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 31일 토요일

[자료] 집세조사 방법론: 추정법 중심으로 고찰


※ 발췌: 

본연구의 목적은 집세지수의 현실반영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2. 주거비의 개념

집세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대분류에 주거비를{로} 포함되어 있다. 주거비란 주택을 점유하고 있는 자가 주택이 주는 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하는 주거관련 비용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홍형옥․유병선. 2003)는 엥겔과 슈바베에 의한 전통적 주거비가 생존의 수단으로서의 주택에 필요한 비용으로 임대료와 광열비만을 의미하였다. (윤정숙․이경희․홍형옥. 1997)은 주거생활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용으로는 지대, 임대료, 설비비, 가구집기비, 수선비, 상하수도료, 오물수거비 등을 제시하고, 이외에 전기․가스․석유․연탄등의 연료를 위한 광열비와 통근이나 통학․외출 등을 위한 교통비, 가옥세, 토지세등도 주거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거주에 필요한 비용(dwelling expenses) - 모기지이자, 재산세, 자가소유자의 보험 및 기타 자가소유에 드는 비용에 추가적으로 광열․수도비, 가구 및 집기비용, 그리고 가구운영비용(household operation expenses)을 포함하여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Dong-Hoon Oh. 1995).

우리나라의 가계조사에 따르면 주거비는 ‘주택 및 토지에 관련된 소비지출’로 정의되고 있으며 여기에서 재산증식을 위한 주택 및 토지등의 구입비용은 제외하였다. 통계청 분류에 따른 주거비에는[:] 
  • 월세(실제로 지불한 주택 또는 주거용 토지의 임대료 및 권리금), 주택설비 및 수선비(수선재료비, 설비수리서비스비용) 및 기타주거비(공동주택관리비, 화재보험료, 승강기유지비)가 포함되어 있다. 
  • 이외에 주거생활과 관련된 비용이라 할 수 있는 전기․가스․난방비 등이 광열비, 상하수도료, 가구집기․가사용품비, 주택관련세금, 전세평가액, 보증부월세평가액, 자가평가액은 별도로 계상되고 있다(통계청. 2002). 
  • 이때 자가가구의 주거비용은 귀속임대료(imputed rents) 방식으로 물가지수에 포함한 지수인 자가주거비용포함 총지수를 별도로 작성하고 있으며, 임차형태가 월세인 경우에는 매월 지불하는 월세액을, 전세의 경우에는 전세보증금의 기회비용을 지수로 산출한다.


3. 현행 주거비 체계

소비자물가지수 분류에서 현행 주거비는 대분류 기준으로 볼 때 10개 항목 중 하나이며, 소분류로 볼 때 516개 소비 품목 중 15개 품목에 해당한다. 주거비가 전체 소비지출에 차지하는 가중치는 현재 156.4이다. 그 중에서 전세 가중치는 93.5, 월세 가중치는 37.9이다.


<표 2> 2000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편재 내 주거비 비중

구분 ---- 품목수(516)---- 가중치(1000.0)
----------------------------------------------
총지수

식료품 ------------- 180 --- 271.2
주거비 -------------- 15 --- 156.4
광열 ․ 수도 ----------- 8 ---- 58.0
가구집기 ․ 가사용품 -- 57 ---- 37.1
피복 및 신발 -------- 43 ---- 56.5 
보건의료 ----------- 42 ---- 43.9
교육 --------------- 33 --- 114.6
교양오락 ----------- 58 ---- 53.6
교통 ․ 통신 --------- 44 --- 159.3
기타잡비 ------------36 --- 49.4
----------------------------------------------
자료 : 통계청(2005a), 물가연보

주거비 내에 세부 항목은 < 표3 >과 같이 집세, 주택설비수리비, 기타 주거의 세가지 항목으로 세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중치는 1000포인트 내에서 131.4%, 16.4%, 8.6%를 차지하고 있다. 주거비 내에 전․월세에 해당되는 집세의 가중치는 물가지수를 구성하는 단일 소비 품목 중 가장 높다. 이러한 원인 때문에 여러국가에서는 ‘집세’를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하는 문제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5)

2011년 12월 30일 금요일

[자료] near-market vs. non-market (goods or activities)

지은이: William D. Nordhaus, February 6, 2004

※ 발췌: 

(...) 
Adjustments, additions, and subtractions tha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non-market activities The next issue concerns the appropriate treatment of non-market activiti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unts already include a substantial value of such activities, including owner-occupied housing and food consumed on farms. A natural principle for treating non-market activity is the following: 
Basic principle for measuring non-market activity. Non-market goods and services should be treated as if they were produced and consumed as market activities. Under this convention, the prices of non-market goods and services should be imputed on the basis of the comparable market goods and services. 
For example, if households gather 10 pints of berries in the national forests, then the price attributed to that activity should be the price of berries of equivalent quality in that location. There may be formidable practical issues in implementing this fundamental principle, but the underlying logic is clear.

Near-market goods and services 

One important distinction in this regard is whether or not goods and services are “near-market.” A near-market good or service is one that has a direct counterpart in the market (firewood, berries, owner-occupied housing, and homegrown tomatoes). Near-market goods and services obey the “third party rule,” which states that a third party could produce the good or service just as well as the party that consumes the item

Personal goods and services 

The complementary case has no name but might be called personal goods and services, indicating that these items can only be produced by the consumer. Personal goods and services do not obey the “third party rule.” Their prices cannot be observed because no transactions occur in markets, although behavioral traces of the valuation of personal goods can be found in household decisions. The clearest example of a personal commodity is leisure time; no one can produce leisure for me. There are no market transactions for personal goods and services, and we must rely upon imputed or implicit prices. For the case of leisure, we normally impute the value by assuming that individuals optimize their time use, which ordinarily implies that the value of leisure is the individual’s aftertax marginal wage rate. (I return to this issue below.)

There are no major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near-market and personal goods. Rather, the implication of this distinction is the practical one that estimation of the value of personal non-market goods may be extremely difficult because there are no transactions and no market standards. 

Public v. private goods 

The other important distinction that will require analysis in an accounting context is between private and public goods and services (in the Samuelsonian sense). Private goods and services are ones that can be divided up and provided separately to different individuals, with no external benefits or costs to others. An example is bread. Ten loaves of bread can be divided up in many ways among individuals, and what one person eats cannot be eaten by others. Private goods are straightforward for economic accounting and are central to the theory behind the NEA. There are no conceptual changes that are necessary to include non-market private goods (either near-market or personal). 

Public goods and services, by contrast, are ones whose benefits are indivisibly spread among the entire community, whether or not individuals desire to purchase them. An example is smallpox eradication. It matters not at all whether one is old or young, rich or poor, American scientist or African farmer -- one will benefit from the eradication whether one wants to or not.  A major issue for non-market accounts, particularly environmental  accounts, is the treatment of public goods (or goods with externalities). This is one area where I would suggest a revision in the treatment under standard national accounting. It should be noted that public goods are already in the accounts, but there a conceptual difficulties that arise in their treatment in a complete set of accounts. There are two interesting cases: Case 1, public goods where the flows are completely in the market 
accounts; and Case 2, public goods where some of the flows are in the nonmarket sectors. (...)


지은이: Joel Darmstadter. 아래 발췌문의 지은이(William D. Nordhaus)

(...) The traditional national accounts primarily include the final output of marketed goods and services—namely, goods and services that are bought and sold in market transactions.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traditional accounts,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limiting them to market transactions distorts the accounts as a measure of economic activity and well-being. There is a vast and rapidly evolving array of near-market goods and services—ones that are similar to marketed goods but that are omitted from traditional accounts. This boundary distorts our measures of economic activity. Services provided by nannies are reckoned as part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while the services of mommies and daddies are not; the value of swimming in a commercial swimming pool is captured by GDP, while the value of swimming in the Atlantic Ocean is not.

(...) After a thorough review, the NRC committee urged the adoption of an ambitious program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set of near-market and nonmarket accounts. In addition to develop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 accounts, significant extensions would include the value of: home production and unpaid work, research and development capital, nonmarket time of the population, and informal and home education. In a wealthy country like the United Stat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the economy and the environment is an essential function of government. It deserves a serious research effort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private research organizations.

[기타 메모] 한국의 국민계정 이해


※ 발췌: 

국민소득은 국민경제의 순환으로부터 3가지 다른 측면, 즉 (1) 생산주체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측면 (2) 생산요소를 제공한 자에게 소득을 분배하는 측면 (3) 분배된 소득을 지출하는 측면에서 포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세가지 측면의 국민소득은 그 크기가 똑 같음

ㅇ 생산국민소득 : 생산측면에서 국민소득을 본 개념으로 총산출의 가치에서 생산을 위해 투입된 중간재 사용액을 공제한 국내총생산으로서의 국민소득. 일정기간에 생산된 생산물의 부가가치의 합계

ㅇ 분배국민소득 : 생산활동에 참가한 개개의 생산요소에 지불된 소득과 기업가의 이윤을 의미하는 것으로 임금 지대 이자 이윤 배당 등의 소득

ㅇ 지출국민소득 : 분배된 소득은 소비되거나 저축을 통해 투자로 지출됨으로써 최종생산물에 대한 수요로 지출

생산국민소득(국민순생산) = 총산출액 - 중간투입액 - 고정자본소모
분배국민소득  =  임금 + 지대 + 이자 + 이윤 = 임금 + 영업잉여
지출국민소득  =  소비지출  +  투자지출  +  총수출  -  총수입

(...) 

국민소득 추계방법

국민소득통계는 생산접근방법(production approach), 소득접근방법(income approach) 및 지출접근방법(expenditure approach)의 세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음. 그러나 이들 제방법은 생산․분배․지출의 3면추계 중 반드시 어느 한 면의 추계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자료사정에 따라 서로 혼용되고 있음

1) 생산접근방법은 일국의 부가가치를 생산면에서 추계하는 것으로서 순산출접근법(net output approach), 부가가치접근법(value added approach)이라고도 하는 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의 추계에 이용되고 있음

부가가치 = 총산출액 - 중간투입액 = (생산수량 × 가격) × 부가가치율


2) 소득접근법은 일정기간중에 새로이 생산된 부가가치를 그것이 귀속하는  각 생산요소별로 산출․종합함으로써 부가가치액을 발생면에서 포착하는 방법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분배국민소득의 추계에 이용되고 있음.   
소득접근법에는 소득을 지불하는 입장에 있는 기업측에서 발생한 요소비용을 조사하여 추계하는 소득지불접근법과 반대로 소득을 수취 하는 각 요소제공자에 귀속되는 소득을 조사․추계하는 소득수취접근법의 두가지가 있음 

피용자보수 = 1기업체당 평균노임지불액 × 기업체수
피용자보수 = 1인당 평균수취노임액 × 피용자수

3) 지출접근법은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추계에 적용되는 기본적 추계방법  인데 여기에는
 ① 최종수요자에 대한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을 포착함으로써 최종생산물에 대한 지출을 추계하는 공급접근방법, 
 ② 최종수요자의 지출자료에서 추계하는 방법, 즉 가계소비조사자료에 의한 민간소비추계, 정부지출자료에 의한 정부지출추계, 기업재무자료에 의한 자본형성추계 및 무역통계자료에 의한 수출입추계에 의존하는 수요접근방법

(...)

< 우리나라 실질국내총생산의 추계방법 >

1) 경제활동별 국민소득

    농림어업, 광업 및 일부 서비스업은 생산접근방법 및 물량지수 연장법에 의해 추계. 각 산업의 총산출은 기준년의 총산출을 산업생산지수 등 관련지수로 연장하여 산출하며 부가가치는 총산출에 부가가치율를 곱하여 추계
    제조업, 전기가스수도사업, 운수 및 통신업, 금융보험업 등은 소득접근법 및 이중디플레이션 방법에 의해 추계하는데 관련기관 및 정부의 결산서를 이용, 총산출과 부가가치를 산출

2) 지출항목별 국민소득

민간최종소비지출과 설비투자는 재화유통추적법(Commodity Flow Method) 을 이용, 추계 
 ㅇ 재화유통추적법이란 생산된 재화에 수입을 더하고 수출, 중간소비 및 생산자 및 수입재고 증감을 차감하여 국내최종수요를 산출한 후 기준년의 산업연관표에서 계산된 민간최종소비율 및 설비투자율을 곱하여 산출

 정부최종소비지출과 정부부문 건설투자는 정부 결산자료를 이용, 추계하며 민간부문 건설투자는 건설업의 총산출액 등을 이용, 추계

 재고는 매월 조사되는 재고비율(재고증감량/생산량)을 등을 이용하여 추계하며, 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입은 국제수지통계를 이용, 추계

[자료] 국민소득과 경기(제2편 1장)


제II편. 경제동향 분석 및 예측
제1장. 국민소득과 경기

※ 발췌: 

(...) 
새로이 생산한 가치는 공장에서 만든 산출액(Output)에서 원재료비와 같은 중간투입액(Intermediate Input)을 뺀 부가가치(Value Added)를 의미한다.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원재료는 이미 다른 데서 생산해 낸 것이므로 이 공장에서 만들어 낸 물건의 값에서 원재료 투입비를 뺀 나머지가 이 공장에서 새로이 생산한 가치라고 볼 수 있다. 국민소득지표에서의 생산액(Product)은 이와 같이 산출액에서 중간투입액을 공제한 부가가치를 뜻한다.

생산액(부가가치) = 산출액 - 중간투입액

(...) 

또한 저축(S)≡ 국내투자(I) +국외투자(net foreign investment: NFI) 가 된다. 여기서 국외투자란 내국인이 외국의 자산에 투자한 것에서 외국인이 국내에 투자한 것을 뺀 것이다. 따라서 저축이 국내투자를 상회할 경우에는 국외투자가 플러스가 되고 저축이 국내투자를 하회할 경우에는 국외투자가 마이너스가 된다. 결국 S - I ≡ X - M ≡ NFI 가 되는 것이다.

(...) 

[자료] 국민소득 계정과 국제수지

자료: 한글문서


I. 국민소득 계정과 국제수지

국제수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민소득 계정을 이해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국제수지 계정의 소 항목인 경상수지(Current Account)가 사전적 또는 사후적으로 국민소득의 수준을 결정하는 총수요 또는 총지출의 중요한 항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국민소득 계정을 먼저 소개한 후에 국제수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국민소득 계정은 사후적(Ex-post)으로 발생한 생산과 지출의 결과로 나타나는 국민소득(National Income)의 값을 기록한다. 생산자들은 재화와 용역을 소비하기 위해 지출하는 소비자들로부터 소득을 얻는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지출은 생산자의 소득이 되고 이것이 생산의 가치가 된다. 이 생산의 가치는 한 나라의 생산요소가 벌어들인 소득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주어진 기간 동안에 한 나라의 거주자가 갖고 있는 생산요소들에 의해서 생산된 최종재화와 용역(Final Goods and Services)의 가치를 합산한 것이다. 생산요소들로는 노동과, 공장 또는 장비와 같은 물리적 자본, 자연자원, 그리고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다른 생산요소가 있다. 국내총생산의 추계에서 중간재(Intermediate Good)의 가치는 제외된다.

한 나라의 경제가 생산한 최종재화와 용역에 대하여 사후적으로 실현된 지출의 가치를 더하여 국내총생산(GDP)을 추계하는데 지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소비지줄: 국내 거주자(Domestic Resident)의 지출로 국내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외국인의 지출도 포함한다. 
  • 투자지출: 공장 신축과 새로운 장비의 도입에 의해 발생한 지출
  • 정부지출: 국방, 치안, 그리고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부가 사용하는 재화와 용역에 대한 지출
  •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 재화와 용역의 수출(Export)-재화와 용역의 수입(Import)

(...)

우리나라 국적을 갖은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노동과 자본 그리고 자연자원에 의해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가치가 우리나라의 국민총생산(GNP)이다.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생산(GNP)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국민총생산= 국내 총생산+해외수취 요소소득(Factor Payments from Foreign Countries)-해외지불 요소소득(Factor Payments to Foreign Countries)
국내 총생산은 한 나라의 경계 내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모든 사람의 소득을 추계한 것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외국인의 소득을 포함한다. 

국민 총생산에서 감가상각비와 간접세(Indirect Business Tax)를 감하면 국민소득(National Income)이 된다.
국민소득=국민 총생산-감가상각비- 간접세
여기서 감가상각비란 일정기간 동안 생산에 사용된 자본의 마모비용이다. 재화와 용역의 가격은 조세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업의 순 매출은 총 매출액에서 재화와 용역의 가격에 포함된 조세를 감해 주어야 한다.

국내 총소득은 한 나라의 경제가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지출이다. 한 나라의 경제가 만들어낸 소득 즉 생산의 가치와 생산에 대한 지출은 사후적으로 항상 같다.

Y = C(d) + I(d) + G(d) + EX
  = (C-C(f)) + (I-I(f)) + (G-G(f)) + EX
  = C + I + G + EX - (C(f) + I(f) + G(f))
  = C + I + G + EX - IM
  = C + I + G + CA

여기서,
C(d) = 자국(Home Country)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소비지출.
C(f) = 해외경제가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자국의 소비지출, 그리고 C = C(d) + C(f).
I(d) = 자국(Home Country)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투자지출, 
I(f) =  해외경제가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자국의 투자지출, 그리고 I = I(d) + I(f).
G(d) = 자국(Home Country)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정부지출,
G(f) = 해외경제가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정부지출, 그리고 G = G(d) + G(f)
EX = 수출, IM = 수입, CA = 경상수지, CA = EX - IM

국민소득 항등식에 의하여 경상수지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CA = EX - IM = Y - (C + I + G)
여기서 (C + I + G)는 국내지출이다. 총 생산이 국내지출보다 클 경우에는 경상수지는 0보다 커서 흑자가 된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을 경우에는 수출로 벌어들인 소득이 수입으로 인한 지출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경상수지가 흑자일 경우에는 총 생산 즉 총소득이 국내지출 보다 크기 때문에 자국의 해외 순자산(Foreign Net Wealth)이 증가하게 된다. 국내지출이 생산보다 클 경우에는 수입이 수출보다 커서 경상수지는 적자가 된다: 수입이 수출보다 클 경우에는 수출로 벌어들이는 소득이 수입으로 인한 지출보다 작다. 따라서 자국의 해외 순 자산은 감소하게 된다.

저축과 경상수지 관계를 살펴보자. 국민소득 항등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Y = C + I + G + CA
Y - C - G = I + CA 
(Y - T - C) + (T - G) = I + CA
S(p) + S(g) = I + CA. (  S(p) = Y - T - C, S(g) = T - G, S = S(p) + S(g)  )
CA = S - I

경상수지는 국민저축(National Saving: S)에서 투자를 뺀 것이 된다. 국민저축은 민간저축(Private Saving: S(p))과 정부저축(Government Saving: S(g))를 더한 것이다. 수입이 수출보다 많은 경제는 투자에 비하여 저축을 덜하는 경제이다.
  • 저축이 투자보다 많을 경우에는 경상수지는 흑자이다. 이 경우에는 순해외직접투자(Net Foreign Investment)금융자본이 해외로 유출(Financial Capital Outflow)되는 경우이다. 
  • 위 항등식의 마지막 관계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 = S - CA. 투자는 저축에 의해서 조달되거나 경상수지 적자에 상응하는 금융자본의 유입에 의해서 조달된다. 경상수지의 적자금융자본의 유입 또는 해외 순투자{=Net Foreign Investment??}가 음(Minus)인 것을 의미한다.

정부의 재정적자는 경상수지의 적자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CA = S - I = S(p) + S(g) - I = S(p) - (G - T) - I 

정부의 재정적자는 정부지출이 조세수입보다 클 경우게 발생하고 적자의 크기는 (G - T)이다. 민간저축과 투자가 같다고 하자. 이 경우 정부의 재정적자는 경상수지의 적자를 초래한다.

I-2. 국제수지 계정

국제수지 계정은 일정한 기간을 설정하여 해외경제와의 경제적 거래에서 발생한 지출과 수입을 회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해외경제와의 국제적 거래는 계정의 대변(Credit)가 차변(Debit)에 두 번 기입한다. 국제수지 계정은 크게 세 계정으로 대별된다:

- 경상계정(Current Account): 재화와 용역의 흐름(수출과 수입)을 기록한 계정
- 금융계정(Financial Account): 금융자산의 흐름을 기록한 계정
- 자본계정(Capital Account): 비시장재(Nonmarket Good), 채무변제, 특허권과 상표권(Trade Marks)와 같은 특별한 범주의 자산의 국제적 흐름을 기록한 계정

국제수지 계정 작성의 실례를 들어보자. 자국의 거주자가 미국에서 자동차를 $30,000에 수입했다고 하자. 자동차의 수입은 재화의 수입으로 경상계정의 차변에 기록된다. $30,000을 미국에 지급하는 것이 된다. 미국의 자동차 수출업자가 $30,000을 우리나라의 외환은행에 예치했다고 하자.  이 경우 외환은행은 예치금에 상응하는 신용(Credit)을 판매한 것이 된다. 이것이 금융계정의 대변(Credit)에 기록된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상계정 차변 ($30,000) 대변 (0)
금융계정 차변(0) 대변 ($30,000)

자국의 거주자가 $50,000 상당의 미국 IBM주식을 샀다고 하자. 외국 주식의 매입은 해외경제에 지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금융계정의 차변에 기록한다. 미국의 IBM회사가 주식 매각대금을 우리나라의 외환은행에 예치했다고 하자. 이 경우 외한은행은 예치금에 상당하는 신용을 IBM회사에 판매한 것이 된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금융계정 차변($50,000) 대변($50,000)

우리나라의 국민은행이 채무 재 구축(Debt Restructuring 을 통해서 태국 정부의 채무 $10,000,000를 변제해 주었다고 하자. 채무의 변제는 비시장 이전(Nonmarket Transfer)으로 지급상황이 발생하였으므로 자본계정의 차변에 기록한다. 국민은행은 태국 정부의 빚을 변제해주면서 태국은행에 신용을 판매한 것이 된다. 이것이 금융계정의 대변에 기록된다.

(...)

국제수지 작성과 관련된 몇 가지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보든 경제적 거래는 국제수지 계정의 차변에 한 번, 대변에 한 번씩 두 번 기록된다.  따라서 다음 방정식이 성립한다.

    경상계장 + 금융계정 + 자본계정=0

각 계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경상계정의 구성항목은 다음과 같다:

- 자동차와 같은 재화의 수출과 수입
- 법률 서비스와 수송서비스, 그리고 관광서비스의 수출과 수입 
- 이자, 배당수익금, 그리고 노동소득 수입과 지출
- 해외에 대한 이전 지출과 이전 수입 

자본계정은 특수한 자산의 이전에 관한 기록으로 이것이 국제적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다.

금융계정의 대변에는 금융자본의 유입(Financial Capital Inflow)이 기록된다. 해외경제가 자국의 거주자의 자산을 획득하면서 융자를 해 주는 것이 금융자본의 유입이다. 즉 해외의 거주자가 자국경제의 자산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다. 금융계정의 차변에는 금융자본의 유출(Financial Capital Outflow)이 기록된다. 자국의 거주자가 해외경제의 자산을 획득하면서 융자를 해 주는 것이 금융자본의 유출이다. 즉 자국의 거주자가 해외 경제의 자산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다.

금융계정은 적어도 세 가지 범주로 구성된다. 

- 공적 보유자산(Official Reserve Asset)
- 기타 자산
- 통계적 불일치(statistical Discrepancy) 

개방경제하에서 일어나는 모든 경제주체들의 국제적 거래를 국제수지 계정의 항목에 따라 추정하여 기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지난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실제 거래에서 일어나는 거래 항목과 거래 시간의 불일치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거래에 관련된 자료가 정확하지 않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국제수지는 좀처럼 균형이 되지 않는다.  금융계정에 통계적 불일치 항목을 추가하여 경상계정과 자본계정과 더불어 사후적으로 국제수지를 균형을 도모한다.

공적 보유자산은 국제시장의 불안정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말한다. 중앙은행의 공적 보유자산은 해외정부의 채권과 금 그리고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에 예치금 등을 포함한다. 중앙은행이 보유한 공적 보유자산을 해외의 중앙은행에 매각했을 경우에는 해외 중앙은행에 신용을 공여한 것으로 금융계정의 대변에 기록된다. 중앙은행의 공적 보유자산의 매각은 우리의 거주자인 중앙은행의 대외 청구권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금융자본의 유입으로 인한 대외 빚이 증가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금융자본의 유입을 금융계정의 대변에 기록하듯이 중앙은행의 공적 보유자산의 매각도 금융계정의 대변에 기록한다.
중앙은행의 공적 보유 자산의 매입은 금융계정의 차변에 기록한다. 중앙은행의 공적 보유자산의 매각은 우리의 거주자인 중앙은행의 대외청구권이 증가하는 것으로 금융자산의 유출로 인해 대외부가 증가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금융자산의 유출이 금융계정의 차변에 기록되듯이 중앙은행의 공적 보유자산의 매입도 차변에 기록된다. 

공적 결제수지(Official Settlement Balance)란 음의 공적 보유자산(Negative Value of the Official Reserve Asset)을 말한다. 공적 결제수지는 경상계정과 자본계정, 금융계저의 비 공적 부분, 그리고 통계적 불일치 항목을 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설명의 편의상 통계적 불일치는 0(Zero)이라고 하자. 경상계정과 자본계정 그리고 금융계정의 비 공적 보유자산(Non-reservePortion of the Financial Account)을 합한 것이 100억 달러이라고 하자. 이 경우 공적 보유자산 계정은 -100억 달러이다. 따라서 공적 경제수지는 100억 달러이다.

한 나라의 경제가 음의 공적 경제수지(Negative Official Settlement Balance)를 가질 경우, 이 경제는 공적 국제 보유자산이 고갈된다거나 해외 중앙은행에 빚을 지게 되는 것이 된다. 우리의 중앙은행이 해외의 통화를 매각하거나 해외의 중앙은행이 우리 경제의 자산을 매입하는 경우에는, 해외경제의 청구권이 증가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자본 유입과 같이 공적 보유자산의 대변에 기록 된다. 따라서 공적 결제수지를 감소시킨다. 

(...)    

2011년 12월 29일 목요일

[자료] 국민계정과 귀속계산


귀속계산(歸屬計算: imputed calculation): 국민소득 계정에서 국민소득은 재화와 용역의 거래에 따라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추계한 것을 말한다. 거래는 대부분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나, 경제활동 중에는 시장거래로 표면화되지는 않지만 국민소득에 포함시켜야 할 것들이 많이 있다. 이처럼 실제 발생하지 않은 것을 발생했을 때의 가치액으로 추정하여 계상하는 것을 귀속계산이라 한다. 자기소유주택의 임대료, 자가소비 농산물, 피고용자에 대한 현물급여, 귀속이자, 귀속임대료 등이 그 예이다.


자료 2: 자가주택소유의 묵시적 소득을 고려한 소득불평등 연구 (부동산학연구 제15집 제3호, 2009. 12) 지은이: 정의철/김진욱

※ 발췌: 많은 국가에서 자가소유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자가소유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데 Dietz and Haurin(2003)은 자가소유의 효과에 대한 서베이 논문에서 자가소유가 주택관리,  환경에 대한 관심,  지역사회활동,  자녀들의 교육성과,  보건,  범죄 등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국가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자가소유 지원에 대한 정책수단으로  주택자금대출 
상환금 중 이자비용과 재산세 납부액의 소득공제,  일정한 조건하에서 양도소득세 감면 등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출기간이  15년 이상인 주택자금대출에 대해서는 이자상환액의 1,0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택가격,  보유기간,  거주기간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면 1가구 1주택에 대해서 양도소득이 비과세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가소유가 임차에 비해 얻을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혜택은 자가소유로 인해 묵시적 
소득(imputed income)을 얻게 되며 이 묵시적 소득이 비과세된다는 점이다.  묵시적 소득이란 어떤 가구가 동일한 주택을 임차하게 되면 임대료를 내야하는 반면 이 주택을 소유하게 되면 임대료를 내지 않아 그 만큼 묵시적으로 소득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 )

[주1] ) 여기서 자가소유는 해당 주택을 소유하고 해당 주택에 거주하는 것(owner-occupied)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주택 소유가구 중 해당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자가소유의 묵시적 소득을 얻는 반면 해당 주택을 임대하고 다른 주택을 임차한 가구는 묵시적 소득을 얻을 수 없다.  다주택 보유자의 경우에도 특정 보유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에만 그 주택을 통해 묵시적 소득을 얻는다.  향후 논의에서는 자가소유의 묵시적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가구를 자가거주 가구로 통일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자가소유의 묵시적 소득은 보유주택의 가격(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정의에 따르면 보유주택  가치  중  자기자본의  크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자가소유의 묵시적 소득이 증가할 것이고 주택가격의 격차가 확대되면 이로 인해 소득불평등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사실 2002년 이후 우리나라 주택가격은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지역별,  주택유형별로 주택가격의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

자료 3: CF. 한국의 국민계정 이해, http://hsalbert.blogspot.com/2011/12/blog-post_29.html

[자료] 한국의 국민계정, 1911-2007: 주요지표를 중심으로

자료: 자료링크
지은이: 김낙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 2009.6.8.

※ 검색어: 기초가격, 생산물세, 순생산물세


※ 논문 요약: 

한국의 국민계정통계는 1970년 이후의 한국은행의 현행 계열, 1953-70년의 구계열, 그리고 해방 전에는 1911-40년의 추계가 있다. 이들은 모두 UN의 국민계정체계 (System of National Accounts: SNA)에 의거하고 있지만, 그 버전이 각각 1993 SNA, 1953 SNA, 1968 SNA로 다르다. 또한 해방 전 계열은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만 해방 후는 남한으로 한정되므로 통계의 커버리지에도 차이가 있다. 본고의 과제는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GDP) 및 GDP에 대한 지출, 주요지표를 중심으로 이들 세 계열을 가능한 한 일관성 있게 연결하여 장기계열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계열간에는 어떤 점에서 단절이 있는지, 이를 연결하기 위해 어떤 조정을 하였는지, 그리고 자료상의 제약으로 단절이 남아 있는 경우 그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Maddison(2008)은 남한의 1인당 GDP의 장기계열(1911-2006년)을 제시하고 있지만, 1950년대 이전의 그의 통계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밝히고,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장기계열을 제시하였다.


※ 발췌: 

각국의 국민계정 통계는 UN이 1953년에 ‘국민계정 체계와 부표’(A System of National Accounts and Supporting Tables: 1953 SNA)를 발표한 이후 이 체계에 맞추어 편성되고 있다. 이 체계는 경제상황의 변천에 따라 1968년과 1993년에 개편된 바 있다1)(이하에서는 각각 1968 SNA와 1993 SNA로 약칭). 우리 나라의 국민계정 통계는 한국은행에 의해 1953년부터 작성되어 발표되고 있다. 다만 한국은행 통계도 1953-70년의 구 계열과 1970년 이후의 현행 계열 사이에 단절이 있다. 현행 계열은 통계 작성 기준이나 기준년이 바뀌면 1970년까지 소급하여 개편되지만, 구 계열은 변경 없이 그대로 두고 있다. 구 계열은 1953 SNA에 따르고 있고, 현행 계열은 1993 SNA으로 이행한 상태이다. 그 결과 두 계열 사이에는 통계 항목의 설정이나 그 포괄하는 범위가 다르고, 분류가 바뀐 경우도 적지 않다.

(...)

먼저 Ⅱ기간(1953 SNA)의 경우 산업별 부가가치가 시장가격으로 평가된 것이기 때문에 그들의 합계가 곧 GDP가 된다. 이에 비해 Ⅲ기간(1993 SNA)의 경우에는 경제활동별 부가가치가 기초가격으로 제시되어 있다. 기초가격이란 판매가격 중 생산자의 몫이 되는 금액으로서 생산자가 수취한 금액에서 생산물에 대한 조세(생산물세)를 제외하고 생산물에 대한 보조금을 더한(즉 순 생산물세를 뺀) 가격을 말한다. 1993 SNA에서 부가가치를 기초가격으로 평가하는 것은 세금이나 보조금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각 산업부문의 국민경제에 대한 비중이나 기여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한국은행, 2000, p. 68; 2005, p. 84). 이에 비해 1968 SNA에 의거하고 있는 Ⅰ기간의 경우에는 경제활동을 종래의 산업에서 정부서비스와 비영리서비스를 분리하는 한편 수입세와 금융귀속서비스를 별도의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Ⅰ, Ⅱ, Ⅲ기간의 산업별 부가가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들 차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12월 27일 화요일

Some sources on chain weighting



One problem with traditional “real GDP” calculations is that, since it values all goods at base year prices, it looks like prices never change. As time goes on, goods whose prices go down (and quantities usually go up) are still weighted by the old prices, and consequently get too much weight in later years’ GDP calculations. The goods don’t require a large expenditure share, but if they are valued at base year prices, it would look like a speciously high share of GDP. Let’s do the example:



Year
Expenditure
Prices
Quantity
Computers
Trucks
Computers
Trucks
Computers
Trucks
1
100
106
$1.00
$1.00
100
106
2
105
98
$0.80
$1.05
131.3
93.3
3
103
104
$0.60
$1.10
171.7
94.5
4
99
100
$0.40
$1.15
247.7
87


Notice that since Expenditure = Price*Quantity, real quantities are just Expenditure/Price. Often 
you start with quantities and prices and then derive expenditures; but you can’t do that with computers like you can with oranges, because although an orange in 1981 is the same as an orange in 2005, a computer is not – it’s harder to count up “quantity” in two different years. So, to get an idea of “quantity”, the best thing is to look at total expenditure and divide it by the price level.

It’s simple to calculate real investment (a component of real GDP) in year 1, the base year:
Yr. 1 Real Investment = (100 comp's)*($1) + (106 trucks)*($1) = $206
Now, usual calculation of real investment in year 2 would take year 2 quantities and value them at base year prices:
Yr. 2 Real Investment = (131.3 comp's)*($1) + (93.3 trucks)*($1) = $224.60
Similarly, for years 3 and 4:
Yr. 3 Real Investment = (171.7 comp's)*($1) + (94.5 trucks)*($1) = $266.20Yr. 4 Real Investment = (247.5 comp's)*($1) + (87.0 trucks)*($1) = $334.50
Look at what happened – computers represent 74% of real investment in year 4. However, this is unreasonably high since they represent less than half of actual investment expenditures that year! Why did this happen? Computers have gone down in price, but valuing them at high prices from long ago makes them look much more important than they actually are.

The “investment deflator” that’s given is the same as the GDP deflator. To calculate it, first compute nominal investment (current year investment at current year prices):
Yr. 2 Nominal Investment = (131.3 comp's)*($.80) + (93.3 trucks)*($1.05) = $203
Yr. 3 Nominal Investment = (171.7 comp's)*($.60) + (94.5 trucks)*($1.10) = $207
Yr. 4 Nominal Investment = (247.5 comp's)*($.40) + (87.0 trucks)*($1.15) = $199
The “investment deflator” is (Nominal Investment) / (Real Investment)
Yr. 2 Investment Deflator = 203/224.60 = 0.904
Yr. 3 Investment Deflator = 207/266.20 = 0.778
Yr. 4 Investment Deflator = 199/334.50 = 0.595
How can we solve this problem with real GDP? The solution that the government recently began implementing in its reporting of GDP numbers is chain-weighting. The idea is[:] 
  1. to first calculate year-on-year real rate of growth of each component separately
  2. Then, use expenditure shares for the current year to weight each component and calculate an average rate of growth
  3. Then, apply this average growth rate to the previous year’s real GDP and calculate real (cumulated) GDP in the new year.
Let’s see how this works in year 2:
We do a year-on-year comparison of real quantities in years 1 and 2 to calculate the growth rate of each component separately.
Growth_comp's = (com_new-com_old)/com_old=(131.3-100)/100= 0.313
Growth_trucks =(93.3-106)/106= -0.120
Now, in year 2, total expenditures were $203. Computers represent proportion $105/$203 = 0.517 of total expenditures, and trucks represent proportion $98/$203 = 0.483 of total expenditures.

We use this to calculate an average growth rate, weighted by expenditure shares:
avg.growth = (weight_comp's)*(growth_comp's) + (weight_trucks)*(growth_trucks) = (.517)*(.313) + (.483)*(-.120) =0.104
So, total cumulated investment is 10.4%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Since investment in the first year is $206, then applying this growth rate, cumulated real investment in year 2 is:
Yr. 2 Real Investment = $206*(1+.104) = $227.42Yr. 2 Deflator = (Yr. 2 nominal) / (Yr. 2 real) = 203/227.42 = 0.893
To do this for year 3, follow the same steps and calculate the growth rate of real quantities for each component between year 2 and year 3: computers grew (171.7-131.3) / (131.3) = 0.307, or 30.7%, and real quantities of trucks grew 1.3%. In the same year, computers were 49.8% of expenditures and trucks were 50.2% of expenditures. So, the average growth rate is:
avg. growth = (0.498)*(0.307) + (0.502)*(0.013) = 0.159
We now add this growth rate to year 2’s real investment to get cumulated investment for year 3:
Yr. 3 Real Investment = $227.42*(1+.159) = $263.58Yr. 3 Deflator = (Yr. 3 nominal) / (Yr. 3 real) = 207/263.58 = 0.785
(…) 





In this exercise, we will calculate chain-weight real GDP figures from raw data.  Formally, chain-weight real GDP (Yt) for year t is calculated from the prices (p) and quantities (q) of goods at certain time periods (t):
Where the summation operator works over the implied index of goods.  Note that the figure for year t depends on the figure for year (t – 1), and year (t – 1) GDP depends on year (t – 2), etc. in a “chain” back to the base year.  Because of this chain, real GDP is most easily calculated using a multi-step process.  Note that the first term under the square root is a Laspeyres relative quantity index (1+growth rate), and the second term is a Paasche relative quantity index.  We first calculate these individual indexes (in growth rate form) for each year, and later calculate GDP levels.

(1) For reference and later use, calculate nominal GDP for each year:
(2) For each year (except the first year) calculate the growth rate of real GDP using the current year’s prices (this is a Paasche index):

(3) For each year (except the first year) calculate the growth rate of real GDP using the previous year’s prices (this is a Laspeyres index):
(4) For each year (except the first year) calculate the chain-weight growth rate of real GDP by taking the geometric average of the two fixed-weight growth rates calculated in the previous two steps.  The geometric average is the mathematically correct method of taking the average of growth rates.
(5) Declare any year a base year (b).  This means you are declaring that real GDP equals nominal GDP for that year:
(6) Calculate the level of chain-weight real GDP for the year after the base year by using the base year and one plus the chain-weight growth rate computed in step 4:
(7) Calculate the level of chain-weight real GDP for all successive years the same way:  for year (b + 2), use Yb+1 and  Y(upper do)b+2, etc.

(8) Calculate the level of chain-weight real GDP for the year before the base year rearranging the formula used in step 6, taken back one period:
(9) Calculate the level of chain-weight real GDP for each previous year the same way:  for year (b - 2), use Yb-1  and Y (upper dot) b-1 , etc.

* * *
숙제:


5. 자료: 연쇄지수(chain index)의 이해와 적용 (한국은행, 2007)

(...) 연쇄가중법에서는 고정가중법과 달리 비교년의 실질GDP를 직접 추계하는 데 사용되는 공통된 기준(기준년 또는 가중치)이 없으므로, 물량지수를 먼저 구한 후 이를 연장하여 실질GDP를 구한다.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우선, 전년도 가격 또는 금액 가중치를 이용하여 매년도의 전년대비 물량증가율, 즉 연환지수(link factor)를 산출한다. 
  • 다음으로, 지수기준년6) (예: 2000년= 100)으로부터 각 연도의 연환지수를 누적적으로 곱하여 비교년의 지수기준년 대비 물량증가율, 즉 연쇄지수(chain index)를 도출한다. 
  • 마지막으로, 지수기준년의 GDP 금액에 당해년의 연쇄지수를 곱하여 연쇄 실질GDP 시계열을 작성한다. (...)

6. 자료: http://answers.yahoo.com/question/index?qid=20071019170226AAI8XW9
You are given the following information on an economy that produces 3 commodities
year 1: commodity x(P=$390 Q=20), commodity y(P=$40 Q=120), commodity z(P=$5 Q=1000)
year 2: commodity x (P=$410 Q=22), commodity y(P=$60 Q=138), commodity z(P=$7 Q=1050)
I've calculate the current dollar GDP to be 17600 for year one and 24650 for year two, but am confused as to how to calculate the constant dollar GDP using a chain-weighted index. What in the world is a chain-weighted index??
* * *
I believe you're in Somers class, I've been looking for answers on this as well.
I used the price from year one and multiplied it by the quantity from year two (and three), however my total differs from what he gave us on the solutions sheet, since I get:
Constant Dollar GDP
Year 2 = 19,350 (he says 19,360)
Year 3 = 20,305 (his 20,328)
--------------
I finally figured it out!
You have to take the average price of Year 1 and 2:
[390+410]/2= 400, [40+60]/2= 50, [5+7]/2= 6
Then multiply them by the quantities in Year 2
400x22, 50x138, 6x1050 = 22,000
afterward you do the same for in Year 1:
400x20, 50x120, 6x1000 =20,000
then... ([22,000-20,000) / 20,000] + 1 = 1.1
Now you take the current base year GDP=17,600 and multiply it by 1.1=19.360

Dic: involved as meaning complex or complicated

4 [ADJ] △ If a situation or activity is involved, it has a lot of different parts or aspects, often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explain, or do. (complex, complicated)

  • The operations can be quite involved, requiring many procedures.
... COBUILD

2011년 12월 26일 월요일

Dic: yield (주다 에서 산출, 양보/양도, 굴복)

자료: www.innisfreeisland.com/attachment/gk44.hwp

위 자료 출처에서 발췌:

@ yield '주다'에서
➀ 산출하다 produce
# His business yields big profits.

➁ 양보하다 give way ; 양도하다 turn over
# You must yield to traffic from the left.

➂ 굴복하다 give in, submit, surrender
# We were forced to yield

➃ 산출, 생산량 produce ; (투자)수익 income
# The trees gave a high yield this year.
# yield on bond

yield는 단순히 ‘굴복하다’와는 의미가 다른다. surrender(굴복하다)에는 왜 ‘산출량’의 뜻이 없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yield는 원래 ‘패배하다’ 보다는 ‘남에게 내주다’의 의미가 중심 이미지로 잡혀 있기 때문이다.

2011년 12월 25일 일요일

[자료] 물가불안 시리즈 (1) : 글로벌 인플레이션 레짐의 변화

http://www.hanaif.re.kr/kor/pdf/re110207.pdf

Dic: be under way, get under way

also underway

[ADJ] v-link ADJ △If an activity is under way, it has already started. If an activity gets under way, it starts.
  • An investigation is underway to find out how the disaster happened...
  • The conference gets under way later today with a debate on the family.
..... Cobuild

Mirror: help to V vs help V

대여섯 해 전에 절판된 어떤 교수님의 영문법 강좌에서 봤던 내용:
  1. He helped me to lift my heavy baggage.
  2. He helped me lift my heavy baggage.
전자는 간접적 지원을 시사하고, 후자는 직접적 지원을 뜻한다는 설명이 있었다. 즉 후자는 다음 문장에 help의 의미가 보태진 셈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듯.
  • He made me lift my heavy baggage.
CF.
  • Economists have developed supply-and-demand analysis to help explain the major trends in output and prices.
vs
  • Economists have developed supply-and-demand analysis to explain the major trends in output and prices.
vs
  • Supply-and-demand analysis (developed by economists) have explained the major trends ...
  • Supply-and-demand analysis (developed by economists) have helped explain the major trends ...

2011년 12월 24일 토요일

[복습] 경상수지와 무역수지

  1. e나라지표: 경상수지와 무역수지
  2. [경제교과서 친구만들기] (42) 국제수지(上) - 경상수지
  3. (43) 국제수지(下) - 자본수지
  4. 경상수지란 무엇이며 경상수지 흑자는 어떤 의미?
  5. [알기쉬운 경제지표] 무역수지·경상수지

[용어 및 자료] sovereign debt fund



※ 검색어: sovereign fund, sovereign debt fund

* * *

(...) 요즈음 미국 뉴스를 들어보면 날마다 소버린 뎃(Sovereign Debt, 국가 부채), 이 말이 안 나오는 날이 없습니다. Sovereign Fund라고 하면 국가가 외화자산으로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국부 펀드(Sovereign Wealth Fund)라고 합니다. 한국의 국부 펀드는 한국투자공사이고 약 30조 원입니다. 중국은 약 1,000조 원입니다. 조족지혈, 새 다리의 피도 되지 못하고 모기다리의 피 정도 됩니다. 중국은 이 펀드로 전 세계의 자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소버린 펀드도 유명합니다. 테마섹이라고 합니다. 서울의 빌딩들을 많이 인수했습니다.

요즈음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는 Sovereign Debt입니다. 전 세계가 국가 부채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그런데 이름이 똑같은 소버린 펀드가 한국에서 도박판을 벌린 후 판돈을 쓸어가 버렸습니다.
바로 2003년 SK(선경) 주식을 사들이면서 시작됩니다.
원래 소버린은 1972년 뉴질랜드에서 일어난 평범한 제조, 무역, 유통 회사였습니다.
그러나 1986년, 모나코로 적을 옮기면서 투자기관으로 변신합니다.
주로 아시아, 동유럽, 남미 등 경제 기반이 취약한 국가들을 돌며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해 막대한 투자이익을 거두는 사모펀드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SK는 분식회계로 최태원 회장이 검찰에 불려 다니는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때 구세주처럼 나타난 것이 바로 소버린 펀드였습니다.
그 친구 미국에서 경영학을 했다고 얘기 들었는데 제가 잘못 들었는지, 하는 것 보면 순진하기 짝이 없습니다.

결국, 소버린이 단일 주주로는 최고인 14.99%의 지분을 확보합니다.
물에 빠진 SK를 구하자마자 강도로 돌변합니다.
소버린은 2대 주주로서 주주총회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SK 이사진의 총사퇴, SK텔레콤 매각을 통한 재벌 구조 해체, 최태원 일가의 퇴진, SK그룹의 경영 투명화 등 상당히 과격한 주장을 내세우며 SK 경영진을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이 얼마나 영리합니까?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재벌에 대한 반감을 이용하여 여론을 유리하게 끌고 갑니다.
(이들 뒤에는 아래에 설명 되는 한국판 악마들이 있습니다.)
결국 소액 주주들과 SK 노조는 소버린에 의결권을 이양하도록 결의합니다.
한국의 부패한 재벌에 글로벌 스탠다드를 전파한다며 경영권 장악을 시도하니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재산을 하루아침에 빼앗기게 된 최태원은 과부 속옷에 숨겨둔 돈까지 동원하여 주식매집에 나섭니다.
그러니 주식 값이 치솟지 않겠습니까?
2년 내내 언론을 이용하여 겁을 주고, 결국 600%의 수익으로 1조 원을 챙겨서 동방 예의지국을 조용한 아침에 떠납니다.
그런데 이들이 돈을 벌 수 있도록 하는 집단이 바로 거간꾼들, 한국의 유대인입니다. (...) 

[용어 및 자료] Lending facilities & FRB's monetary policy

자료: http://www.investopedia.com/terms/l/lending-facility.asp#axzz1hRto5YwC

Definition of 'Lending Facility'

A mechanism that central banks use when lending funds to primary dealers. Lending facilities provide financial institutions with access to funds in order to satisfy reserve requirements using the overnight lending market. Lending facilities are also used to increase liquidity over longer periods such as by using term auction facilities.
Investopedia explains 'Lending Facility'
Lending facilities were developed to enhance efficiency when depository institutions require capital. Central banks often accept a variety of assets as collateral from financial institutions in exchange for supplying the loan. These lending facilities can take the form of  term auction facilities, term securities lending facilities, treasury automated auction processing systems (TAAPS) or the overnight lending market.

CF. FRB's monetary policy

 1.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The term "monetary policy" refers to the actions undertaken by a central bank, such as the Federal Reserve, to influence the availability and cost of money and credit to help promote national economic goals. The Federal Reserve Act of 1913 gave the Federal Reserve responsibility for setting monetary policy. The Federal Reserve controls the three tools of monetary policy--open market operations, the discount rate, and reserve requirements. Th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is responsible for the discount rate and reserve requirements, and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is responsible for open market operations. Using the three tools, the Federal Reserve influences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balances that depository institutions hold at Federal Reserve Banks and in this way alters the federal funds rate. The federal funds rate is the interest rate at which depository institutions lend balances at the Federal Reserve to other depository institutions overnight. 
Changes in the federal funds rate trigger a chain of events that affect other short-term interest rates, foreign exchange rates, long-term interest rates, the amount of money and credit, and, ultimately, a range of economic variables, including employment, output, and prices of goods and services.

Structure of the FOMC: (...)
 2. Credit and Liquidity Programs and the Balance Sheet: Overview

Dic: review of the prefix, hyper-

■ hyper-

  1. above, over, or in excesshypercritical
  2. (in medicine) denoting an abnormal excesshyperacidity
  3. indicating that a chemical compound contains a greater than usual amount of an element: hyperoxide

■  hyper-

 1. more than usual, especially too much
  • hypersensitive (= too sensitive) 
  • hyper-inflation
  • a hyper-extended knee
 2. beyond the usual size or limits
  • a hyperlink (= from one website to another)
■  Hyper- is used to form adjectives that describe someone as having a lot or too much of a particular quality.
  • I hated my father. He was hyper-critical and mean...
  • He is one of those lean, hyper-fit people.
..... COLLINS, LDOCE, COBUILD


CF. ■ hyper: If someone is hyper, they are very excited and energetic. (INFORMAL)
  • I was incredibly hyper. I couldn't sleep. (= hyperactive)

.... COBUILD

2011년 12월 23일 금요일

[일부 자료] 미국 관세의 역사


자료 1: http://en.wikipedia.org/wiki/Tariffs_in_United_States_history

자료 2: http://en.wikipedia.org/wiki/Morrill_Tariff

자료 3: The Civil War Tariff ( http://mises.org/daily/5442 )

자료 4: My History Ocean 제공,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F. Bastiat and his 'negative railroads'



(...) A famous section of Economic Sophisms concerns the way that tariffs are inherently counterproductive. Bastiat posits a theoretical railway between Spain and France that is built in order to reduce the costs of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is achieved, of course, by making goods move to and from the two nations faster and more easily. Bastiat demonstrates that this situation benefits both countries' consumers because it reduces the cost of shipping goods, and therefore reduces the price at market for those goods.

However, each country's producers begin to criticize their governments because the other country's producers can now provide certain goods to the domestic market at reduced price. Domestic producers of these goods are afraid of being out-competed by the newly viable industry from the other country. So, these domestic producers demand that tariffs be enacted to artificially raise the cost of the foreign goods back to their pre-railroad level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compete.

Bastiat raises two significant points here:
  1. Even if the producers in a society are benefited by these tariffs (which, Bastiat claims, they are not), the consumers in that society are clearly hurt by the tariffs, as they are now unable to secure the goods they want at the low price at which they should be able to secure them.
  2. The tariffs completely negate any gains made by the railroad and therefore make it essentially pointless.

To further demonstrate his points, Bastiat suggests that, rather than enacting tariffs, the government should simply destroy the railroad anywhere that foreign goods can outcompete local goods. Since this would be just about everywhere, he goes on to suggest that that government should simply build a broken or "negative" railroad right from the start, and not waste time with tariffs and rail building.

In short, the thrust of Bastiat's negative railroad hinges on two major points:
  1. All economic decisions should be made with the consumer in mind (this is the central theme of Bastiat's economic ideology, and favoring the consumer rather than the supplier is demand side economics, the opposite of supply side economics, but Bastiat does not share the interventionism of Keynesian demand side economists).
  2. Tariffs serve no purpose but to negate the gains provided to society by technology, labor, ingenuity, determination and progress.
An important corollary to these conclusions is that the power that consumers wield with any governing body, while theoretically tremendous, is extremely diffuse in application. Producers, on the other hand, while not as powerful on the whole as the sum total of consumers, have the ability to consolidate their power in ways that make it much more attractive for governing bodies to service their needs. Thus, while consumers could theoretically shut down an entire industry (or government) by boycotting, or refusing to buy/sell/do something, the likelihood of the great mass of people organizing in this way for any reason whatever is so infinitesimal as to be practically impossible. Producers, on the other hand, can form combinations and trade groups and are thus able to threaten or cajole the government with shutting down a single industry, with reductions in political and financial contributions to the government agents who make certain decisions, etc. It is for this reason that governments are much more likely to pander to the desires of producers than to those of consumers, and it is for this reason, Bastiat concludes, that governments are inherently adversarial to the interests of the people as a whole. Indeed, they are even adversarial, in some way, to the interests of the producers themselves, as the producers of one good or service are still consumers of all the other goods and services. (...)


자료 2:  His Economic Sophisms,  링크 1, 링크 2

자료 3: His Economic Sophisms, by way of thankful Internet Archive:

Chapter 17. Negative Railroads

I have said that as long as one has regard, as unfortunately happens, only to the interest of the producer, it is impossible to avoid running counter to the general interest, since the producer, as such, demands nothing but the multiplication of obstacles, wants, and efforts. 

I find a remarkable illustration of this in a Bordeaux newspaper. 

M. Simiot*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 

Should there be a break in the tracks at Bordeaux on the railroad from Paris to Spain? 

He answers the question in the affirmative and offers a number of reasons, of which I propose to examine only this: 
There should be a break in the railroad from Paris to Bayonne at Bordeaux; for, if goods and passengers are forced to stop at that city, this will be profitable for boatmen, porters, owners of hotels, etc. 
Here again we see clearly how the interests of those who perform services are given priority over the interests of the consumers. 

But if Bordeaux has a right to profit from a break in the tracks,and if this profit is consistent with the public interest, then Angouleme, Poitiers, Tours, Orleans, and, in fact, all the intermediate points, including Ruffec, Chatellerault, etc., etc., ought also to demand breaks in the tracks, on the ground of the general interest—in the interest, that is, of domestic industry— for the more there [Alexandre fitienne Simiot, author of Gate du chemin de fer de Paris d Bordeaux (Bordeaux: Durand, 1846). and subsequently represenutive of the Gironde in the Constituent Assembly.— Translator.] are of these breaks in the line, the greater will be the amount paid for storage, porters, and cartage at every point along the way. By this means, we shall end by having a railroad composed of a whole series of breaks in the tracks, i.e., a negative railroad

Whatever the protectionists may say, it is no less certain that the basic principle of restriction is the same as the basic principle of breaks in the tracks: the sacrifice of the consumer to the producer, of the end to the means. 

Dic: wine and dine

3 [PHRASE] Vs inflect △If you wine and dine, or if someone wines and dines you, you go out, for example to expensive restaurants, and spend a lot of money.

  • Colleagues were furious at doing her work while she wined and dined...
  • A lot of money went on wining and dining prospective clients.
.... COBUILD

△wine and dine someone: to treat someone to an expensive meal of the type that includes fine wines; to entertain someone lavishly.
  • The lobbyists wined and dined the senators one by one in order to influence them. 
  • We were wined and dined every night and given the best hotel accommodations in town.



  • They can afford to use the proceeds to wine, dine, or even bribe the officials who give out import licenses.

2011년 12월 16일 금요일

[자료] poverty threshold

자료: http://www.ocpp.org/poverty/how/

(...) In 1963-1964, Molly Orshansky of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developed poverty thresholds. 

  • Orshansky based her poverty thresholds on the "thrifty food plan," which was the cheapest of four food plans developed by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The food plan was "designed for temporary or emergency use when funds are low," according to the USDA. Based on the 1955 Household Food Consumption Survey from the USDA (the latest available survey at the time), 
  • Orshansky knew that families of three or more persons spent about one third of their after-tax income on food. She then multiplied the cost of the USDA economy food plan by three to arrive at the minimal yearly income a family would need. 
Using 1963 as a base year, she calculated that a family of four, two adults and two children would spend $1,033 for food per year. Using her formula based on the 1955 survey, she arrived at $3,100 a year ($1,033 x3) as the poverty threshold for a family of four in 1963.

(...)

자료: 구글이 보관한 삭제된 링크

(...) 미국 사회보장청의 오샨스키(Mollie Orshansky)는 미국의 3인이상 가구의 엥겔계수가 대개 1/3이라는데 착안해서 최저한의 식품비를 계산한 뒤 여기에 3을 곱하여 빈곤선을 계산하는 편법을 제안하였다. 오샨스키의 이 방법은 지금까지도 미국의 공식적 빈곤선(poverty line)계산에 이용되고 있다. (...)

2011년 12월 13일 화요일

Mirror: 메모

TransMirror:

  • 어의가 상당 정도 세밀하게 구분되는 표현을 여러 개 동원해 문장을 구성하면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 세밀하게 갈라지는 의미들 자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중요한 부분일 때는 그리해야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러한 표현들이 쓸데없는 장식이 될 것이다. 그뿐 아니라 해당 글귀를 읽어가는 순간 독자 머릿속에는 분화된 의미를 재생하려는 뇌회로가 분주하게 작동할 텐데, 전달되어야 할 중요한 부분도 아닌 곳에서 뇌 에너지를 쓰게 만들면 분명히 민폐가 될 것이다.

예문은 차차로 찾아보기

2011년 12월 12일 월요일

조문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번역을 시작하고 7년이 지나는 사이 투여해야 할 시간은 많고 소득은 부족하여 여러 친지와 동기 선후배들의 경조사를 챙기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주변의 애환을 챙기지 못했는데 아버님 상을 당한 2011년 12월 7일, 어찌 내 소식을 알릴 수 있겠느냐 생각하며 연락할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운구를 위한 일손이 부족하여 주변분들의 도움을 청하는 소식을 띄웠습니다. 다들 생업이 녹록지 않은지라 도와주실 손길을 찾지는 못했지만 다행히 고마운 분의 손길을 얻어 무난히 장례를 치렀습니다.

오랜 공백에도 불구하고 찾아주신 아래의 동기, 선후배, 그리고 관계자분들과 아울러 멀리서 오지 못하신 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김익흥, 박용수,
탁정모(유비온), 김국종, 김기형, 홍문국, 박삼렬,  조옥환, 김경중, 강원호, 김지동, 유선영, 백준봉,  김찬우,  장종익, 김래원, 이문수, 김광진, 이영원, 장지환,
정태근, 김기철, 김창수, 한인영, 김동욱, 권도형, 한영수, 김태환, 박종현, 유성권, 유충권
7년 전에는 그나마 주변의 조사를 챙길 시간이나마 있었는데 생계가 한참 어려울 그때 동기가 상을 당하여 초라하기 그지없는 꼬깃꼬깃한 부의금을 냈던 기억이 생생한데, 그 친구가  화사한 화환을 보내주니 큰 위로가 되었습니다. 고맙다, 친구들아.

부족하나 넉넉하나 왔으나 못 왔으나 마음 써주신 동기, 선후배, 관계자 모든 분들께 감사의 뜻을 전하며, 어려운 와중에도 마음 쓰심의 흔적을 아프도록 감사히 받습니다.

김홍식 드림.

entitlement, entitlement program

1. entitlement: (def.3) A government program that guarantees and provides benefits to a particular group: “fights . . . to preserve victories won a generation ago, like the Medicaid entitlement for the poor” (Jason DeParle). ...자료: http://www.answers.com/entitlement


2. Entitlement program: Government program that requires payment to anyone who meets specific qualifications; those who qualify are thus ‘entitled' to the payments. Social Security, Medicare, food stamps, etc. Are entitlement programs. ...자료: Business Dictionary: http://www.answers.com/topic/entitlement-program


3. A federal program that guarantees a certain level of benefits to persons or other entities who meet requirements set by law, such as Social Security, farm price supports or unemployment benefits. It thus leaves no discretion with Congress on how much money to appropriate, and some entitlements carry permanent appropriations. ...자료: Lectric Law Library, http://www.lectlaw.com/def/e081.htm 


[메모] muckraker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B&i=136953&v=44

Some remarks on 'anarchy plus (a/the) constable'

자료 1: 'Anarchy plus a Constable' ( By Monty Pelerin, American Thinker, April 20, 2010 )

"Anarchy plus a constable" was Thomas Carlyle's description of classical liberalism. Gerald O'Driscoll, in an "An Economy of Liars" in the Wall Street Journal, discussed the breakdown of honesty and ethics and related it to the current financial crisis.

One of O'Driscoll's points dealt with laws versus ethics. Others have pointed out that the more laws a society has, the less ethical it becomes. Instead of doing what is "right," the boundary becomes: "is it legal or within the law." O'Driscoll described it thusly (my italicized emphasis added):

The idea that multiplying rules and statutes can protect consumers and investors is surely one of the great intellectual failures of the 20th century. Any static rule will be circumvented or manipulated to evade its application. Better than multiplying rules,financial accounting should be governed by the traditional principle that one has an affirmative duty to present the true condition fairly and accurately-not withstanding what any rule might otherwise allow.
Another point dealt with what economist's refer to as "regulatory" capture, a joining of interests between the regulator and the regulated: (...)



자료 2: The Theory of the State: an economic perspective (By Ronald Findlay & Stanislaw Wellisz, September 2003 )
Columbia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cs, Discussion Paper Series

The principle of laissez- faire, so closely associated with Adam Smith and the classical
economists, should certainly not be considered an endorsement of anarchy as the ideal
form of social order. Despite the theological overtones of divine providence in the
imagery of the “invisible hand”, Smith and his followers did not regard the market and
the price mechanism as a spontaneous form of natural order that would prevail in any
social group. Political organization in some form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ramework
of law and order within which justice could be maintained and contracts enforced. Thus
even one of their harshest critics, Thomas Carlyle, described their system not as anarchy,
but as “anarchy plus the constable”. (...)

자료 3: The Works of Thomas Carlyle ( By Thomas Carlyle, Henry Duff Traill )

2011년 12월 6일 화요일

자료 몇 개 (검색어 : command economy)

http://www.daeguhistory.org/original/93/7.%20%EB%B0%95%EC%9A%B0%EB%A3%A1.pdf

http://averisdetz.oranc.co.kr/EconomicCrisisandSocialJustice.pdf

..

[자료] 우리나라 경제학원론 대학 교과서에서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서술 현황과 대안모색

지은이: 최광(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이성규(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강사)
2010. 7. 15 (經濟學硏究 제58집 제3호)

※ 발췌: 

본 논문은 경제이론을 설명하는 데 근원이 되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를 대표적인 경제학원론 대학 교재에서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 지를 살펴본 후, 그 서술 내용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올바른 서술을 위한 대안을 모색․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학원론 교과서의 경우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본질적 특성이 많은 경우 체계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며, 정부의 기능에 관해서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특히 세 가지 주요 ‘편향성’이 발견된다. 
  • 첫째,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서술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본질적 근간인 ‘사유재산제’와 ‘선택의 자유’가 간과되고 가격 또는 시장기구에만 편향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실패와 정부개입이 기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 둘째, 정부의 역할에 대한 서술의 경우에도 ‘생산적 (또는 시장실패 교정) 기능’에 편향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경제적 번영에 필수적인 ‘보호적 기능’이 경시되고 있다. 
  • 마지막으로,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관점에서의 설명이 부족하다. 
이러한 편향과 불충분한 서술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시정․보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본질적 특성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관점과 내용을 새로이 보완․설명하며,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의 역할은 규범적 논의와 함께 역사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설명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학생들에게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무엇이냐?”라고 물어보면 제대로 대답하 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상당수의 학생들은 그러한 질문을 왜 하는지 무척 의아해 한다.

(...) 그 동안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의 서술내용을 둘러싼 문제점 지적과 대안 마련을 위한 노력들은 활발히 전개되어 왔지만 대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이러한 노력은 저자들이 아는 바로는 거의 전무하다. 우리나라 경제학 원론 대학 교과서를 일별해 보면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하나의 ‘체제’로 인식하여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가지는 중요성을 근원적인 시각에서 기술한 교과서들을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 들어 몇몇 교과서의 저자들이 본 논문의 필자들과 ‘같은 생각’으로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중요성을 명시적으로 서술하고 있기는 하나 정부의 역할과 관련된 서술에서는 여전히 크게 미진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