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문:
- Episodes of below-full employment do lasting damage to productivity, equity, and opportunity.
여기서 episodes와 lasting은 암묵적인 대조를 이룬다. episode는 비교적 짧은 상황임을 어휘 속의 묵시적 의미로 담고 있고, lasting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도록 해를 끼치는다는 명시적 표현에 활용된 어휘다.
문단의 첫머리를 이루는 이 문장이 해당 문단의 결론을 담고 있으니 아래에 복기하는 이 문단은 두괄식이다. 두괄식 문단의 첫 문장이니만큼 첫 문장의 마침표가 찍히기 전에 독자들 머릿속에 문단 전체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선명하게 그려지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효과적인 읽기를 '생산하는' 길이다.
Moreover, episodes of below-full employment do lasting damage to productivity, equity, and opportunity. (a) New workers, such as recent graudates, who enter the labor market during a recession face weak earnings potential even a decade later. (b) Wage erosion in a recession will not necessarily be offset by wage growth in an expansion. (c) An unemployed worker will find it harder to subsequently find employment and may even drop out of the labor force. (d) In bad times, lower-income households may underinvest in education and human capital formation.
더욱이 완전 고용에 미달하는 상황이 잠시만 지속되어도 생산성과 형평성,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기회에 오래도록 해를 끼친다. (a) 가령 최근 졸업생들처럼 처음으로 구직하는 신규 노동자들이 불황기에 노동 시장에 진입하면, 십 년이 지나도 부진한 소득 잠재력을 면치 못한다. (b) 그리고 불황기에 임금이 깎이고 나면 호황기의 임금 상승으로 반드시 상쇄되지는 않는다. (c) 실업에 내몰린 노동자는 다시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지고 심지어 경제 활동 인구에서 영영 탈락하기도 한다. (d) 또 경기가 안 좋을 때는 교육과 인적 자본 형성에 대한 저소득 가계의 투자가 충분하지 못한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 Rewriting the Rules
즉 (a), (b), (c), (d) 네 문장은 모두 단기적인 상황이 어떻게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지를 예시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