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ru89eLMi7_UrxLkyrYoyMfUznrU8XOEeJ4e3k_3mxTYgp_w2btdUbBDEQJhn4VNyW4fiaRYS0n8gkGI8TQPgloHvxVusrJOGdyezVmk4E4ufXK6uFuWV2pb8-eNcpIywx6Blb6ckMn3kh/s400/craftsman.jpg)
- 지은이: 리처드 세넷 (Richard Sennett)
- 제목: 장인(匠人): 현대문명이 잃어버린 생각하는 손
- 원제: The Craftsman (Google books, Amazon)
- 한국어판 출판일/출판사: 2010년 7월 30일, 21세기북스
- 원저 출판일/출판사: 2009년 3월 31일(2008년), Yale University Press / New Haven & London
|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는 크림의 부드러움과 과일, 초콜릿, 설탕 등 각종 향미 재료의 달콤한 맛을 즐깁니다. 우유의 고소함도 한몫합니다. 그러다 보니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근본 중의 근본 재료인 신선한 물의 맛은 못 느낍니다. 우리는 현대사회의 아주 복잡한 시스템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림의 떡이든 진짜 떡이든 고급 주택과 각종 편의시설, 문화상품, 그 밖에 돈으로 누릴 수 있는 인간적인 것들과 비인간적인 것들은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습니다. 이러한 현대문화가 아이스크림이라면, 인간의 노동은 물과 같습니다. 인간의 노동이 어떠해야 하는지, 우리는 선조 때부터 어떻게 일하며 살아왔는지, 지금 우리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물의 맛과 가치를 잊은 채 아이스크림만 찾는 것과 비슷합니다.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The Corrosion of Character)』(원작 1998년, 한국어판 2002년), 『뉴 캐피털리즘(The Culture of the New Capitalism)』(원작 2006년, 한국어판 2009년) 등 다수의 저작에서 꾸준하게 삶의 가치와 일의 의미를 추적해온 리처드 세넷은 그간의 저서 중 가장 공을 들인 이 책 『장인』에서 인간사회 모든 활동 중에서 물과도 같은 근본 재료인 인간의 노동과 일을 추적합니다. 일 자체를 위해서 일을 훌륭히 해내려는 욕망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로 파악하는 세넷은 인간이 일하는 모습을 조명하고자 광활한 시공으로 독자들을 안내합니다. 그러한 흐름을 상고시대 그리스 도공, 로마제국의 이름 없는 벽돌공, 거대한 성당을 지어 올렸던 중세 석공, 르네상스 예술가를 비롯해, 근대의 노동자들과 리눅스 프로그래머, 건축가, 의사 등 현대의 전문 직종에 이르기까지 추적합니다. 일하는 모든 인간 안에서 ‘살고 있지만’, 잘못된 제도와 어긋난 이데올로기로 고통 받는 장인을 불러내 우리와 함께 대화하자고 합니다.
2008년 12월 중순부터 2009년 6월 중순까지 근 6개월을 매달려 번역한 책입니다. 현재 한국어판 출판사에서 출간을 준비 중입니다.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현재 영어 원작 외에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어판이 번역 출간되어 있습니다. 한국어판도 독자들의 사랑을 받기를 기대합니다.(2009년 7월 17일)
| 독자 논평: Elysium, 북모닝CEO, 文字香, 공유와소통의산들바람, 지식사회의화두, 인용, 예병일, 리루, 자연을벗삼아, 달빛자취생, 공감지수만땅, 노동의 재발견, gorinus,
* * *
| 목차:
_ 역자의 말: 장인, 그들은 언제나 일에서 인간을 봤다
_ 1부. 장인
***
※ (익명으로도 덧글을 남길 수 있지만, 구글 계정이 있으시면 "후속 덧글을 이메일로 보내기"를 선택해서 사이트를 다시 방문하지 않고도 전자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구글이 다른 온라인사업자들과 제휴를 넓혀가기를 기대합니다.hs)
_ 프롤로그: 자기 창조자로서의 인간
- 판도라의 상자: 한나 아렌트와 로버트 오펜하이머 | 3 부작 프로젝트:《장인》, 《전사와 사제》, 《이방인》 | 역사에 대한 단상: 찰나와도 같은 시간
1장. 속병 앓는 장인_ 2부. 실기
2장. 작업장
- 현대의 헤파이스토스 | 고대의 도공(陶工)과 리눅스 프로그래머들
- 일할 동기의 약화 | 계획경제와 경쟁으로 망가지는 근로자들의 기강과 사기
- 기능의 골절 | 손과 머리의 분리
- 품질 표준의 갈등 | 정확성과 실용성
3장. 기계
- 길드에 속한 집 | 중세 금세공인
- 나 홀로 마스터 | 장인에서 예술가로 변신하다
- “명인의 비밀은 그와 함께 죽었다” | 스트라디바리의 작업장
4장. 물질의식
- 변형 | 도공 이야기
- 존재 | 벽돌공 이야기
- 의인화 | 물건에서 발견하는 덕과 멋
5장. 손_ 3부. 장인의식
6장. 말로 가르쳐 주는 표현
- 지능적인 손 | 손에서 비롯되어 인간이 되다: 잡기와 촉감 | 미리 움직여 잡다: “프리헨션”, 무언가를 잡는 행위
- 손의 가치 | 손가락 끝에서, 진실성
- 두 개의 엄지 | 조화로부터 협력
- 손-손목-팔뚝 | 힘을 최소한으로 줄여 써라
- 손과 눈 | 집중의 리듬
7장. 의식을 깨우는 도구들
- 할 일을 가르쳐주는 원리 | 말로 하지 말고 보여주라
- 조리 설명서 | 죽은 표상: 닭의 불행 | 공감적 예시: 줄리아 차일드가 설명하는 달뷔프라식 영계요리 | 장면 서사: 엘리자베스 데이비드의 베리숑식 닭요리 | 은유로 가르쳐 주다: 벤쇼 부인의 달뷔프라식 닭요리 조리법
8장. 저항과 모호
- 쓰기 어려운 도구들 | 망원경, 현미경, 메스
- 수리 | 고치면서 탐험하다
- 영험한 도구 | 루이지 갈바니의 불가사의한 전선
- 상상력 깨우기 | 직관적 도약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장인은 저항을 어떻게 다스릴 수 있는가?
- 최소 저항의 궤적 | 사각 상자와 둥근 튜브
- 일을 어렵게 만들다 | 건물외피 작업
- 저항 지역 | 세포벽과 세포막
- 모호 | 모호함을 기획하다: 접경 만들기
- 즉흥 조치 | 계단
9장. 품질을 추구하는 작업_ 결론: 철학하는 작업장
10장. 능력
- 전문성 | 같이 노는 전문가와 따로 노는 전문가
- 강박관념이 보이는 야누스의 두 얼굴 | 두 집의 이야기
- 직업 | 계속 이어가는 삶의 서사
- 일과 놀이 | 실기의 실과 바늘
- 능력 | 초점 맞추고, 질문하고, 문제를 설정하다 | 작동식 지능: 스탠포드-비네 패러다임
- 실용주의 | 경험도 실기다
- 문화 | 판도라와 헤파이스토스
- 윤리 | 자기 일에 대한 자부심
***
※ (익명으로도 덧글을 남길 수 있지만, 구글 계정이 있으시면 "후속 덧글을 이메일로 보내기"를 선택해서 사이트를 다시 방문하지 않고도 전자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구글이 다른 온라인사업자들과 제휴를 넓혀가기를 기대합니다.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