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5월 30일 수요일

[메모]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

자료: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한국은행, 2010)


※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또는 국내총소득(GDI: gross domestic income)은 한 나라의 경제적 영역 내에 거주하는 가계, 기업, 정부 등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한 결과 창출된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해서 합산한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외국인(비거주자)이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소득도 포함된다.

한편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가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이 지표에는 국외로부터 자국민(거주자)이 받은 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은 포함되는 반면에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비거주자)에게 지급한 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은 제외된다. 다시 말하면 국민총소득은 국내총생산(GDP)에 국외순수취 요소소득을 더한 것이다.

2008년중 우리나라의 국내총소득(GDI) 1,026조 4,518억원으로 이 중에는 외국의 생산요소로 만들어진 부가가치 18조 4,577억원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국외의 생산요소 제공자에 게 지급하여야 할 요소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을 산정할 때에는 제외되어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우리나라의 국민이 외국에 노동,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 즉 국외수취요소소득 26조 1,213억원은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2008년중 국민총소득(GNI)은 국내총소득(GDI)에 국외수취요소소득을 더하고 국외지급요소소득을 뺀 1,034조 1,154억원이 된다.



※ 실질 국내총소득(GDI)과 실질 국민총소득(GNI)

1993 SNA에서는 실질 총량지표를 생산지표인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소득지표인 실질 국내총소득(GDI), 실질 국민총소득(GNI)으로 구분한다. 실질GDP는 생산활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생산지표인 반면 실질GDI 또는 실질GNI는 생산활동을 통하여 획득한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지표이다. 실질소득은 기준년의 변경, 실질화 방법 등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그동안 실질소득지표를 명시하지 않고 실질GNP로 대용하여 왔으나 1993 SNA에서는 실질소득지표로 실질GDI와 실질GNI를 편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생산지표인 실질GDP를 소득지표인 실질GDI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교환되는 상품간의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구매력의 변동분, 즉‘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실질 거래손익’을 감안해야 된다. 그런데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실질 거래손익은 국민경제전체로 볼 때 거주자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손실과 이익이 서로 상쇄되나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무역인 경우에는 손실과 이익이 상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국민경제전체로 볼 때 상대가격변화에 따른 실질 거래손익은 무역에서만 발생하므로 이를‘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이라 한다. 또한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은 수출상품과 수입상품 총량이라는 두 상품군간의 교역조건 변화로 발생하는 실질 무역손익으로서 이는 총량(국민경제전체) 수준으로만 파악되지 소비나 투자지출의 주체인 가계나 기업 등의 제도부문별로는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반영한 총량지표인 실질GDI와 이를 반영하지 않은 실질소비나 투자 등의 부문별 지표와 직접 비교하여 경제현상을 파악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다.

한편 실질GNI는 실질GDI에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감안한 것이며 종전의 명목GNP는 생산물량 변화 이외에 임금 및 기술수준, 기업 채산성, 교역조건 등이 반영되어 있는 명목
소득지표이므로 명칭만 명목GNI로 변경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