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BOK 이슈노트]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시장의 최근 동향 및 평가 (2014년 1월 27일)
지은이: 박종열(한국은행 금융검사분석실 분석기획팀장), 김민지(한국은행 금융검사분석실 분석기획팀 조사역)
※ 요약:
국내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시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환율 급등 과정에서 불거진 KIKO 문제 등으로 거래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2013년 들어 거래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통화옵션의 내재변동성이 하향 안정 추세를 보인 데다 헤지 비용 절감(수요측면) 및 고수익 창출 기대(공급측면) 등 상품 고유 특성이 가세한 결과로 분석된다. 현재의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거래규모에 비추어 주 고객이 경영상황이 양호한 대기업이고 대부분의 기업이 파생상품거래 관련 헤지 비율 규제를 적용받는 점 등을 감안해 볼 때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통화옵션 시장의 유동성이 낮아 향후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관련 거래규모가 확대되고 리만사태와 같이 예상치 못한 외부충격 발생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변동하는 경우 동 상품이 위험전이 채널로 작용하여 금융시장 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통화파생상품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은행은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기업 등 고객은 위험 감내 능력 및 Tail risk 등을 감안하여 헤지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금융당국도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발췌:
Ⅰ. 검토배경
국내 장외 파생상품 시장(국내은행 및 외은지점 기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환율, 금리 등 기초자산가격 변수의 변동성 축소, 글로벌 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거래규모가 계속 감소하여 왔다. 2013년 들어서는 미국의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축소 대두 등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정성 증대 등으로 거래규모가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거래유형별로도 정형 및 비정형 파생상품 모두 지난해 들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3.6월말 거래잔액 기준으로 국내 장외 파생상품 시장은 정형 파생상품이 대부분(98.1%)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정형 파생상품은 미미한 수준(1.9%)이다(그림1).
( ... ... )
비정형[주]1) 파생상품은 이자율 및 통화 상품으로 대별되는데, 비정형 이자율파생상품은 구조화 채권 발행에 대한 헤지 물량이 대부분이어서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은 수출·입 기업들이 환헤지 목적으로 활용하는 통화옵션이 대부분으로 정형 파생상품에 비해 가격 변동성이 커서 시장 및 거래상대방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 또한 장내 통화옵션 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헤지가 제한적이고 위기 발생 시 주요 거래상대방인 해외은행의 신용공여한도(Credit line)에 크게 의존하는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주]1. 현금흐름의 구조가 정형 파생상품(일반적인 스왑, 옵션 등)과 달리 특이한 형태를 갖고 있거나 여러 개의 정형 파생상품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상품을 말하며, 평가가격 산출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시장[주]2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래가 감소 또는 정체상태를 보이다가 2013년 들어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그림2).
[주]2. 2013.6월말 파생상품 거래잔액이 1,000억원 이상인 41개 은행 기준(국내은행 15, 외은지점 26)으로 작성하였다.
( ... ... )
또한 파생상품 관련 거래상대방 리스크량을 나타내는 거래잔액 대비 익스포저 비율[주]3도 비정형 통화파생상품(2013.6월말 2.5%)이 정형 파생상품(0.6%)에 비해 커서 외부 충격 발생에 따른 부실화 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그림3).
[주]3.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잔액 대비 익스포저(current exposure로 potential future exposure 제외, 상계 적용) 비율이다.
( ... ... )
본고에서는 향후 양적완화 축소 및 아시아 신흥국의 금융경제 불안 증폭 가능성 등 대내외 여건 급변 시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관련 리스크가 커질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동 상품의 거래동향 및 증가요인을 살펴보고 잠재리스크를 점검한 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차례:
I. 검토 배경
II.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시장의 최근 동향
III.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관련 잠재 리스크
IV. 종합 평가 및 시사점
<참고 1> 주요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참고 2> 통화옵션 거래에 따른 동적 헤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