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23일 수요일

그래도 옛 여름 같은 한여름

하루가 달리 녹아내리는 북극의 얼음과 수박 뽀개듯 쩍쩍 떨어져 나가는 남극대륙의 모습처럼, 지금 변하고 있는 자연의 모습을 피부로 느낄 수는 없을지도 모르겠다. 그저 뉴스나 미국 항공우주국의 새로운 관측 데이터가 나올 때마다 접하는 자료에 불과한지도 모르겠다.

가만히 내 주위의 기후를 관찰해보면 자연이 변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이 지구에 몸을 실은 지금의 생명체들이 안쓰러워질 때도 있다. 사람을 두고 볼 때도 정상과 비정상을 가르는 기준은 극히 주관적인 것이겠지만, "정상적"이라 함은 대체로 변화가 없을 때다. 사실 인간을 포함해 자연이 유지하는 정상적인 모습은 "하늘 아래 새로운 것 없다"는 "변화 없음"일 것이다. 변화 중에도 똑같은 모습을 유지하는 "항상성 속의 변화"라는 의미에서다.

"변해야 산다"는 게 누가 시작한 말인지는 몰라도, 그렇게 "변해야 산다는 삶"이 "자연의 항상성"으로부터 괴리된 지는 아주 오래된 것 같다. 하지만 별로 오래된 것도 아닐 것이다. 크게 보더라도 기껏해야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이래 100여 년밖에 되지 않은 생활 양식이다(주목해야 할 것은 자본주의 역사 중에서도 1960~1970년대 즈음부터 그 변화가 빨라졌다는 점이다).
놀라운 것은 이 짧은 기간 동안 인간이 변하는 속도만큼이나 자연이 변하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 100여 년의 짧은 시간 동안, 우선은 인간이 험악하게 망가졌고, 그 다음으로 자연이 망가지는 차례를 밟고 있는 중인 게 분명하다.

***

요즈음 장마전선이 오르내리는 와중에, 푸른 산들로 둘러싸인 곳에서 그런 자연을 관조할 기회가 있었다. 저 너머 산등성이 사이의 계곡 여기 저기에서 물기운이 수증기처럼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이 보인다. 물기를 머금은 흙과 풀들의 냄새도 대기를 타고 내 코로 들어온다. 위에서 아래로 한결같이 흐르는 물 소리가 내 귀를 두드린다.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을 노자가 했다지만, 보편적인 자연관에서 나온 이 생각이 어찌 책에만 있을 것이며, 어찌 노자를 들먹여야만 알 수 있는 것이겠는가? 노자가 없었더라도, 아낙네들이 빨래터에서 빨랫감을 두들기면서 졸졸 흐르는 물소리을 듣다가 오고갔을 대화 속에 그 앎이 다 녹아 있었을 거라고 느낀다.

차근차근 망가져가는 지구의 거대한 몸부림의 와중에도 이 반도의 한 귀퉁이에서 잠시나마 접한 푸르름, 촉촉함, 하늘이 무너질 듯 퍼붓는 빗줄기를 산 목숨으로 관조할 수 있는 시간이 고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