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31일 화요일

[건강 상식] 굽은 등, 척추 측만을 바로잡는 동작들


이런 목적의 동작이나 요령 들이 부지기수로 많기는 하다. 심지어 의식적인 숨쉬기 요령만으로 척추 측만을 바로잡는 치료법도 있다. 눈에 띄는 대로 기록해 보자.

Sit-through extension: 동영상(1),

손쉬운 허리 뒷쪽 근육 강화에 도움될 것 같은 운동 (데드 리프트를 응용한 건가?): 동영상.

[자료: 칼럼] The Origins of MMT


자료 목록에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 Modern Money(Monetary) Theory에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아티클(들) 같다.



▷ The Origins of MMT: https://rwer.wordpress.com/2017/01/30/the-origins-of-mmt/

▷ Explainer: what is modern monetary theory? (Steven Hail | Conversation, Jan 2017)


※ 기타 직간접 관련 메모 또는 자료:

▷ [발췌: Steve Keen's] Economists Ignore One of Capitalism's Biggest Problems. Banks Create Money out of Nothing.

2017년 1월 30일 월요일

동상이몽의 (사회적, 개인적) 현실


동상이몽.

같은 자리에 누워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

얼마 전 어렵게 마음 먹고 몇몇 선후배와 동기들이 함께하는 자리에서 느꼈던 마음자리의 일부분이 이것이다.

이걸 좀 즐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그 차이를 즐겁게 받아들일 줄 아는 것을 배우자고 마음 먹는다.

... ...

[도서] Marxist Monetary Theory (2016)





독자층이 극히 제한적인 학술적 서적이라서 한국에서의 출판 잠재력은 거의 없다고 해야 할 책이다 (현지에서도 대중적인 도서로 판매할 의도가 전혀 없이 내는 책 같다).

단지 책소개에서 언급되어 있듯이, 과연 “offers a resolutely Marxist perspective into contemporary capitalism while remaining ( ... ) sensitive to mainstream economic theory, and fully aware of the empirical reality of financialisation”할 것인지 개인적으로 궁금하기는 하다.


2017년 1월 26일 목요일

[국외 컨퍼런스] Veblen Society(Les Amis de Veblen)


출처: http://thorstein.veblen.free.fr/


※ 발췌:

2017년 2월 16일

Kako Nubukpo viendra nous parler de l’ouvrage collectif auquel il a contribué sur la question du franc CFA - Sortir l’Afrique de la servitude monétaire ? A qui profite le franc CFA ? - avec Bruno Tinel, Martila Ze Belinga, Demba Doussa Dembele, La Dispute - octobre 2016


2017년 3월 8일

Bruno Tinel viendra présenter son ouvrage sur la dette publique et débattre de la question si sensible de la dette - Dette Publique: sortir du catastrophisme - Raisons d’agir - 2016.
Voir la note de lecture d’Igor Martinache dans la revue Idées économiques et sociales - https://www.cairn.info/revue-idees-economiques-et-sociales-2016-3-page-78.htm


2017년 3월 30일

Baptiste Perrissin Fabert actuellement en poste à France Stratégie (ex-Commissariat Général au Plan) viendra nous parler de sa réflexion sur la transition écologique et son financement qu’il a conduite avec Michel Aglietta au Commissariat du développement durable. Ce sera l’occasion de réfléchir aux limites des actions et solutions actuelles et d’ouvrir des perspectives de gestion des biens communs dans le cadre européen. Voir ici un lien vers la note publiée à cette occasion - http://www.developpement-durable.gouv.fr/Une-proposition-pour-financer-l.html

2017년 1월 24일 화요일

Song/ Hit the Road, Jack


A modern interesting interpretation:





영화음악/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Fairy Tale, No. 3. Allego:

─ Fairy Tale for cello and piano, No. 1, 2, 3. (Leos Janáček Pohádka, 1910):
..


..


..


..

..

..

2017년 1월 23일 월요일

Song/ Donde Voy


─ Tish Hinojosa:


- 가사 해설: http://m.blog.naver.com/edelsoft/220008916864

With other songs at ACL in 1990:

 - 이수영:

2017년 1월 20일 금요일

[외서 신간] 에코노크라시: 경제학을 전문가들에게 맡기는 건 위험천만 (2016년 11월)


  • 서명: The econocracy: The perils of leaving economics to the experts
  • 저자: Joe Earle, Cahal Moran and Zach Ward-Perkins
  • 출판사/출판일: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6년 11월


출판사 책소개
  • [추천사] 장하준: 'Economics has become the organising principle, the reigning ideology, and even the new religion of our time. And this body of knowledge is controlled by a selective priesthood trained in a very particular type of economics - that is, Neoclassical economics. In this penetrating analysis, based on very sophisticated theoretical reflections and highly original empirical work, the authors show how the rule by this priesthood and its disciples is strangling our economies and societies and how we can change this situation. It is a damning indictment for the economics profession that it has taken young people barely out of university to provide this analysis. Utterly compelling and sobering.'
  • [추천사] 스키델스키: 'A rousing wake-up call to the economics profession to re-think its mission in society, from a collective of dissident graduate students. Their double argument is that the 'econocracy' of economists and economic institutions which has taken charge of our future is not fit for purpose, and, in any case, it contradicts the idea of democratic control. So the problem has to be tackled at both ends: creating a different kind of economics, and restoring the accountability of the experts to the citizens. The huge nature of the challenge does not daunt this enterprising group, whose technically assured, well-argued, and informative book must be read as a manifesto of what they hope will grow into a new social reform movement.'


▷ 서평

▷ 도서 출간 기념 연설 (2016년 11월): 잉글랜드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앤드류 홀데인(Andrew Haldane)
잉글랜드은행의 2인자라고 일컬어지는 그는 당국자로서 2008년 금융 위기를 겪었으며, 거대 은행의 대차대조표를 '블랙홀 중에서도 가장 캄캄한 블랙홀'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

[동영상 강좌: Steve Keen] 다원주의적 방식으로 경제학을 가르치기: 어느 학파 중심으로 덧칠(+은폐)하는 경제학은 이제 그만.


발표자: Steve Keen (@ProfSteveKeen)
발표일: 2016년 12월 30일
장소: 네덜란드의 어느 곳.


제목: Teaching Economics the Pluralist Way: no more airbrushed economics from any school



벌써 수년 전(아마도 3~4년 전)부터 영국의 상당수 비주류 경제학자들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경제학 교육의 커리큘럼을 개혁하자는 운동이 전개된 바 있다. 그 이전 2000년대 초반 프랑스에서도 그 선구자 격인 운동과 도서 발간이 있었던 기억이 있다. 그 모든 움직임을 잘 추적하지는 못했지만, 이 동영상도 그런 흐름 중 하나다.

스티브 킨은 주목해야 할 비주류 경제학자 중 대표적인 한 사람이다. 케인스와 특히 민스키, 그리고 화폐의 본질에 관해서는 어느 이탈리아 경제학자의 포지션을 채용하고, 현대적인 거시경제 모형에─주류 경제학과는 달리─신용과 금융을 포함시켜서 경기 변동을 분석하는 도구가 탁월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2008년 금융 위기를 미리 예측한 몇 안 되는 학자 중 한 사람이기도 하다.

2017년 1월 18일 수요일

[외서 신간(들)] 다가올 새 금융 위기


▷ Steve Keen (2017년 4월 예정). Can We Avoid Another Financial Crisis? (The Future of Capitalism). Polity Press.

  • 킨 교수는 정치인들이 금융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진정한 역학에 맞서지 않는 한, 하염없이 늘어만 가는 민간 채무로 인해 어떻게 또 한 차례의 금융 위기가 거의 일어날 수밖에 없게 되는지 밝힌다. 그리고 중국, 캐나다, 호주를 비롯해 '빚더미를 진 좀비(Walking Dead of Debt)'가 되어버린 나라들과 곧 그런 나라들에 합류할 나라들이 어느 나라들인지 지목한다 (아마존 출판사 서평 중에서).[주]*
[주]* 킨 교수는 이미 2016년 중에 트위터에서였는지, Forbes 칼럼 중에서였는지 이 위기 발발 개연성이 큰 나라들을 개연성이 높은 순서대로 지목했는데, 그중 한국도─중국, 캐나다, 호주보다는 아마도 낮은 순위에─올라 있었다 (Forbes 칼럼, 기타 구글 검색 자료들)

  • [관련 자료] Why Australia (& Canada, Korea, China and others) can't avoid a recession (2016년 7월)
  • [저자 강연회 공고: 2017.1.25, 런던] Steve Keen will be asking the question at the centre of his new book: Can we avoid another financial crisis?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was caused by factors that mainstream macroeconomics ignores: private debt and credit. Giving them their proper place in macroeconomics yields a set of indicators that show which countries are mired in the aftermath of a debt crisis and therefore likely to stagnate, and those that managed to avoid the 2008 crisis by continuing to borrow, and are therefore ripe for their own crises in the near future. This includes the usual suspects of China, Canada and Australia, but also some unexpected cases such as Belgium and South Korea.
  • 킨 교수, 1월 25일 트윗에서 신용 경색을 겪을 수 있는 후보 국가 9개 나라 중 한국이 들어간다고 언급했군요.

CF:

▷ James Ricards (2016년 11월). The Road to Ruin: The Global Elites' Secret Plan for the Next Financial Crisis. Portfolio.

2017년 1월 17일 화요일

[외서 신간 메모]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에 왜 해로운가: 내부자의 문제 제기



연준에서 일했던 내부자가 연준을 비판하는 책을 낸 모양이다. 미국에서 책이 나오기 전부터 상당량의 예약 판매가 이루어질 정도로 화제의 책 같기는 한데, 아직 목차도 서문도 볼 수는 없는 상태다 (아마존).


얼핏 보니 연준 설립 당시 의회로부터 부여받은 이중의 임무(경제 및 물가 안정, 완전 고용 달성)에 대해 후자를 폐기하여 단순화하자는 말이 나온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연준이 물가 안정에만 주력했지 완전 고용은 사실상 무시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후자의 임무를 없애자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무언지 분명해 보이지 않는다.

책 소개에서 연방준비제도를 뒷받침하는 지역별 연방준비은행의 관할 구역 설정을 바꾸자는 식의 행정/제도적인 측면의 이야기에 꽤 많은 분량을 할애한 것을 보면, 음... 그다지 산뜻하거나 깊이 있는 혜안이 번득일 것 같지는 않다는 예감이 든다.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연준 이사회 내 상당수 임원의 재구성 시기가 겹쳐서 미국 내 여론의 주목을 받는 시기라는 점을 책 판매의 주요 지렛대로 삼아 급조한 언술들은 아닐까 하는 염려도 든다.

* * *
첫 인상은 대충 위와 깉았으나 책에 대한 호평이 미국 현지에서 줄을 잇고 있다. 그중 하나인 월스트리트저널: https://www.wsj.com/articles/the-economys-visible-hands-1488498817

Song/ Parler à mon Père





2017년 1월 11일 수요일

My thankfulness with apology


Thankful for you to create excellent experience while growing up. 
Seeing you make your own valuable stories and history gives me immeasurable happiness,
At the same time making me feel very sorry not to be near you while you grow up and create your identity.
But I would say ..., I will say,
It's true that I am always with you, at least deep down my heart,
Though I couldn't be so, most of the time.
... 


2017년 1월 10일 화요일

Song & Stories/ Pour que tu m'aimes encore


─ A video about the making of the song:




─ Sung by the composer Jean-Jacques Goldman:


─ Lyric:

J'ai compris tous les mots, j'ai bien compris merci
Raisonnable et nouveau, c'est ainsi par ici
Que les choses ont changé, que les fleurs ont fané
Que le temps d'avant, c'était le temps d’avant
Que si tout zappe et lasse, les amours aussi passent
Il faut que tu saches

J'irai chercher ton cœur si tu l'emportes ailleurs
Même si dans tes danses, d'autres dansent tes heures
J'irai chercher ton âme dans les froids dans les flammes
Je te jetterai des sorts pour que tu m'aimes encore
Pour que tu m'aimes encore

Fallait pas commencer, m'attirer me toucher
Fallait pas tant donner, moi je sais pas jouer
On me dit qu'aujourd'hui
On me dit que les autres font ainsi
Je ne suis pas les autres, non, non, non
Avant que l'on s'attache, avant que l'on se gâche
Je veux que tu saches

J'irai chercher ton cœur si tu l'emportes ailleurs
Même si dans tes danses, d'autres dansent tes heures
J'irai chercher ton âme dans les froids dans les flammes
Je te jetterai des sorts pour que tu m'aimes encore
Je trouverai des langages pour chanter tes louanges
Je ferai nos bagages pour d'infinies vendanges
Les formules magiques, des marabouts d'Afrique
Je les dirai sans remords pour que tu m'aimes encore

Je m'inventerai reine pour que tu me retiennes
Je me ferai nouvelle pour que le feu reprenne
Je deviendrai ces autres, qui te donnent du plaisir
Vos jeux seront les nôtres, si tel est ton désir
Plus brillante, plus belle, pour une autre étincelle
Je me changerai en or pour que tu m'aimes encore
Pour que tu m'aimes encore (4x)
Tu m'aimes, tu m'aimes, tu m'aimes encore, encore
Ooh~ tu m'aimes encore, tu m'aimes encore


─ Sung by Dion:



─ Dion w/ Goldman's acoustic introduction:





Song/ Sous le Vent



2017년 1월 9일 월요일

[법률상식] 경매 절차 중 매각결정


출처: 법원경매정보 > 6. 매각 결정 절차


법원은 지정된 <매각결정기일>에 이해관계인의 의견을 들은 후 매각허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매각허가 여부의 결정에 불복하는 이해관계인은 즉시항고를 할 수 있습니다.

(1) 매각기일 및 매각허부 결정

법원은 매각결정기일에 매각허가에 관한 이해관계인의 의견을 듣고 직권으로 법이 정한 매각 불허가 사유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다음, 매각허가결정 또는 매각불허가결정을 선고합니다.

(2) 매각허부에 대한 즉시항고

이해관계인은 매각허가 또는 매각불허가의 결정에 의하여 손해를 볼 경우에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습니다. 매각허가에 정당한 이유가 없거나 결정에 적은 것 외의 조건으로 허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매수인 또는 매각허가를 주장하는 매수신고인도 즉시 항고할 수 있습니다.

즉시항고를 하려는 항고인은 매각허가 여부의 결정을 선고한 날부터 1주일 안에 항고장을 원심범원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항고장에 항고이유를 적지 아니한 때에는 항고인은 항고장을 제출한 날부터 10일 내에 항고이유서를 원심법원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매각허가결정>에 대하여 항고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보증으로 매각대금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금전 또는 법원이 인정한 유가증권을 공탁하여야 합니다.

  • 보증의 제공이 없으면 원심법원은 항고장을 접수한 날부터 7일 이내에 결정으로 즉시항고를 각하한 다음 경매절차를 계속 진행합니다.
  • 채무자나 소유자의 즉시항고가 기각된 때에는 항고인은 보증으로 제공한 금전이나 유가증권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하고, 이는 배당재단에 편입되어 배당의 대상이 됩니다. 
  • 채무자 및 소유자 외의 사람이 한 항고가 기각된 때에는 항고인은 보증으로 제공한 금전이나 유가증권을 현금화한 금액 가운데 항고를 한 날부터 항고기각결정이 확정된 날까지의 매각대금에 대한 법정이자(연 20%의 비율에 의한 이자) 부분에 대하여는 돌려줄 것을 요구할 수 없으므로 그 지연손해금만이 배당할 금액에 포함되고, 나머지는 보증제공자에게 반환됩니다.
CF. 매각결정기일:
매각을 한 법정에서 최고가 매수 신고인에 대하여 매각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날로[,] 매각법정에서 선고한 후 법원게시판에 공고만 할 뿐 매수인, 채권자, 채무자, 기타 이해관계인에게 개별적으로 통보하지 않는다.(매각기일로부터 통상 7일 이내)
CF. 매각허가결정:
매각허가결정이 선고된 후 1주일 내에 이해관계인(매수인, 채무자, 소유자, 임차인, 근저당권자 등)이 항고하지 않으면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된다. 그러면 매수인은 법원이 통지하는 대금지급기한 내에 매각대금(매수보증금을 공제한 잔액)을 납부하여야 한다. 대금지급기한은 통상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된 날로부터 1개월 이내로 지정한다. 
* * *

CF. 자꾸만 커지는 배당재단, 그 이유는? (출처: 태인 칼럼, 2013년 1월 29일)

※ 발췌:
( ... ) 즉시항고를 할 때 매각 불허가 결정에 대해서는 별도의 보증의 제공을 요하지 않지만 매각 허가 결정에 대해서는 보증의 제공을 요하게 되는데, 이때 보증으로 제공해야 할 금액은 매각대금의 10분의 1이다. 이 항고 보증금은 이해관계인 중 소유자와 채무가가 한 항고가 기각된 때에는 그 전액을 몰수하고, 나머지 이해관계인이 한 항고가 기각된 때에는 ( ... )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항고 보증금 전액이 ( ... ) 배당재단에 편입되게 되는 셈이다. 이 제도는 무분별한 항고를 통해 경매절차를 지연시키는 행위를 방지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도입해 나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사안에 따라서 이해관계인이 부득이 또는 고의적으로 즉시항고를 하기도 한다. ( ... ... ) 

2017년 1월 8일 일요일

2017년 1월 4일 수요일

[발췌: 성선제 교수] 국가의 실패와 포용적 제도


출처: 대전일보, 2017년 1월 4일

* * *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에 걸쳐 있는 노갈레스라는 도시는 담장 하나로 미국과 멕시코 두 나라로 나뉘어져 있다. 미국 주민은 평균 소득이 4만 달러도 넘지만 멕시코 주민은 소득수준이 그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인종과 역사와 문화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의 극명한 대조는 오로지 제도의 차이가 지금의 격차를 유발하였음을 똑똑히 보여준다. 한밤중에 내려다본 한반도의 북쪽은 암흑천지이지만 남쪽은 눈부시게 빛난다. 이 엄청난 격차 역시 지리나 문화가 아니라 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두를 끌어안는 포용적인 정치·경제 제도는 발전과 번영을 불러오고 소수의 엘리트만을 위한 수탈적이고 착취적인 제도는 정체와 빈곤을 낳는다. 포용적인 제도는 소수의 엘리트에게만 기회를 주는 것이 아니고, 누구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유인을 제공한다. 국가가 실패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이런 유인을 말살하는 수탈적 제도가 있기 때문이다.

( ... ... )


[발췌: 정희진 선생, 강연] "사랑받을 때의 태도를 보면 그 사람의 인격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랑받음'은 당연한 것이 아니에요"


출처: 경향신문, 2015년 4월 29일.

여성학에 깊이 관련되어 있어서 그런지, 아니면 이야기의 전개 속도가 아주 빨라서인지 잘 이해하지 못할 부분들이 있어서 언제 다시 읽어보려고 급하게 발췌식으로 메모해 둔다.

* * * 

( ... ) 굳이 말한다면, 사랑에서의 성공은 상호 성장을 의미하는데, 매일 매력을 갱신하는 사람은 드물죠. ( ... ) 게다가 동시에 두 사람이 일신우일신, 발전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죠. 오래가는 게 사랑이 '잘 된' 걸까요? 오래가는 사랑도 없어요. 회자정리(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진다)를 거스르는 관계는 없습니다. 우선, 누구나 죽잖아요?

그래서 전, 사랑에 대해 고민하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사랑이 뭐가 새삼스럽습니까. 다 안 되잖아요. 그냥 욕망이 있죠.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이 사랑이라는 제도를 작동시키죠.

사랑은 일단 '제도'입니다. 제도에는 규범이 있죠.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 또한 강제가 있고요. '이렇게 하면 된다, 안 된다'. 그리고 구속력이 있습니다. 둘째로 사랑에는 '정상'과 '비정상'이 있습니다. ( ... ) 세 번째로 사랑에는 '윤리학'이 있습니다. 사랑과 존중, 폭력, 착취의 관계죠.

( ... ) 비정상은 '변태'가 아니라 제도 밖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 ... )

( ... ) 사실, 사랑의 범위와, 실제 행위는 엄청나게 넓지만 규범적으로 용인하는 사랑은 매우 협소합니다. 제도 밖의 사람이 힘들면서도 열정적인 이유는 규범을 거스르는 용기와 매력이 있기 때문이죠. ( ... )

( ... ) 연애 중인 많은 젊은이들이 '밀당'에 대해 관심이 많죠. 저는 밀당을 아주 싫어합니다. 일단, 밀당의 전제는, 더 사랑하는 쪽이 더 헌신하는 쪽이 약자라는 거죠. 연애에서조차 권력자가 되고 싶은 거죠. 연애 관계에서도 그렇지만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도 밀당이 있잖아요. ( ... ) 저는 밀당 대신 협상을 제안하고 싶어요. 제가 밀당을 싫어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노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피곤해요. ( ... )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 밀당에 힘을 쏟는 대신에 그 시간에 다른 생산적인 일을 하자는 거죠. 밀당은 굉장한 여성성을 필요로 해요. 여자들이 대체로 잘하죠. 밀당의 핵심은 이중성과 모순성인데요, 왜 여성이 강하냐면 ( ... ) 여성의 성역할 노동과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 ... ... )

저는 '밀당을 잘 해야 연애를 잘한다'는 것도 잘못된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명언이 있어요. '남자들이 말이 없는 것은 과묵해서가 아니라 화제가 없어서 혹은 무식해서다'. 말 많은 남자가 훨씬 낫습니다. 말 없는 남자는 별다른 이유가 없어요. 오히려 위험한 남자입니다. 성폭력/가정폭력 상담을 많이 하다 보니 '누가 안 때릴 남자냐' 이런 질문을 많이 받는데요, 그건 알 수가 없어요. 하지만 어떤 남자랑 식당을 갔는데 종업원을 대하는 태도 같은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사실감은 잡히죠. 제가 맨날 주장하는 게 '사랑'보다는 '존중'이거든요. 존중이 훨씬 어려워요.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밀당엔 더 사랑하는 사람이 '패자'라는 전제가 있어요. 실연의 고통을 인격이 성장이나 예술로 승화시키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니죠. 사랑한 사람과 사랑받은 사람 중에 누가 더 성장할 것 같아요? 사랑한 사랑이 성장하죠. 모든 문학 작품은 '그가 나를 떠났도다, 내가 남겨졌다' 이렇게 남겨진 사람의 시점이죠. '내가 너를 버렸도다' 이런 관점으로 쓰인 작품은 전 세계에 하나도 없습니다. 사랑은 받은 사람은 언어가 없어요, 더 많이 사랑한 사람이 언어를 가질 가능성이 높죠.

( ... ... )

( ... ... )

이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1. 사랑은 권력 관계, 즉 힘의 관계다. 이 얘기는 사랑은 정치적 관계이고 정치적 의제라는 겁니다. 다시 말해 인권, 민주주의의 문제라는 거지요. 사랑 나쁘게(?) 하는 남성이나 여성은, 윤리의식이 낮은 사람이고 인권 의식이 없는 사람입니다.

권력을 다른 말로 하자면 사랑은 곧 '자원 혹은 매력의 교환'을 의미합니다. 무조건적으로 눈이 먼다는 건, 신화입니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생각하는 낭만적, 배타적 1:1 사랑은 자본주의 시대의 산물입니다. 생긴 지 200년밖에 안 됐어요. 개인이란 개념이 생기면서 연애라는 개념도 생겼죠. 사랑은 자연 현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이고] 역사[적인 현상이]라는 겁니다. 문제는 자원과 매력이 성별화되어 있다는 것인데요, 이 때문에 많은 남성과 여성이 고통을 받습니다. 보통 남성의 매력은 돈과 짛식, 여성의 매력은 외모라고 여겨지죠. ( ... ) 그만큼 사람의 성립 자체가 사회적 행위라는 겁니다.

제가 사랑은 '자원'의 교환이라고 말했는데 자원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캐릭터, 인격, 여러 가지 그 사람만의 고유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고유성은 개인적으로 판단하는 게 아니고요, 사회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고유성은 이것(남자는 돈과 지식, 여자는 외모)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는 상대에게 대체되지 않는 고유성을 원하지만 그런 사랑 주실 분은 신밖에 없어요. '법 앞에 평등', '신 앞에 평등' 이게 그런 뜻이거든요. 내가 어떤 모습을 가져도 사랑한다? ( ... ... ) 제 얘기는, 우리가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그 자체를 당연시 하지는 말아야 한다는 겁니다.

상대방한테 사랑이나 매력을 느낄때, 그건 '순수한' 감정이 아니에요. 사랑이 순순하다고만 생각하면 사랑의 어려움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순수한 게 원래 없는데, 특히 사랑이 제일 순수하지 않아요. 젊은 이성애의 경우 더욱 더 그래요. ( ... ... ) 사랑이 '힘의 관계'라고 얘기하는 건 그것에 대한 성찰을 해보자는 뜻에서입니다. 나는 이 사랑을 순수하게 생각하는데 '과연 상대가 10살 많아도 좋아했을까' 이런 가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고유한 그 사람'은 없다는 겁니다. 우리는 다 조건의 산물입니다.

2. 인간의 인격은 사랑받을 때 태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사랑할 때 태도는 늘 고귀합니다. 그런데, 사랑받을 때는 어떤가요. 특히 내가 사랑하지 않는데 상대방이 나를 사랑할 때 태도가 중요합니다. ( ... ... ) 제가 사랑은 권력 관계라고 강조했지만, 이건 새삼스러운 상투적인 말이죠. 다들 사랑받으면 권력을 부리잖아요.

3. 자기 모멸감으로만 안 끝나도 성공한 사랑입니다.

상처가 없는 사랑이 있을 수 있나요. 문제는 상처로 계속 갖고 갈 것이냐 아니면 성숙의 자원으로 삼을 것이냐 입니다. ( ... ... )

제 생각에는요, 그래도 상대가 좋은 사람이었다면, 그 정도면, 헤어져도 '대성공'이라는 겁니다. 자기 모욕만으로 끝나지 않아도 성공한 사랑이에요. 특히 여성에게 이성애는 동일시 감정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가 괜찮았다면 상처가 덜해요. 그런데 '거지 같은 남자'였다면, 정말 나쁜 사람이었다면 상처가 깊죠. 저런 인간을 사랑하다니 ... 수치심이 남죠. 실연의 추억이냐, 악몽이냐. 그게 나한테만 달린 문제가 아니므로 행운을 빌어야죠.

<질의응답>

질문: 강의 초반에 헤어질 때의 모습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는데, 헤어질 때 성숙하다는 건 어떤 걸 말하는 걸까요?

답변: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두 가지. 끝났으면 끝났다고 얘기를 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취할 게 있으니까 그냥 놔두는 사람이 있어요. 상대를 희망 고문과 미스터리로 고민하게 하는 게 가장 저질입니다. 또 하나는 좋은 이미지로 남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나쁜 여자, 나쁜 남자 되기 싫어서 질질 끄는 경우 있잖아요. 이별은 정산입니다. 플러스 마이너스가 있는데, 이익만 남기려고 하는 것은 망상이죠. 이성 관계에서 좋은 인상으로만 남으려는 것, 이것은 인간의 가장 추잡한 욕망입니다. 저는 의사표현을 분명히 할 것, 좋은 사람으로 남고 싶은 욕망을 버릴 것, 이렇게 두 가지 꼽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