 이스털리
- 제목: 전문가의 독재: 경제학자, 독재자 그리고 빈자들의 잊힌 권리
- 원제: The Tyranny of Experts: Economists, Dictators, and the Forgotten Rights of the Poor
- 한국어판 출판일/출판사: 2016년 12월/ 열린책들
- 원저 출판일/출판사: 2014년 / Basic Books
※ 주요 차례:
1부_ 일어나지 못한 논쟁
- 1장_ 서문
- 2장_ 두 사람의 노벨상 수상자, 그들은 한 번도 논쟁하지 않았다
- 3장_ 옛날 옛적 중국에서는
- 4장_ 인종과 전쟁 그리고 아프리카의 운명
- 5장_ 보고타의 어느 날
- 6장_ 가치: 개인의 권리를 위한 기나긴 투쟁
- 7장_ 제도: 할 수만 있다면 억압하고야 만다
- 8장_ 다수의 꿈
- 9장_ 집인가 감옥인가? 국가와 이민
국가주의의 도덕성 |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이민 | 빈곤을 줄이는 이민 | 열리지 못하는 유엔 정상회의 | 본국 송금 | 두뇌 유출 | 웨스트버지니아의 사라진 공화국 | 유령 나라 | 무리드파 | 결론
- 10장_ 국가는 얼마나 중요한가?
- 11장_ 시장: 문제 해결자들의 연합
- 12장_ 기술: 방법을 모른 채 성공하는 방법
- 13장_ 지도자들: 우리는 어떻게 인자한 독재자들에게 현혹되는가
- 14장_ 결론
발췌읽기: 스타일레슨// 2장 ‘달리는 동사’
출처: 《스타일 레슨: 명확하고 아름다운 영어 글쓰기》 조셉 윌리엄스/조셉 비접 지음 | 라성일/윤영삼 옮김 | 크레센도 펴냄 2018.
※ 발췌:
2.1_ 문장에 대한 느낌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 ... ... )
1a. The cause of our schools' failure at teaching basic skills is not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background on learning.
1b. Our schools have failed to teach basic skills because they do not understand how cultural background influences the way a child learns.
대부분 1a는 어렵고 복잡한 반면, 1b는 훨씬 명확하며 간결하다고 말할 것이다. ( ... ... ) 문제는 문장 ‘속’ 어떤 요소가 그런 느낌을 선사하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자신에게는 술술 읽히지만, 독자에게는 쉽게 읽히지 않는 부분이 어디인지 [... 알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스토리의 기본적인 구성 원리를 알아야 한다.
2.2_ 스토리텔링: 누가 무엇을 하는가?
( ... ... )
2a. Once upon a time, as a walk through the woods was taking place on the part of the Little Red Riding Hood, the Wolf's jump out from behind a tree occurrred, causing her fright.
이렇게 글을 쓰는 사람은 없다. ( ... ... )
2b. Once upon a time, Little Red Riding Hood was walking through the woods, when the Wolf jumped out from behind a tree and frightened her.
우리가 2a보다 2b를 더 명확한 문장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 주요 행위자가 동사의 주어 자리에 온다.
- 동사는 구체적 행위를 표현한다.
2.2.1_ 명확성 원칙 1: 주요 행위자를 주어로 표현한다.
─. 2a의 주어, ...
Once upon a time, as a walk through the woods was taking place on the part of Little Red Riding Hood, the Wolf's jump out from behind a tree occurred, causing her fright.
- 주어: a walk, jump →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를 묘사하는 추상적 의미의 명사.
- 동사:was taking place, occurred → 구체적 행위가 아니라 빈 동사(empty verb)에 근접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는 동사.
- 행위자: Little Red Riding Hood, Wolf, her
2b. Once upon a time, Little Red Riding Hood was walking through the woods, when the Wolf jumped out from behind a tree and frightened her.( ... ... )
2.2.2_ 명확성 원칙 2: 주요 행위를 동사로 표현한다.
─. 2a에서 행위와 동사가 [다르다.] 실제 행위가 추상명사(a walk, jump) 속에 들어 있으며, 동사(was taking place, occurred)의 의미가 매우 포괄적이다. 반면에, 2b에서 동사는 구체적 행위를 표시한다.
2b. Once upon a time, Little Red Riding Hood was walking through the woods, when the Wolf jumped out from behind a tree and frightened her.
2.3_ 스토리텔링과 전문가의 글쓰기
논문, 보고서, 매뉴얼, 칼럼 등 대학이나 기업에서 요구하는 글과 스토리텔링은 차원이 다른 글쓰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어떤 글에서든 문장은 대개 ‘누가 무엇을 한다’는 것을 진술하기 때문이다. ( ... ... )
3a.The Federalists' argument in regard to the destabilization of government by popular democracy was based on their belief in the tendency of factions to further their self-interest at the expense of the common good.
- 3a에서 첫째, 행위자가 주어로 등장하지 않는다. 핵심 주어는 argument인 반면에 실제 행위자는 Federalists, popular democracy, government, factions이다.
- 둘째, 실제 행위는 동사로 표현되지 않고 추상명사로 표현된다. (argument, destabilization, belief, tendency)
- 셋째, 길고 복잡한 전체 주어(The Federalists' argument in regard to the destabilization of government by popular democracy)에 비해 주요 동사 was based는 의미 측면에서 매우 빈약하다.
3b.The Federalists argued that popular democracy destabilized government, because they believed that factions tended to further their self-interest at the expense of the common good.( ... ... )
2.4_ 주요 행위를 동사로 표현하라
아래 4a는 행위가 모두 명사로 표혀되어 있는 반면, 4b는 행위가 거의 동사로 표현되어 있다. 의미가 추상적인 명사를 많이 사용하는 글은 의미가 응축되어 있다는 느낌을 준다. ( ... ... ) 한국어의 경우, 추상적인 명사가 과도하게 늘어서 일을 때 ‘의’, ‘─에 대한/관한’처럼 명사와 명사를 연결해주는 기능어(조사)[다른 표현??]가 많이 나온다. 이러한 [연결 어구가] 많을수록 글은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4a. Our lack of data prevented evaluation of UN actions in targeting funds to areas most in need of assistance.
4b. Because we lacked data, we could not evaluate whether the UN had targeted funds to areas that most needed assistance.
동사나 형용사를 명사로 바꾸는 것을 ‘명사화(nominalization)’라고 한다.
( ... ... )
- 행위를 동사로 표현한 예:
We request that you review the data.
- 행위를 명사로 표현한 예:
Our request is that you conduct a review of the data.
가끔은 형용사 속에 행위가 숨어 있는 경우도 있다.
It is applicable → It applies
It is indicative → It indicates
I am dubious → I doubt
I do not wish to be argumentative → I do not wish to argue
He is deserving → He deserves
※ Practice─직접 고쳐보자
─ 1. 진단: “문장 앞머리에 등장하는 짧은(4~5 낱말) 도입부는 제외하고, 문장 첫머리에 등장하는 7~8 낱말에 밑줄을 친다.”
→ ‘앞머리’란 말과 ‘첫머리’란 말이 비슷한 말로 다가와서 혼선을 초래한다. 책의 2판이나 2쇄에서 아예 다른 어휘들로 바꾸어 표현됨이 좋을 듯하다.
→ 내가 읽기로는 “문장 처음의 기능적인 연결 어구는 제외하고, 문장의 뼈대가 시작되는 첫머리의 7~8 낱말에 밑줄을 친다”로 이해해야 할 듯하다.
The outsourcing of high-tech work to Asia by corporations means the loss of jobs for many American workers.
- 핵심주어가 추상적인 명사
- ( ... ... )
─ 2. 분석 → 3. 수정:
(첫째) 행위자를 찾아내서 주어로 배치, (둘째) 명사화된 행위를 찾아내서 동사로 바꿔라
- 행위자 1: corporations → Corporations outsource high-tech work...
- 행위자 2: many American workers → Many American workers lose jobs
Many middle-class workers lose their jobs, because corporations outsource [their] high-tech work to Asia.(cf) 책에서는 동사를 현재진행형으로 제시해 놓았다.
Many middle-class workers are losing their jobs, because corporations are outsourcing their high-tech work to Asia.
2.5_ 일반적인 명사화 패턴
동사를 명사로 표현하는 5가지 주된 패턴. ( ... ... )
(1) 명사화된 낱말이 주어로 쓰이고 빈 동사가 나온다
행위를 명사에 담아 버리면 동사에 표시할 행위가 남지 않기 때문에 빈 동사(empty verb)─be, seem, have 등─를 써야만 한다.
The intention of the committee is to audit the records. →
The committee intends to audit the records.
(2) 빈 동사 다음에 명사화된 낱말이 나온다
The agency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matter. →
The agency investigated the matter.
(3) 명사화된 낱말이 주어로 쓰이고 빈 동사가 나온 다음, 또 다른 명사화된 낱말이 나온다
Our loss in sales was a result of their expansion of outlets.
- (첫째) 명사화된 행위를 동사를 바꾼다. loss → lose, expansion → expand
- (둘째) 동사로 바꾼 행위의 행위자를 찾아서, (셋째) 그 행위자를 주어로 배치한다. We lose..., they expand
- (넷째) 행위자들의 행동을 두 절의 논리적 관계로 연결한다. 인과(because, since, when...), 조건(if, provided that, so long as...), 양보(though, although, unless...)
→ We lost sales because they expanded their outlets
(4) there is, there are 다음에 명사화된 낱말이 나온다
There is no need for our further study of this problem.
- ( ... ... )
→ We need not study this problem further.
(5) 명사화된 낱말 두세 개가 전치사로 연결된다
We did a review of the evolution of the brain.
- (첫째) 첫 번째 명사화된 낱말을 동사로 바꾼다. review → review
- (둘째) 두 번째 명사화된 낱말은 그대로 두거나, 동사로 바꾸어 how나 why로 시작하는 절 속의 동사로 바꾼다
→ We reviewed the evolution of the brain.
→ We reviewed how the brain evolved.
2.6_ 명사화된 구문을 풀면 무엇이 좋아지는가?
( ... ... )
2018년 6월 7일 목요일
용어:// (un)constrained optimization
※ 발췌:
출처 1: 미스터 알고리즘 (페드로 도밍고스, 비즈니스북스 2016)
조건부 최적화(constrained optimization)는 일정한 제약 조건 아래에서 함수를 최대화하거나 최소화하는 문제다. ( ... ... ) 예를 들어 공장에서 가동하는 기계 장치의 수와 제품 규격, 그 외 다른 제약 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수를 최대화하고자 한다. ( ... ) 조건이 없는 최적화는 산의 정상에 도달하는 것이고 기울기 하강(이 경우는 기울기 상승)이 수행하는 일이다.
조건부 최적화는 도로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높이 올라가는 것이다. 도로가 정상까지 곧장 연결된다면 조건부와 무조건부 최적화(unconstrained optimization) 문제들의 해답은 같다. 하지만 더 많은 경우 도로는 지그재그로 산을 올라가다가 정상에 도달하지 않고 다시 내려온다. 더 이상 도로를 벗어나지 않고서는 더 높이 ( ... ... )
출처 2: 정보통신 기술용어 해설 (2018.03.31.)
비구속 최적화(unconstrained optimization), 구속 최적화(constrained optimizaion), 목적함수 및 구속조건(식), ....
출처 3: 알고리즘, 인생을 계산하다 (브라이언 크리스천, 청림출판 2018)
이는 수학자들과 컴퓨터과학자들에게 '제한적 최적화(constrained optimization)' 문제라고 알려진 한 사례다. 특정한 규칙들과 점수 측정법 하에서 한 변수 집합의 단일한 최적 배열을 찾아내는 방법을 가리킨다. ( ... ... ) 하지만 비서 문제처럼, 이 문제도 20세기 중반에 출현했기에 그 시대를 떠올리게 하는 전형적인 이름이 붙어 있다. '순회 외판원(traveling salesman problem)'다.
기타 생략...
2018년 6월 6일 수요일
트랜스미러: writing style// unclear turns of synonyms or change of terms
Almost every author employs various synonyms not to repeat the same word. But, what if those synonyms to carry the same meaning are used for a relatively specific concept or notion? In that case, can those different words successfully convey the same meaning to readers?
This too is an exercise in assessing, understanding, or finding some point in writings. Below is an example:
(1)
[J]ust as the existence of a price system doesn't guarantee a good outcome ( ... ), the absence of prices doesn't necessarily guarantee an inefficient one. There are lots of “market-like” ways of getting people ( ... ) to express their preferences and to use these wants and desires as inputs into deciding who gets what. Market prices are just one of them ( ... ). But how do these preferences get translated into allocations, if not through the wisdom of central planners, or the magic of the market?
(2)
The field of market design is, in a sense, the blue-sky-thinking branch of economics. ( ... ) It gets economists away from thinking inside the box, and a very small one at that. Think about it like this. Suppose you want to help people commute safely and efficiently across the East River, from Brooklyn to Manhattan. Traditional economics is the equivalent of assuming that the only two ways of doing so are bridges or ferry. Mechanism design imagines the broad set of possibilities─zip line, catapult, people mover─then figures out which will work best.
(3)
It's what, in technical terms, is called constrained optimization ( ... ). Mechanism designers consider the restrictions imposed by laws, human nature, our sense of right and wrong, and the strategizing that kidney patients, school applicants, and others may engage in to get a better organ or education. And they design a mechanism to best to fulfill society's needs and wants within those constraints.
(4)
It's economics as engineering or plumbing rather than economics as physics.
(Inner Lives of Markets, p. 133)
In paragraph (2), a new term, ‘market design’, surfaces; this seems to suggest that it'll take baton from “‘market-like’ ways”. In consecutive sentences, the pronoun, ‘it’ carry the term ‘market design’ forward. But, then, suddenly appears another new term ‘mechanism design’. From then on, in (3) and (4), this one displaces the former ‘market design’.
So, does ‘mechanism design’ mean ‘market design’? Does ‘mechanism designer’ mean ‘market designer’? And, does ‘design[ing] a mechanism’ mean ‘design[ing] a market’? This flow of synonyms seems quite awkward. Isn't some more explanation necessary to relate those two terms, market and mechanism?
2018년 6월 5일 화요일
Dic:// blue-sky
─ 1. a) Not limited by conventional notions of what is practical or feasible; imaginative or visionary.
- "Proponents of blue-sky thinking often cite the Wright brothers as validation." (David Colman)
- "[The author] shows what is testable physics, what is philosophy's domain, and what is blue-sky nonsense." (Ann Finkbeiner)
─ 3. intr.v. To hold or express unrealistic or impractical views, esp in estimating something.
─. n (modifier) of or denoting theoretical research without regard to any future application of its result: a blue-sky project.
─. v. To theorize (about something that may not lead to any practical application)
2018년 6월 4일 월요일
발췌: James Ricards// A Road to Ruin
※ 발췌 (excerpts):
─. 어느 독자의 간략한 메모:
- Emphasis on complexity theory instead of neoclassical equilibrium pseudo-science.
- Derivatives risks stem from the gross notional value, not net.
- The next crisis will be orders of magnitude worse than the GFC.
─. Notional value versus market value (Investopedia)
─. 은행이 멈추는 날 A Road to Ruin (제임스 리카즈 지음. 더난출판 펴냄. 2017. 7. 6.)
( ... ... ) 복잡성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는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소수에 불과하며, 그들 역시 최근에야 이 이론을 위험관리에 응용하기 시작했다. LTCM과 뒤에서 소개할 리먼브라더스 붕괴 사태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는 창발성은 갈수록 많은 이의 관심을 끌고 있는 특징이지만 규제기관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미지의 개념이다. 그들은 계속에서 불의의 습격을 당할 수밖에 없다. 최첨단 지식으로 무장한 실무자들조차 아직까지 규모의 중요성을 잘 알지 못한다.
복잡계에서 규모는 크기와 같은 뜻이며, 구체적으로 위험을 창출하는 지표를 말한다. 1998년 LTCM의 붕괴와 2008년 AIG의 부실뿐 아니라 바로 앞에 소개한 예시들은 파생금융상품의 위험이 월가와 규제기관의 추측과는 달리 순가치가 아닌 총명목가치(gross notional value)에 내재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총명목가치는 규모를 가늠하는 단순한 척도 중 하나다. 총명목가치가 증가하면 위험이 비선형적 형태로 증가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쉽게 말해 파생금융상품의 총명목가치가 두 배 증가하면 위험이 두 배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복잡계의 특성에 따라 10배나 100배까지도 증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자본시장의 복잡성에 관한 최신 연구에 따르면 자본시장이라는 복잡계에는 잠정적인 법칙이 존재한다. 파생금융상품의 위험은 총명목가치로 측정되는 규모의 증가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Scale in complex systems is synonymous with size, and refers specifically to those metrics that generate risk. The cases of LTCM in 1998, and AIG in 2008, as well as the preceding example, show that risk is embedded in derivatives' gross notional value, not net value as assumed by Wall Street and regulators. Gross notional value is a simple scaling metric (there are others). There is scant recognition that as gross notional value increases, risk goes up in a nonlinear fashion. ... ...
이 법칙을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무실 책상을 예시로 들어보겠다.[주]5 빈 서랍이 두 개 달려 있고 위에 파일 한 개가 놓인 책상이 있다. 서랍에는 A와 B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비서가 퇴근할 때마다 위에 놓인 파일을 두 서랍 중 하나에 넣는다고 가정해보자. 하루는 A 서랍에, 다음 날에는 B 서랍에 넣기도 할 것이다. 이처럼 비서가 파일을 서랍 두 개 중 하나에 넣는 일을 매일 반복하면 A와 B로 이루어진 시계열이 생성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틀이라는 기간 동안 사용되는 서랍의 시계열로는 어떤 조합이 가능할까? 이 경우, AA AB, BB, BA라는 네 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이제 서랍의 숫자를 세 개로 늘리고 A, B, C라는 라벨을 붙여보자. 비서가 이틀에 걸쳐 사용하는 서랍의 시계열로는 어떤 조합이 가능할까? AA, AB, AC, BA, BB, BC, CA, CB, CC라는 총 아홉 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이 예시에서 서랍의 숫자는 (두 개에서 세 개로) 50퍼센트 늘어났으나 가능한 조합의 숫자는 (네 가지에서 아홉 가지로) 125퍼센트 늘어났다. 가능한 결과의 숫자가 전체 규모에 대해 비선형적인 방식으로 증가한 것이다. 서랍의 숫자와 조합의 숫자 간에는 기하급수적 관계가 성립된다.
예시의 결과를 시장 위험에 적용해보자. 예를 들어 서랍의 숫자를 스와프 계약의 숫자로, 사용되는 서랍의 조합을 은행 부실 등으로 바꿔 생각해보자. ( ... ... )
─. 다시 한 번 CDS에 대하여 (하상주 투자칼럼, 2008. 2. 19.)
발췌:// Safe but Fragile: Information Acquisition, Sponsor Support and Shadow Bank Runs
- 지은이: Philipp J. K oenig and David Pothier
- 출처: Bundesbank Discussion Paper No. 15, 2018.
※ 발췌 (excerpt):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theory of shadow bank runs in the presence of sponsor liquidity support. We show that liquidity lines designed to insulate shadow banks from market and funding liquidity risk can be destabilizing, as they provide them with incentives to acquire private information about their assets' type. This can lead to inefficient market liquidity dry-ups caused by self-fulfilling fears of adverse selection. By lowering asset prices, information acquisition also reduces shadow banks' equity value and may spur inefficient investor runs. We compare different policies that can be used to boost mrket and funding liquidity. While debt purchases prevent inefficient dry-ups, liquidity injections may backfire by exacerbating adverse selection frictions.
Keywords: information Acquisition, Adverse Selection, Bank Runs, Global Games
( ... ... )
Our model allow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fferent policy measures aimed at minimizing the risk of market and funding liquidity dry-ups. We focus attention on three specific policies:
- (i) liquidity injection that reduce the cost of private liquidity lines,
- (ii) asset purchase programs that place a floor on the price at which assets trade, and
- (iii) outright purchases of debt securities.
The focus on these three measures is motivated by the policies that central banks and policy makers implement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2007-2009 in order to shore up asset and funding markets. For example, [:]
- beginning in August 2007, the US Federal Reserve (Fed) adopted a number of policy measures to shore up wholesale funding markets including the ABCP market. At first, "conventional" liquidity injections were implemented via a lowering of central bank discount rates and short-term repurchase transactions.[주]20
- These liquidity injections, however, failed to stop the precipitous fall in outstanding ABCP. They also did not prevent the run on money market funds that followed in the wake of Lehman Brother's bankruptcy.
- Subsequently, in the fall of 2008, the US Treasury Department announced that it would temporarily guarantee all assets held by money market funds. While this succeeded in stopping the run on money market funds, it failed to prop up the further collapsing ABCP market.
- This led the Fed to provide large amounts of non-recourse loans to commercial banks in order for them to purchase ABCP from money market funds. A few weeks later, the Fed also began purchasing commercial paper directly from issuers.[주]21 These policy measures specifically targeting the ABCP market were also accompanied by outright purchase of asset-backed securities.[주]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