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국립중앙과학관, http://www.science.go.kr/center/kor/html/dbinf/sci/speciality/product_1294.jsp
명주는 견사를 이용해 짠 직물을 말하는데, 특히 강원도 회양지방의 것이 좋기로 유명하다
명주(明紬)는 견사(絹絲)를 이용해 짠 직물을 말하는데, 원래는 중국의 명(明)나라에서 생산되는 견직물을 가리키는 말이었다.명주는 특히 강원도 회양지방의 것이 좋기로 유명한데, 그에 관한 기록은 <규합총서(閨閤叢書)>에도 언급이 되어 있다.우리나라에서 누에를 쳐 명주를 길쌈한 것은 이미 삼한시대부터 일반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삼국시대 상류층이 중국산 명주나 비단을 수입하여 의복의 재료로 삼아 명주를 길쌈하는 기술이 크게 발전하지 못했고, 이 상태가 고려시대까지 지속되었다. 조선왕조에서는 정부차원에서 명주 길쌈을 권장하여 각 지방에 잠실(蠶室)을 설치하고, 종상법(種桑法)을 반포했으며 관복(官服)을 국내산 명주로 바꾸어 짓게 했다. 또 성종대에는 후비들의 친잠례(親蠶禮)가 행해졌다. 그러나 왕실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층에서는 명주를 고작 의복 안감정도로 사용했을 뿐 겉감으로 사용한 예는 거의 없었다. 반면 서민들에게는 혼수감이나 명절복에 쓰였던 가장 호사스러운 옷감으로 널리 애용되었다.명주의 길쌈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친다.
누에치기 : 양잠이라고도 하며 춘잠(春蠶), 하잠(夏蠶), 추잠(秋蠶)으로 나뉜다. 뽕나무를 심어서 뽕잎으로 치는데, 누에알을 받아내고 부화된 어린 누에를 키워 고추를 얻는다.
실뽑기 : 따낸 고치로부터 실을 뽑는다. 가마솥에 물을 부은 후 물이 끓을 때 고치를 넣어서 나무젓가락에 실을 걸어 올리는 방법과, 가마솥 둘레에 진흙을 개어 바른뒤 가마솥이 뜨거워졌을 때 물을 부어서 실을 뽑는 방법이 있다.
실내리기 : 왕체의 날개로부터 거둔 실을 실 솥에 1번 담가 올이 풀어지게 한 다음 잘 말려 돌 곁에 올린다. 한 동안 말뚝에 실을 걸어두었다가 타래를 만들어준다.
명주매기 : 타래 지은 실을 다른 직물의 길쌈 때와 같이 풀칠을 해 말려서 도투마리에 감아준다.
명주짜기 : 도투마리에 감긴 명주실을 베틀에 올려서 잉아를 걸고 실꾸리를 북에 넣은 다음 명주를 짠다. 명주는 특히 올이 가늘어 가장 굵은 것이 10새이고 보통이 12-13새이며, 15새 정도가 되어야 상품으로 친다.명주의 질은 산지의 기후조건이나 누에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지방에 따라 천의 넓이가 다를 수도 있다.명주로 옷을 지을 때는 물에 담가 풀을 다 뽑고 그늘에 널어 물기를 말려 다시 풀을 한다. 이것을 그늘에서 물기가 가실 정도만 말려, 다시 거두어 손으로 만지고 발로 밟아, 다듬이질, 홍두깨질을 하여, 다리미로 다려서 사용한다. 풀은 녹말풀 등을 사용하며 실백을 갈아넣어 실백향이 은은히 풍기게도 하였다.
- 색깔은 흰 명주 그대로 짓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가지 꽃을 이용해 빨강, 자주, 초록 등의 물을 들여 짓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ㆍ고대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2 - 의식주. 일상생활』, 1982ㆍ민길자, 『직물의 종류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논총 6집, 1987ㆍ문화재관리국, 『한국 민속종합조사보고서-직물공예편』, 1987ㆍ브리태니커, 동아일보, 『브리태니커 세계대백과사전』, 1994ㆍ한국 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