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모:
제3절 원가의 개념
1. 역사적 원가와 현행원가
(1) 역사적 원가 (historic cost)
원가는 전통회계에서 평가개념으로 중심적 역할을 해왔다. 원가는 자산이 취득할 당시의 재화와 용역의 교환가격을 표시하는 것으로 전통적 회계에서 자산은 보통 원가로 표시 되었다. 자산은 취득 당시 일단 운가[원가]로 표시하고 그 가치에 대한 변동이 있더라도 원가 자체는 변하지 않고 감가상각 같은 비용 배분 과정을 통하여 그 금액이 감소되어 표시 된다. 그래서 자산은[의] 취득원가(acquisition costs)를[는] 미상각분의 자산(unamortized portion of asset)을[으로] 표시 되었다.
원가는 원래 특정 자산을 얻기 위하여 포기한 경제적 희생( economic sacrifice)을 화폐액으로 표시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가는 발생 당시에 이 원가는 그 자산의 현행가격을 표시 한다고
할 수 있다. .... 자산 평가기준으로 역사적 원가는 전통회계에서 원가기준으로 또 역사적 원가주의로, 원가원칙으로 불리어져 왔다. ... 결국 역사적 원가주의 하에서의 평가는 경제적 실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합리적 자원배분의 실패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영국의 Top-down 방식이 역사적 원가에 근거한 방법이나 최근에는 현행 원가의 자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가 요금산정시의 방법으로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는데 그 이
유는 현행 재무회계시스템이 역사적 원가에 근거하여 발생주의( accrual basis)에 입각한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2) 현행원가(current cost)
현행원가(current costs)는 현행입력원가(current input costs)라고도 하는데 이는 평가대상인 자산과 동일한 자산 또는 그 등 가격(equivalent)을 얻기 위해 현재에 시장에서 교환될 수 있는 가격을 말한다. 즉, 최초 구입 당시의 자산의 형태로 현재의 시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자
산의 가격이다. 예컨대, 대체원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대체원가(replacement costs)는 “현재상태의 시장에서 동일한 자산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화폐액”이다. 현재의 시장에서 기업이 소유한 자산과 동일한 자산을 구입하는 취득원가로 기업이 소유한 자산을 대치한다는 관점에서 대체원가라고 한다. 이 용어의 구분은 같은 뜻이나 유럽의 경우에는 대체원가를 더 많이 사용 하고 영.미 의 경우에는 현행원가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대체원가는 재생산원가( reproduction cost)와는 다른 것으로, 현재 소유한 자산과 동일한 자산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되는 원가(재료비, 노무비 등)를 추정 한 것이다.
대체원가와 재생산원가는 현재 소우한[소유한] 자산과 동일한 자산이나 새로운 자산을 구입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대체원가는 구입에 의한 자산 취득이고 기술 변화를 고려하나 재생산원가는 생산에 의한 자산 취득이고 기술변화는 고려하지 않는다. 대체원가는 몇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Brinkman, Meigs, Moish and Johnson)....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