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ttp://www.read-kpec.or.kr/USR_main.asp??=BOOK/view&page=5&book_no=26793
지은이: 오충연
(도서출판)월인 | 2001-11-01 | 412p | ISBN : 8984770566
※ 책소개:
국어의 문장에서 격이 형성되는 원리에 대해 통사·의미론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서. 문장이라는 하나의 의미 완결체를 위하여 어휘와 성분들이 어떻게 굴절되고 조직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물과 사태에 대한 모국어 화자의 인지적 구성에서부터 언어적 개념화 그리고 이것이 문장으로 구성되기까지 명사항의 문법화 과정을 설명했다.
- 목차 -
제1장 서설
1. 개념 = 11
1.1. 통합적 성분 이론 = 11
1.2. 주제와 주제구조 = 18
2. 주제와 의미역 = 21
2.1. 주제관계와 의미역 관계 = 21
2.2. 주제의 핵조응과 비핵조응 = 29
3. 주제와 화제 = 38
3.1. 화제와 논항 = 38
3.2. 화제구조와 주제구조 = 44
4. 주제 구성 원리 = 51
5. 이론적 모색 = 56
5.1. 격 이론의 추이와 국어 연구 = 56
5.1.1. 격 이론의 추이 = 56
5.1.2. 국어의 격에 대한 논의들 = 67
5.2. 자연어 문법 모델 = 76
5.2.1. 삼분법적 의미론 = 76
5.2.2. 심층구조와 구문형성 = 83
5.2.3. 문법화의 단계 = 91
제2장 주제와 성분
1. 인지체계와 언술체계 = 97
1.1. 관념적 역할과 문법적 역할 = 97
1.2. 개념적 의미와 실제적 의미 = 108
2. 어휘와 통사자질 = 114
2.1. 어휘의 범주화와 논항 및 성분의 성립조건 = 114
2.2. 어휘 체계와 자질의 명세화 = 121
2.3. 어휘 통사자질 = 132
2.3.1. 동사의 결합가와 서술구조 = 132
2.3.2. 명사의 결합가와 명사구 구조 = 139
3. 성분과 계층 = 146
3.1. 국어의 격자질과 의미역 = 146
3.2. 의미역 계층과 주제계층 = 155
4. 비핵투사와 서술구조의 변환 = 165
4.1. 비핵투사(Non-Head Projection) = 165
4.1.1. 결합가투사 = 170
4.1.2. 변격투사 = 174
4.2. 비핵투사의 일반화 = 177
4.2.1. 동사 복합과 논항구성 = 177
4.2.2. 동사구 보문 : 내포문 주어 이동설의 해체 = 181
4.3. 비핵투사의 통사론적 의의 = 189
제3장 격중출
1. 격중출에 관한 논의들 = 193
2. 이중주어 = 200
2.1. 주어의 통사적 성격 = 200
2.1.1. 주어와 화제어 = 200
2.1.2. 화제화와 주제화 = 207
2.1.3. 주어의 의미역 = 208
2.1.4. 주어의 성분 지위 = 212
2.2. 이중주어문의 유형과 의미구조 = 219
2.2.1. 이중주어문의 유형 분류 = 219
2.2.2. 어휘항들의 의미관계 = 226
2.2.3. 제1주어의 화제성과 제2주어의 서술성 = 237
2.2.4. 정태성과 의미역 = 242
2.3. 이중주어문의 주제구조 = 245
2.3.1. 이중주어문의 주제 조응 특성 = 245
2.3.2. 이중주어문의 일치관계 = 252
2.4. 나머지 문제들 = 260
2.4.1. 제2주어의 명사구 구조와 중주어문의 한정체계 = 260
2.4.2. 화제화된 이중주어문 = 263
3. 이중목적어 = 265
3.1. 목적어의 통사적 성격 = 265
3.1.1. 목적어의 의미역과 구성 요건 = 265
3.1.2. 목적어의 논항 특성 = 273
3.2. 이중목적어문의 유형과 의미구조 = 277
3.2.1. 이중목적어문의 유형과 분류 = 277
3.2.2. 어휘항들의 의미관계 = 280
3.3. 목적격 중출문의 주제구조 = 284
3.3.1. 목적격 중출문의 주제 조응 특성 = 284
3.3.2. 소유-소속 관계의 이중목적어 = 289
3.3.3. 처소-도구 교차 대격 구성의 이중목적어 = 291
3.3.4. '-를 하다'의 이중목적어 구성 = 297
제4장 피동과 사동
1. 굴절과 파생 = 305
2. 피동 = 310
2.1. 피동문의 논항 특성 = 310
2.1.1. 피동사의 의미역 구조 = 310
2.1.2. 관념적 역할의 개입 = 317
2.2. 피동문의 주제구조 = 330
2.2.1. 중주어 구성의 피동문 = 330
2.2.2. 목적어 있는 피동문 = 334
3. 사동 = 339
3.1. 단형사동과 장형사동 = 339
3.2. 사동문의 논항구조 = 341
3.2.1. 사동문의 의미역 구조 = 341
3.2.2. 관념적 역할과 의미관계 = 347
3.3. 사동문의 주제구조 = 350
3.3.1. '-이' 파생 사동 = 350
3.3.2. '-게 하다' 사동문 = 351
제5장 문제와 전망
1. 새로운 개념들에 대하여 = 365
2. 정보체계와 성분구조 = 372
2.1. 한정체계와 격 = 372
2.2. 상에 대한 재인식 = 377
3. 새 통사이론의 전망 = 381
참고문헌 = 385
찾아보기 = 39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