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31일 금요일

2017년 3월 28일 화요일

Music/ On an Overgrown Path: Book I - Leoš Janáček



* * *

게시자: olla-vogala (유튜브, 2015년 10월 10일)
  • Composer: Leoš Janáček (3 July 1854 - 12 August 1928)
  • Performer: Radoslav Kvapil (piano)
  • Year of recording: 1994

On an Overgrown Path (Po zarostlém chodníčku) volume 1, for piano, JW 8/17, written in 1900-1911.

"On an Overgrown Path" is a cycle of thirteen piano pieces written by Leoš Janáček and organized into two volumes, this is the first volume.

Janáček composed all his most important works for solo piano from 1900 to 1912. He probably began preparing his first series of Moravian folk melodies in 1900. At this time, the cycle had only six pieces intended for harmonium: Our evenings, A blown-away leaf, The Frýdek Madonna, Good night!, The barn owl has not flown away! and a Piu mosso published after Janáček's death. These melodies provided the basis for the first volume of "On an Overgrown Path."

Three of these compositions were first published in 1901 with the fifth volume of harmonium pieces Slavic melodies under the title 'On an overgrown path - three short compositions'. The cycle had grown to nine pieces in 1908, and was intended for piano instead of harmonium at that time. The definitive version of the first book was published in 1911. On 30 September 1911, Janáček published the first piece of the second series in the Lidové noviny newspapers. The new series was created in its entirety around 1911. The complete second book was printed by the Hudební matice in 1942. The première of the work took place on 6 January 1905 at the Besední dům Hall in Brno. Less experimental than his later works, these miniatures are reminiscent of Schumann and Grieg, but with the composer's own unique style still evident. They are among the composer's most understated and pained utterances.

Music/ Complete Concert: Cesaria Evora Live D'amore 2004 (1시간 26분)




2017년 3월 26일 일요일

[발췌] 소득 불평등과 재분배의 불평등 교정 수준의 선진권 국가 간 비교



※ 발췌 (excerpts):

1. 출처: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Redistribution Revisited. Luxembourg Income Study Center. May 2015.
지은이: Janet C. Gornick (Director, LIS and LIS Center) and Branko Milanovic (Senior Scholar, LIS Center)

What Figure 1 tells us is that it is not an exceptionally high level of market income inequality that makes US disposable income inequality high (in fact, higheest among these countries); it is the relatively meager level of redistribution. ( ... ... )

At the same time, it is well-established that the US wage distribution is more unequal than wage distributions in many other─esp European─countries. The US' high level of wage inequality is due to both relatively low wages at the bottom and extremely high wages at the top. Wage inequality and market income inequality are not directly comparable, because wage inequality is calculated across wage eaners only, while the market income inequality is calculated across household (incl. those with zero market income) and it includes some capital income. ( ... ) [in the US there is]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wage dispersion but a moderate level of market income inequality. ( ... )

What Figure 1 does not reveal is that the cross-national portrait of market income inequality─and the US' comparative position in particular─shifts when we consider only those households that we expect to be most heavily reliant on market income. Those would be households whose adult members have, for the most part, not yet reached the age when they shift from their "employment years" (i.e., greater reliance on the market) to their "retirement years" (i.e., greater reliance on income transfers).

To assess this more closely, we re-ran the analysis shown in Figure 1, now including only households without persons aged 60 or over. We presents those results in Figure 2. Like Figure 1, the light and dark bars report inequality in market and disposable income, respectively, and countries are ranked by inequality in disposable income.

( ... ... ) All told, when we shift from Figure 1 to Figure 2, the story of US exceptionalism changes markedly. Among American working-age households, in cross-national terms, market income inequality is comparatively high (not moderate) and the level of redistribution is, in fact, moderate (not low).

With Figure 2 in hand, we now look back at Figure 1 and see the US “story” with fresh eyes. We are now attentive to a
crucial fact that is obscured in Figure 1: Americans, overall, shift from reliance on market income to reliance on income transfers later in life and/or less fully than do their counterparts in many other rich countries.


( ... ... )

In the end, our conclusion is that, while Figure 1 is technically accurate, Figures 1 and 2 considered together tell a more nuanced─and more complete─story about income inequality in the US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esp about the comparative strength (or weakess) of redistribution in the US through taxes and transfers.

Our key point is that, when we estimate population-wide redistribution levels (as in Figure 1), the lesser reliance on income transfers by older American households reduced overall level of redistribution in the US relative to other countries. Once older households are removed, market income inequality (for the working age population) in the US is seen to be compartively high─higher than we would conclude from Figure 1 alone.

( ... ... )

2017년 3월 25일 토요일

[발췌] The Retirement Savings Drain (2012)


출처: The Retirement Savings Drain: The Hidden and Excessive Costs of 401(k)s. Demos. May 2012.

지은이: Robert Hiltonsmith

※ 발췌 (excerpt):

The final reason why mutual fund fees are excessive is simply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retirement market itself. In this market, the $9.2 trillion that savers had invested in IRAs and 401(k)-type plans, as of 2010, is divided between thousands of "different" mutual funds in dozens of investment classes, which in reality (by class) differ little from one another: the long-term standard deviation of funds from class-average performance is actually quite low. This dispersion of 401(k) assets actually hurts savers much more than it benefits them. The division of assets amonst so many funds prevents 401(k) savers from benefitting from the lower costs and pooling of risk resulting from "economies of scale."

Large asset pools, such as state and local pension funds, can also use the leverage that comes from size to negotiate lower asset management fees, and administrative costs per investor are naturally lower since those costs are divided amongst a greater number of people. When investors pool their assets and returns are shared evenly, market risk to these investors is reduced, since the asset managers can invest in a more diversified portfolio with a longer-term horizon. Asset managers of large investment pools also have access to certain asset classes, such as private equity and hedge funds, in which small investors are barred from investing.

2017년 3월 24일 금요일

[발췌 메모] 미국 의료보험



※ 발췌 (excerpts):

1. 출처: 미국 의료보험 종류와 용어 해설 (미시 usa, 2010)

플랜 description을 보면 In-Network와 Out-Network로 구분되어 모든 항목들의 커버 여부 및 금액이 다릅니다. In-Network는 그 플랜을 판매하는 보험회사와 계약을 체결한 병원인데, 긴급시 등 경우에 따라 어쩔 수 없이 Out-Network에 갈 경우 In-Network보다 두배 정보 더 부담이 늘어난다는 것도 유의하셔야 합니다.


2. 출처: 미국 의료보험 시스템 총정리 (메디컬한의, 2016)

미국 의료보험은 크게 민영 보험, 공적 보험, 무보험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공적 보험 가입자 비중은 30% 정도(민영 보험과 중복 포함)로 주로 노인Medicare, 저소득층Medicaid, 어린이S-CHIP 등 경제 활동이 없거나 미비한 계층에 제공한다.

( ... ... )

민영 건강보험

민영 건강보험은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HMO),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PPO), Exclusive Provider Organization(EPO), Point of Service(POS)로 나눌 수 있다.

1)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HMO): 반드시 보험사와 계약된 의사를 찾아가야 함. 응급은 예외. 전문 과목의 치료가 필요할 경우, 주치의의 의뢰서(referral)을 받아서 전문의에 가야 함. 이 전문의 역시 반드시 보험사와 계약된 in-network 중에서 찾아가야 한다.


3. 출처: 24화 미국 직장의 의료보험 제도 (임정욱, 박소라)

( ... ) 미국 회사에 입사해서 의료보험을 선택할 때 HMO로 할 것이냐, 아니면 PPO로 할 것이냐는 질문을 가장 먼저 받는다. ( ... ) HMO는 자신의 지정의사(primary doctor)를 정하고 일단은 그 의사만 만나야 한다. 그리고 전문의(specialist)를 만나려면 지정의사의 소개를 통해서 HMO 네트워크 안의 의사만 찾아갈 수 있는 제도였다. ( ... ) PPO는 지정의사가 없이도 PPO 네트워크 안의 의사 누구나 바로 직접 만나서 진찰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PPO 네트워크 바깥의 의사를 만날 경우 추가고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전문의를 따로 만나야 하는 특별한 질병이 없으면 보통 보험료가 저렴한 편인 HMO를 가입한다고 해서 나도 HMO를 선택했다. 그리고 가족 모두 각각 주치의를 정했다. ( ... )

...

2017년 3월 23일 목요일

[용어] 파산, 청산, 존속, 법정관리, 파산 보호



출처: 재정은 어떻게 내 삶을 바꾸는가 (김태일 지음. 코난북스. 2016)


※ 발췌:

( ... ) 일상에서 파산(破産)은 완전히 망했다는 의미로 쓰이는 말이다. 기업에서는 도산(倒産)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법적으로 파산은 채무자가 빚을 갚을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다. 그래서 파산 절차를 밟는다는 것은 재판에 따라 채무자 재산을 모든 채권자들에게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기업이든 지방정부든 도저히 채무를 감당하지 못할 지경이 되면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한다. 법원이 이를 받아들이면 파산 절차가 진행된다. 여기에는 청산존속이라는 두 유혀이 있다. 청산은 신청한 단체의 존재가 없어지는 것, 존속은 채무를 유예하고 자산 매각 등으로 회생하게 하는 절차다. 우리 개념으로는 청산만 파산이고, 존속은 법정관리에 해당한다. 미국에서도 존속 목적의 신청파산 보호(bankruptcy protection) 신청이라고 부른다. 파산, 즉 빚더미에 눌렸으니 망하게 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방정부가 파산 지경에 이르렀을 때는 어떤 선택을 할까. 기업은 도저히 회생할 가망이 없으면 청산해야 한다. 지방정부는 다르다. 빚이 많다고 해서 지방정부를 없앨 수는 없다. 그 지역 공공서비스 제공을 완전히 중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방정부가 자체적으로 빚을 갚지 못할 상태가 되면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한다. ( ... ... )

[발췌] 소득 연계 상환 방식의 보편적 학자금 융자


※ 발췌 (excerpts):

1. 출처: Forget Elizabeth Warren: A Republican from Wisconsin has the best plan for fixing our student debt crisis (Jordan Weissmann | Slate, June 2014)

With summer campaign season underway, the Democrates are looking to rouse young voters by offering them a break on their student debt. At the moment, liberal favorite Elizabeth Warren is championing a bill that would let borrowers save money by refinancing their old educatio loans at today's low interest rates. By funding it with a tax hike on millionairs, however, the Massachusetts senator has all but guaranteed that the legislation will die should it ever reach the Republican-controlled House.

In other words, the bill is a glorified talking point. As President Obama put it when he backed the proposal this weekend, Warren's bill will force the GOP to decide whether it wants to "protect young people from crushing debt, or protect tax breaks for millionaires." In the meantime, the only real action is coming from the White House, which announced on Monday a series of modest but useful executive actions to help borrowers.

There's a bit of irony here. While Democrats are busy turning America's student debt crisis into campaign fodder, a Republican may actually have the single best plan for fixing it. His solution lacks the populist punch of Warren's bill. But the idea could save millions of future borrowers from financial ruin without costing taxpayers a dime─which means that, it it could get enough attention, it might also stand a small change of becoming law.

Sinc 1983, Tom Petri, a low-key House GOP congressman from Wisconsin, has advocated an idea that education wonks sometimes call "universal income-based repayment." It would completely scrap the convoluted system that former students currently rely on to repay their loans. Instead, college debt woudl work like just tax withholding. A borrower would simply pay a set percentage of her monthly earnings to the government, deducted straight from her paycheck.

Countries incl. Brita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lready take a similar approach. And, as many education experts have agreed, bringing it stateside would likely cure some of the worst symptoms of America's student loan binge. It would ensure that every single borrower's payments stayed manageable and virtually eliminate the risk of delinquencies and defaults.

Think of it as the financial equivalent of putting up gutter rails in a bowling alley─it's a foolproof plan to stop borrowers from veering into trouble.

For ex., let's say a student borrowed $26,000 for college, at an average interest rate of about 4.7%. On a standard 10-year plan, she would owe $272 per month, every month. It might be affordable. It might not. On an income-based plan, however, she might owe 15% of her disposable earnings instead. With an adjusted gross income of $25,000, her bill might come to about $94 per month; at $38,000, it would be closer to $250. And if her earnings fell below a certain threshold, she'd pay nothing at all until her income rebounded.

( ... ... )

To understand why it would be such a sea change to make income-based repayment the default option, we need to talk about the complicated reasons why the U.S. is facing a student debt crisis to begin with. The first cause is obvious: Students are borrowing more than ever for school. Costs have whirled out of control across higher education, while unscrupulous for-profit schools in particular have made a killing overcharging millions of working-class students for possibly worthless degrees.

But the sheer scale of the student debt crisis is more mysterious than it may look at first. Neither the amount of debt that students pack on nor the shoddy job market of the past few years can fully explain why so many Americans are falling behind on their government loans. Of those borrowers who began repaying in 2010, almost 15 percent defaulted within three years, meaning they went at least nine months without paying. Last August the Consumer Financial Protection Bureau estimated that 6.5 million borrowers total were in default on their federal education loans—roughly equal to the populations of Los Angeles and Chicago combined.

This is both depressing and a bit odd. Given that student loans generally can’t be discharged in bankruptcy, defaulting on them doesn’t make much financial sense. The government will take you to court, garnish your wages, and demolish your credit rating long before it ever lets you off the hook on your college debt.

( ... ... )


2. 출처: Enroll All Student-Loan Borrowers in Income-Based Repayment, Report Says (Kelly Field | Young Invincibles, Mar 2014)

The federal government should automatically enroll all borrowers in an income-based repayment plan and deduct their payments through employer withholdings, according to a new report by a consortium of five student-aid advocacy and research groups.

The report, produced for the second round of 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s “Reimagining Aid Design and Delivery” project, is the latest to argue for “universal IBR”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menu of nine repayment options. Half of the 16 grantees in the first round of the Gates project suggested some variation on the idea.

( ... ... )

Under the most generous income-based repayment program available now, Pay as You Earn, borrowers pay 10% of their discretionary income each month, and monthly payments are capped at the standard 10-year repayment amount. Any remaining loan balances are forgiven after 20 years (10 for borrowers in public service).

But while student debt levels are at an all-time high, enrollment in income-based repayment plans has remained low, at roughly 11 percent of borrowers.

Proponents of universal IBR attribute that pattern to the complexity of the current income-based programs and argue that automatic enrollment would ensure that all borrowers benefited, “not just those who are financially savvy and persistent enough to discover and navigate the programs,” as the report puts it. They add that automatic IBR would virtually eliminate delinquencies and defaults, which have been on the rise in recent years.

( ... ... )


3. 출처: From Income-based Repayment Plans to an Income-based Loan System (Robert G. Sheets and Stephen Crawford, Apr 2014)

Debates about income-contingent loan systems include debates about the student populations that should be eligible for and covered by them. Most current and proposed models, incl. international ones, differ in two important ways. The first concerns whether the system should be "universal." That is, should it cover all students, regardless of income or other characteristics, and should it apply to all the types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covered under the existing student aid system, incl. undergraduate, graduate and professional programs?

The second way concerns whether there should be different icome-contingent programs within larger system for different segments of students and institutions, with diffeent features reflecting different goals and risk factors. This model has been adopted by Australia and is evident in the current mix of income-contingent programs in the U.S. We favor a single, comprehensive income-based system that is universal without segmentation, with the same design features applying to all students across all types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now eligible for federal student aid, incl. those in graduates and professional programs.

( ... ... )

As discussed earlier, income-contingent repayment systems take many forms. Some of the most promising recommendations have been developed by Dynarski and Kreisman (2013) and the New America Foundation (2013). We build on many of their recommendations but with some key differences, especially on loan terms and forgiveness.

# Coverage and Eligibility: The universal and comprehensive loan system we are proposing is intended to be the only federal loan program available to students, regardless of income, type of institution, or whether the program is a graduate one. As described below, this would be an unsubsidized system with all current government subsidies moved to an expanded Pell Grant program. This would greatly simplify the loan application and management processes, and allow closer alignment between federal loan and grant systems, including an expanded Pell Grant program.

( ... ... )


4. 국가장학재단 설립 및 소득연계 학자금 대출제도 도입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11.)




5. ...




[메모] college or education grants in the U.S.


※ 발췌:

1. 출처: http://www.collegescholarships.org/grants/low-income.htm

( ... ) Grants and scholarshis are key financial aid resources, because money you earn does not require repayment. ( ... ) Grants, on the other hand, are primarily need-based. Students who need the money most are targeted first for college grants. And since most grants come from government agencies, there is no credit check required for application. If your credit is bad or your income is low, government grants are in place to augment your college cash fund. ( ... )


2. CF/ 출처: 미국 사회 서비스 포괄 보조 제도의 현황과 시사점 (김정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포괄 보조(black grant) 방식은 사회 서비스, 지역 개발, 고용 및 훈련 등의 영역에서 각 지역의 욕구에 부응하는 제도를 수립하고 효율적으로 제도르 운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방 정부에게 재량권을 이양하는 중앙 정부의 재정 운영 방식이다. 범주형 프로그램(categorical program)이 중앙 정부가 수립한 항목별 예산에 맞춰 운영된다면, 포괄 보조 프로그램은 광범위한 예산 범위 내에서 지방 정부의 필요에 따라 세부 예산이 수립되고 집행된다. ( ... ... ) 현재 미국의 복지 관련 프로그램 중 포괄 보조금 지원 방식에 따르는 것은 빈곤가구 임시지원(TANF), 아동 보육/성장 포괄 보조(Child Care and Development Block Grant, CCDBG), 저소득 가정 에너지 지원, 약물 중독 예상/치료, 사회 서비스 포괄 보조(Social Service Block Grant, SSBG) 등이다.


3. 출처: 미국 경제계층 격차에 따른 영유아 교육격차 해소 방안 (김현준 미국 통신원 | 한국교육개발원, 2017)

미국 교육계가 직면한 불평등은 소득계층별 불평등뿐만 아니다. 인종 간 불평등, 도심지와 교외지역 간 불평등 또한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각 시기별 정책을 살펴보면, 영유아 시기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헤드스타트(Head Start) 정책이 50년 이상 추진되고 있으며, 초주등 교육단계에서는 2016년 「모든 학생의 성공법(Every Student Succeeds Act, ESSA)」으로 개정된 「낙오학생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NCLB)」과 「타이틀 원 지원금(Title I)」이 실시되고 있다. 특수교육학생들을 위해서는 「장애학생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고등교육단계의 저소득층 학생등록금 지원을 위한 펠그랜트 장학금(Pell Grant)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연방 교육부의 다양한 정책들은 주로 저소득층 계층 학생을 지원하는 특별기금으로 만들어진다.


4. 출처: 정부 학비 보조 프로그램 (미주 한국일보, 2001)

매년 1월이 되면 대학을 지원한 학생들은 대개가 학비 보조를 주정부(cal grant)와 연방정부(pell grant)에 신청하게 되고, 아울러 융자를 신청하게 되는데, 그때가 바로 1월 1일부터 3월 2일까지로 기한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빨리 서둘러 신청을 해야 한다. 요즘과 같이 학비가 매년 오르고 생활비가 엄청나게 들어가는때에 자녀를 대학에 보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닐 줄로 안다.

그래서 최근 미국여론에 나타난 것을 보아도 사회보장 제도와 건강보험제도에 못지않게 대학 학비보조 프로그램에 연방정부 차원에서 더많은 지원을 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대학을 다니는 것은 한국에서와는 달라서 돈이 없서서 대학을 진학 못하는 일은 거의 없다고보겠다. 왜냐하면 연방정부와 주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돕고있기 때문이다. 즉 연방정부, 주정부, 대학 자체보조, 그리고 각 사설 단체등으로 구분돼 이들 각기관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필요한 경비, 즉 학비, 숙식비, 책값, 개인용돈, 의료비, 교통비에 이르기까지 전반에걸쳐 도움을 주고 있다.

각 대학들은 이러한 좋은 프로그램에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기를 바라지만 한국 학생들은 미국 학생들 처럼 그렇게 많이 참여하지를 않는 경향이있다. 사실 수입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 할수있기 때문에 주저하지말고 모두 신청하기를 바란다. ( ... ... )

  • 연방정부 학비 보조 프로그램으로는 우리에게 잘알려진 PELL GRANT(BASIC EDUCATIONAL OPPORTUNITY GRANTS)가 있는데 이것은 무상으로 빈곤층 학부 학생들에게만 주어진다. 금액은 보통 400-3,000달러 한도에 한한다. 
  • 그다음으로는 FSEOG(FEDERAL SUPPLEMENTAL EDUCATIONAL OPPORTUNITY GRANTS) 가 있는데 이 역시 학생의 재정 필요에 의하여 수여되는 것으로 상환을 안해도된다. 
  • 다음으로 주정부 프로그램으로 CAL GRANTS를 들수가 있겠다. 이 학비보조 프로그램은 A,B,C 등 3 종류로 나누어져 수여되는데 A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과 중산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등록금과 경비를 보조 해준다. 주로 재정의 어려움과 학업 평점을 기준해서 수여하게된다. 그러나 2년제 대학을 거쳐 4년제대학으로 편입학하는 학생들에게는 4년제대학으로 편입학 할 때까지 보류하게된다. B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학생으로 등록금외에 신입생 첫해에 쓰여지는 생활비, 책값, 교통비, 학용품비등을 보조 해준다. C 프로그램은 저소득층과 중산층 학생들이 직업 교육을 받을 때 등록금과 교재비를 수여하게된다. 이상 말씀드린 것은 모두 정부 차원에서 지급 받을 수 있는 상환이 필요없는 학비 보조 프로그램들이다.

( ... ... )

이들외에도 각 학교별로 각종 장학금들이 있는가 하면, 각 사설 기관을 통하여 장학금 보조를 받을 수 있다. 그들중에는 WESTINGHOUSE TALENT SEARCH, THE NATIONAL MERIT SCHOLARSHIP PROGRAM, THE NATIONAL HONOR SOCIETY SCHOLARSHIPS, 그리고 THE NATIONAL SOCIETY OF PROFESSIONAL ENGINEERS AWARDS 등이 있다. ( ... ... )

Some Readings on SWS



Why Anthropology?, Thought

Anthropological theory: cultural materialism and symbolic anthropology

The Emptiness of Modern Economics: Why the Dismal Science Needs a Richer Moral Anthropology

Writing his Life through the Other: The Anthropology of Malinowski



2017년 3월 22일 수요일

[메모] 저임금 이민 노동자를 겨냥한 미국 고용주들의 보복


출처: Workers Rights on ICE: How Immigration Reform Can Stop Retaliation and Advance Labor Rights. National Employment Law Project. Feb 2013.
지은이: Rebecca Smith, Eunice Hyunhye Cho


※ 발췌 (excerpts):

( ... ) The build-up of immigratin enforcement provides unscrupulous employers with additional tools to retaliate against immigrant workers who seek to exercise their rights. ( ... )

( ... ) While threats of job loss have an especially serious consequence in this job market, an employer's threat to alert immigration or local law enforcement of an undocumented immigrant worker's status carries aded force. Such action is at least as frequent as other forms of retaliation. ( ... )

( ... ) Research and individual experiences show that rampant labor violations and widespread practices of retaliation have become key features of the low-wage labor market in the United States. In many of these occupations and industries, vulnerable immigrants cannot exercise their labor rights. Bad jobs will not become good jobs when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workforce is so constrained. ( ... )



[발췌] 영국의 양형 기준 제도 (2015)


출처: 영국의 양형 기준 제도: 양형 기준 제도의 법령 및 현황.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07.
연구 책임자: 변지영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발췌:

1. 사법부에 의한 양형 판단

역사적으로 영국에서의 양형에 대한 판단은 의회가 입법을 통하여 최고 형량을 정하거나 최소 형량을 규정하고, 사법부는 각각의 사건에 대하여 입법 기준 안에서 개별적인 양형을 정하는 방식으로 행하였다. 그러므로 의회가 정한 법률적인 기준 내에서 사법부는 양형에 관하여 자유로운 재량을 행사할 수 있었다. 한편, 1907년 항소법원 형사부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형사항소법원(Court of Criminal Appeal)이 설립되었는데, 이때 법원 간 양형의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양형에 관한 항소가 허용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항소법원 형사부가 특정 범죄의 양형의 기준에 대하여 선례가 될 수 있도록 양형기준판결(sentencing guideline judgment)의 형태로 양형 기준으 제시하기 시작했다. 즉, 양형 기준은 사법부 판결의 축적의 형태로 제시되었던 것이다.

( ... ... )

2. 양형 자문단의 설립으로 인한 국민 참여의 시작

( ... ) 일관성 있는 양형을 유지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영국 정부는 1998년 범죄 및 질서 위반법을 통하여 양형 자문단(Sentencing Advisory Panel)의 설립을 제안하게 된다.

1998년 범죄 및 질서 위반법 제80조는 항소법원에 의한 양형기준판결을 명문으로 규정하여 실무적으로 형성되던 양형기준판결을 제도화하였으며, ( ... ) 동법 제81조는 양형 부당으로 항소된 사건에 대하여 해당 범죄에 관한 양형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항소법원이 판단한 경우에는, 그 양형의 기준에 대하여 양형 자문단의 자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자문이 요구된 사안에 대하여 양형 자문단이 제안서를 작성하고, 본 제안서에 대한 국민적 협의를 거친 후, 항소법원에 양형 기준에 대한 자문을 받도록 하였다. 항소법원은 반드시 양형 자문단이 제안한 양형 제안을 받아들일 의무는 없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를 받아들였다.

양형 자문단은 1999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는데, 양형 자문단의 설립으로 인하여 이제까지 사법부의 전적인 재량이라고 여겨져 온 양형 결정의 과정에서 처음으로 국민의 참여가 간접적으로나마 도입되었다고 할 수 있다.

( ... ... )

[발췌] Ex-offenders and the Labor Market (2010)


출처: Ex-offenders and the Labor Market, 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Nov 2010.
지은이: John Schmitt and Kris Warner


※ 발췌 (excerpt):

( ... ... ) in 2008 the U.S. economy lost the equivalent of 1.5 to 1.7 million workers, or roughly a 0.8 to 0.9 percentage-point reduction in the overal employment rate.

Since over 90 percent of ex-offenders are men, the effect on male employment rates was much higher, with ex-offenders lowering employment rates for men by 1.5 to 1.7 percentage points.

( ... ... )

Conclusion

Bruce Western and Katherine Beckett (1999) have rightly calle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 U.S. labor-market institution. Our estimates suggest that ex-offenders lower overll employment rates as much as 0.8 to 0.9 percentage points; male employment rates, as much as 1.5 to 1.7 percentage points; and those of less-educated men as much as 6.1 to 6.9 percentage points. These employment losses hit ex-offenders harderst, but also impose a substantial cost on the U.S. economy in the form of lost output of goods and services. In GDP terms, we estimate that in 2008 these employment losses cost the country $57 to $65 billion per year.


※ By the way, on page 147, in Rewriting the Rules of the American Economy by J. Stiglitz and other co-authors, the text says:

One key driver of underemployment is the employment penalty for felons. One study estimates that prison records and felony convictions reduced the overall male unemployment rate by 1.5-1.7 percentage points in 2008 alone.[note 49]
The note 49 indicates the paper mentioned at the title above, John Schmitt and Kris Warner's "Ex-offenders and the Labor Market."


2017년 3월 21일 화요일

[용어: 노사관계] employer of record


※ 발췌 (excerpts):

1. 출처: 비정규직과 한국 노사 관계 시스템의 변화(II): 한, 미, 일 비교를 중심으로 (은수미/오학수/윤진호 | 한국노동연구원 1984)

이처럼 노동자를 채용, 해고, 감독하는 등 실제 사용자 권한을 행사하지는 않지만 법률적으로 사용자의 책임을 지는 것을 <기록상의 사용자employer of recod>라고 부른다.


2. 출처: 비정규 노조 조직화 방안 ( ... ... )


3. 출처: cambridge dictionary

"Employer of record" in Business Dictionary: a company or organization that is legally responsible for paying employees, including dealing with employee taxes, benefits, insurance, etc.

  • ex) As the employer of record, our staffing agency is responsible for issuing payroll checks and submitting local, state, and federal payroll taxes.

4. 출처: What is an Employer of Record? (Debbie Fledderjohann | Top Echelon)

In a general sense, the Employer of Record is simply the entity that serves as the employer for tax purposes while the employees performs works for a different company. The Employer of Record, often referred to as the W-2 Employer of Record because they are responsible for issuing W-2s to the employees, shoulders the the responsibility for all the traditional employment tasks and liabilities.

When applied to a contract staffing situation, the Employer of Record serves as the legal employer for a contractor. This responsibility often falls to a third party known as contract staffing back-office. In other situations, a recruiter can take on the employment tasks and liabilities. ( ... ... )


5. Differences between an Employer of Record and a Staffing Agency

Although an employer of record often works with a staffing agency, the two are separate business entities. Each has specific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ir symbiotic relationship.

Purpose

An employer of record serves as an employer for tax purposes while an employee performs work for the client, such as a staffing firm or other business. An employer of record handles all personnel functions, including payroll processing and funding; tax deposits and filing; and employment contracts and paperwork. Maintaining a Certificate of Insurance, I-9, and E-Verify forms; unemployment insurance; and workers’ compensation are done. An employer of record also performs background checks and drug screenings; administers benefits; terminates employees; and may handle worker issues.

Conversely, a staffing firm recruits employees and assigns them to businesses for worker absences, temporary skill shortages, seasonal work, or special projects. Their main focus is to match temporary, temp-to-hire, long-term, or permanent workers with clients in need.

( ... ... )

Responsibilities and Liabilities

The client company or staffing agency owner retains control over business operations and responsibility for workplace safety and compliance.

The employer of record assumes responsibilities and liabilities for employment issues such as administration, payroll, taxes, benefits, and maintaining employee records. Because the employer of record assumes most of the responsibility for compliance and tax laws, the client or staffing services owner receives peace of mind, knowing their business is being taken care of by qualified professionals. ( ... ... )

[용어: 노사관계] secondary action


※ 발췌 (excerpts):

1. 출처: Gate Gourmet의 노사 분쟁과 영국항공(BA) 노동자들의 동조 파업 (채준호 워릭대 정치학 박사과정 | 국제노동동향 ... )

이번 파업으로 인해 동조 파업(secondary action)의 합법성 문제 ... 와 같은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이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


2. 출처: 공무원 노사 관계: 단체 교섭 구조를 중심으로 (김정한/박태주/김현준/김재훈 | 어떤 연구 보고서 ... )

영국에서 공무원의 임금결정제도는 단체교섭과 제3자에 의한 임금결정제도가 공존하고 있다. 또한 단체교섭체제에서도 전국교섭과 사업장교섭이 병존하고 있다. 전자는 지방정부가 대표적이라면 후자는 중앙정부에서 두드러진다. ( ... ) 단체행동은 반드시 사업장별로 우편투표를 거쳐야 하며 동조 파업(secondary action)이나 정치 파업은 금지되어 있다. ( ... )


3. 출처: 1980년대 영국 노사 관계의 환경 변화 (이명숙/송기호 경상대학교 경제학 교수| 한국노동경제학회, ... )

1980년 초에는 노동조합의 인정이 법으로 보장되어 있었다. 그래서 기업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분쟁에서도 초연할 수 없는 입장이었고, 노동조합이 불법으로 저지른 책임에 대해서도 면책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 이후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노동조합을 인정하느냐, 인정하지 않느냐는 전적으로 기업의 판단에 맡겨졌다. 노사분쟁은 비밀투표의 결과에 따라 전적으로 근로자와 그들의 사용자 간의 문제가가 된 것이다. 기업은 간접쟁의행위(secondary action)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고, 그리고 비공식적인 파업참여자를 선별적으로 해고할 수 있게 되었다.


4. ....

2017년 3월 19일 일요일

[메모] 세수 중립적, revenue neutral ( tax proposal, law, ... )



※ 발췌 (excerpts):

1. 출처: Revenue Neutral Law and Legal Definition (USLegal.com)

The term Revenue Neutral implies changes in the tax laws that result in no change in the amount of revenue coming into th government's coffers. In other words, a tax proposal is revenue neutral if it neither increases nor decreases tax revenues when compared to existing law. ( ... ... ) The concept was the decisive factor in drafting the Tax Reform Act of 1986 "whereby provisions estimated to add revenue were offset by others estimated to reduce revenue, so that on paper the new bill would generate the same amount of revenue as the old tax laws."


2. 출처: In charts: how a revenue neutral carbon tax creates jobs, grows the economy (Dana Nuccitelli | Guardian, Jun 2014)

A revenue-neutral carbon tax or fee is a proposed policy to address global warming that'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particularly in the US. It's a simple concept─put a much needed price on carbon pollution, but return all the revenue that's generated to taxpayers (for example with a monthly refund) to offset rising energy costs. This approach appeals to political conservatives, because it's a free market solution that doesn't increase the size of government.

British Columbia (BC) launched a revenue-neutral carbon fee in 2008, with the tax offset through matching reduction income taxes. So far it's been successful, decreasing carbon pollution while the BC economy performed just as wel as the rest of Canada's. The carbon tax has 64% support among BC voters.

The main source of opposition to carbon pricing is the perception that it will 'kill jobs' or otherwise hurt the economy. However, economic forecasts have rarely been done for a carbon fee in which 100% the revenue is returned to the taxpayers. Under proposed revenue-neutral carbon tax legislation, about two-thirds of taxpayers are projected to receive more in refunds than they pay in higher energy prices. It's a net financial gain for most people. This is a key factor that differentiates a revenue-neutral carbon tax system and its economic impacts from other carbon pricing systems.

A new study from Regional Economic Models, Inc. (REMI) models this type of policy.  ( ... ... )


3. 출처: 대번영의 조건: 모두에게 좋은 자본주의란 무엇인가(에드먼 펠프스 지음. 이창근/홍대운 옮김. 열린책들. 2017)

( ... ... ) 그러나 최근의 경험을 보면 사회주의 경제가 경기 변동에 대한 저항력이 높을 것이라는 믿음은 근거가 없다. 서유럽의 사회주의 경향이 강한 경제들은 1970년대부터 1985년까지 커다란 고용(과 다른 경제 활동 지표의) 변동으로 몸살을 앓았고, 이는 실로 제2의 대공황과도 같았다. 그러나 유럽인들은 재정 정책 무기까지는 동원하지 않았다. 한편 미국은 비슷한 경기 침체가 닥쳤을 때 그것이 강하든 약하든 후버 시대에는 알려지지 않앗던 투자 세액 공제를 늘리거나 법인 이윤에 대한 세율을 낮추는 등의 재정 정책 무기를 동원했다. 또는 한계 세액의 세수 중립적 인하(revenue-neutral cuts in marginal tax rates)와 근로 소득 장려 세제(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증가와 같은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냈다. ( ... ... )

2017년 3월 18일 토요일

[용어: 거의 항상 다시 찾는] 비과세, 면제, 감면, 세액 공제


출처: 기업에 대한 조세 지원의 이론과 현실 (한국 지방세 연구원)

글의 내용이 글의 목적에 구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각 과세 용어의 정의 구분이 그다지 명료하지는 않은 듯하나 일정 정도 이상으로개념구분에기여하는 글로 보임.


※ 발췌:

납세자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방법으로는 비과세(tax exclusion), 면제(tax exemption), 감면(tax deduction), 세액 공제(tax credit) 등의 방법이 있음. ( ... ... )

비과세는 과세권자가 과세 요건이 성립하였음에도 특정한 사유 요건에 기하여 과세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금지함으로써 납세자에게 과세를 하지 않는 것.

면제(tax exemption)는 정상적으로 과세가 가능하나 특정 납세자나 특정 행위에 대해 세법에 근거를 두고 세금을 제외하도록 규정하는 것.

감면(tax deduction)은 세법에서 규정하는 특정 목적을 위해 허가된 과세 표준(tax base)으로부터 일정 금액을 차감하여 세금을 줄여주는 조치. 따라서 감면은 과세 요건이 갖추어지고 납세 의무가 성립 또는 확정되었지만 납세 의무자의 신청 또는 과세권자(과세관청)의 직권으로 납세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멸시켜 주는 조치.

세액 공제(tax credit)는 산출된 세액으로부터 일정액을 감액하는 것.

[발췌: 미국에서의] 주택 매각시 자본 이득(양도 소득)과 과세 조건


※ 발췌 (excerpts):

1. 출처: 미 국세청, https://www.irs.gov/taxtopics/tc701.html

If you have a capital gain from the sale of your main home, you may qualify to exclude up to $250,000 of that gain from your income. You may qualify to exclue up to $ 500,000 of that gain if you file a joint return with your spouse. ( ... ... )

In general, to qualify for the exclusion, you must meet both the ownership test and the use test. You're eligible for the Section 121 exclusion if you have owned and used your home as your main home for a period aggregating at least two years out of the five years prior to its date of sale. ( ... ... )


2. Investopedia, Is it true that you can sell your home and not pay capital gains tax?

It is true in most cases. When you sell your home, the capital gains on the sale are exempt from capital gains tax. Based on the Taxpayer Relief Act of 1997, if you are single, you will pay no capital gains tax on the first $250,000 you make when you sell your home. Married couples enjoy a $500,000 exemption. There are, however, some restrictions on this exemption.

In order for the sale to be exempt, the home must be considered a primary residency based on Internal Revenue Service (IRS) rules. These rules state that you must have occupied the residency for at least two of the last five years. If you buy a home and a dramatic rise in value causes you to sell it a year later, you would be required to pay capital gains tax on the gain. The rule does, however, allow you to convert a rental property into a primary residence because the two-year residency requirement does not need to be fulfilled in consecutive years. For example, ( ... ... )

The other major restriction is that you can only benefit from this exemption once every two years. Therefore, if you have two homes an lived in both for at least two of the last five years, you won't be able to sell both of them tax free.

This act has been beneficial for home owners because it has significantly changed the implications of home sales. Before the act, sellers had to roll the full value of a home sale into another home within two years in order to avoid paying capital gains tax. This, however, is no longer the cse, and the proceeds of the sale can be used in any way the selers sees fit.


3. The Home Sale Tax Exemption (Find Law)

Dic: 미국 교육 용어/ pre-Kindergarten


※ 발췌 (excerpts):

1. 출처: http://caneduplanning.com/464 (CAN 유학원, 2013)

미국의 공립학교는 킨더가튼(kindergarten: 유치원)부터 시작되며, 고등학교 과정(K-12)까지 의무교육으로 돼 있다. 즉 학령기는 유치원에 들어가는 만 5세부터 시작된다. 이는 새 학년이 시작되는 9월을 기점으로 한 나이다. 모든 어린이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킨더가튼에 입학하게 되며, 1년 후 만 6세가 되면 자동적으로 초등학교 1학년으로 올라간다. 모든 공립학교가 한 학교 내에 이 같은 유치원 시스템을 운영한다.

그러나 요즘에는 조기 교육의 영향으로 학령기가 점점 빨라져 킨더가튼의 전과정인 프리스쿨(Pre-school 혹은 Pre-kindergarten)에 자녀를 많이 보내는 추세다. 대상은 킨더가튼 이전 연령인 만 5세 이하[미만??] 어린이들이며, 빠른 아이는 2세 때부터 프리스쿨에 보내기도 한다.

프리스쿨은 오전반과 오후반으로 나뉘는 반일반 프리스쿨과 오전과 오후에 걸쳐 진행되는 종일반 프리스쿨로 나뉜다. 프리스쿨은 대부분 사립으로 운영되고 있는 관계로 학비가 꽤 비싼 편이다. 이들 프리스쿨을 보육원(nursery school)으로 부르기도 한다. 프리스쿨의 학비는 대도시 종일반(1주일 5일) 기준으로 한 달에 700-900달러 정도다. ( ... ) 일명 '귀족학교'로 불리는 몬테소리 등 일부 프리스쿨은 월 1,000달러를 훨씬 넘기도 한다.

따라서 공립학교들은 저소득층 자녀의 조기 교육을 위한 방편으로 무료 프리스쿨을 운영 중이다. 다른 말로 '헤드 스타트(Head start)'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연방 정부가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해 별도 기금을 쏟아부어 마련한 유아용 무료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 ... ... )


2. 출처: 미국 알고 배우자 (최주천 지음. 북랩. 2013)

미국 유아 교육을 연령대별로 나눠 보면 유치원(Kindergarten: 4-5세), 초등 유치원(Pre-Kindergarten: 3-4세), 탁아소 III(Preschool: 2-3세), 탁아소 II(Preschool 2: 1-2세), 탁아소 I(Preschool 3: 0-1세)로 볼 수 있다. 미국에서는 탁아소를 속칭 Nursery School(유아 학교)이라고도 하고 초등학교를 Grammar School(예전의 서당이나 글방에 해당)이라고도 칭한다.


3. ... ...

Dic/ come a long way, go a long way


─ If you say that someone or something has come a long way, you mean that they have developed, progressed, or become very successful.

  • He has come a long way since the days he could only afford one meal a day.
  • Microwave ovens have come a long way (= have developed or improved a lot) since they first appeared in our kitchens.
  • (cf) The team has a long way to go (= needs to develop or improve a lot) before it can match that performance.
─ If you say that something goes a long way towards doing a particular thing, you mean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that thing.
  • Although by no means a cure, it goes a long way towards making the patient's life more tolerable.

─ go some (a long) way towards doing sth: to help a little (a lot) to make something happen.
─ go a long way toward/to something: to be very helpful in achieving something.
─ go a long way toward: have considerable effect or influence on.
  • ideas that go some way towards reducing environmental problems
  • The fire insurance went a long way toward repairing all the damages.
  • The extra money will go a long way to buying a house.
  • This argument goes a long way toward proving the scientists are wrong.
  • It went a long way toward making him touchy about what Uncle Daniel had gone and done.
.... COBUILD, LDOCE, Cambridge/American Heritage Idioms, ..


2017년 3월 17일 금요일

[발췌: 피터 드러커] 사례 2_ 우리 사업의 개념은 무엇인가?

What is Our Business?



* * *

빌 캘러핸Bill Callahan의 머릿속에는 소매 매장에서 일했던 기억밖에 없다. 사실 그는 소매매장에서 살다시피 했다. 그의 아버지는 필라델피아 남부에 작은 정육점을 운영하는 주인이었다. 빌은 걸음마 할 때부터 정육점에서 놀았고, 빗자루질 할 나이부터 그곳에서 일했다. 학교를 다니고 대학에 들어가서도 주말마다 가게에서 일했다. 군대에 입대하자마자 영내 판매점 운영을 맡게 됐다. 빌은 소매업무 하나하나가 좋았고, 현금등록기가 쉴 새 없이 울려대는 커다란 슈퍼마켓을 만드는 게 그의 꿈이기도 했다.

빌은 8~9세 때부터 소매 매장을 연쇄점으로 키워가자는 생각을 했다. 1960년대 중반 군에서 제대하는 날, 빌은 이 목표를 향해 첫발을 내딛었다. 아울러 그가 차릴 연쇄점은 다른 곳들과 아주 다르게 만들자고 마음먹었다. 소매 사업의 성공 요인에 대한 확고한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다. 빌은 “소매상 입장에서 아무리 날고뛰어봐야 더 좋은 상품은 물론 색다른 상품을 내놓을 도리는 없다”고 자기 생각을 피력했다. “소매상이 할 수 있는 일은, 첫째로 장 보는 일이 즐겁고 친근하고 재미있게끔 만드는 것이다. 둘째로, 매장을 직원들이 일하고 싶어 하는 곳이자 자기 사업으로 여기는 곳으로 만드는 일이다.” 빌 캘러핸은 세 가지 방식으로 이 일을 추진하고자 했다. 첫째, 단위 연쇄점 사업마다 많은 매장을 둘 수는 없다는 점이다. 즉 연쇄점 사업의 소유주 겸 경영자 한 사람이 모범을 보이면서 자주 방문해 직접 관리할 수 있는 매장 숫자를 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각 매장마다 다른 곳들과 구분되는 강점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각 매장의 핵심인력인 점장과 파트장은 매장의 성과를 나눠가질 소유지분이 주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캘러핸은 첫 매장으로 대도시권 외곽에 중형 규모의 슈파마켓을 차렸다. 입주 건물의 이전 사업자가 파산한 덕분에 값싸게 임대 공간을 얻었다. 캘러핸의 매장은 세 달도 지나기 전에 번창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캘러핸의 설명을 들어보면 이렇다. “모름지기 슈퍼마켓에서 돋보여야 할 분야를 철저히 생각했을 뿐입니다. 바로 육류와 신선식품이지요. 다른 것들은 전부 제조업자들에게서 받아오는 포장제품들이니까요. 그래서 육류와 신선식품 코너는 누가 보더라도 훌륭하다고 할 때까지 제가 직접 경영했습니다. 둘째로, 작은 매장을 부각시킬 만한 특징을 고민했습니다. 생각 끝에 그 동네 슈퍼마켓으로서는 처음으로 화훼 코너를 설치했습니다. 화훼 코너가 들어서니까 매장 분위기가 확 살고 눈길도 끌게 됐죠, 화훼 코너 자체도 큰돈을 벌었습니다. 셋째로, 고객이 어느 매장을 다시 찾게 되는 이유를 저는 잘 알고 있었죠. 고객을 어떻게 대해주느냐에 따라 사람들 마음이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직원들 하나하나가 마음에 새길 때까지 친절하고, 친절하고, 또 친절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첫 매장 문을 열고 아홉 달이 지나 캘러핸은 두 번째 매장을 열었다. 본인은 새로 연 매장의 관리자로 옮기기로 하고, 첫 번째 매장의 점장을 맡을 후임자에게 매장 이익의 상당한 지분이 돌아가도록 배려했다. 점장 아래 각 파트장부터 밑으로 계산대 담당 직원에 이르기까지 차등을 둬서 매장 이익이 분배되도록 지분을 할당했다.

그러고 나서 캘러핸은 슈퍼마켓 매장을 더 이상 열지 않고, 새 업종인 화원 연쇄점을 열기로 했다. 화원 연쇄점에서도 이전과 똑같은 방식을 따랐고, 이어서 자기 집을 직접 관리하는 주택소유자들을 겨냥해 수작업 공구와 소형 전동공구들을 판매하는 집수리센터 연쇄점을 차렸다. 그 다음, 각종 인사장과 카드를 판매하는 소형 1인 매장 연쇄점을 시작했다. 매출 회전율이 높은 사업이었다. 첫 슈퍼마켓 매장을 연 지 30년 뒤 캘러핸은 네 종류의 연쇄점 사업과 총 40개 매장을 거느린 회사로 캘러핸어소시에이츠Callahan Associates를 설립했다. 총매출이 연간 1억 5천 만 달러가 넘었다. 각 연쇄점 사업마다 한 사람의 본부장을 지명해 경영을 맡겼다. 이들 모두 계산대 직원이나 점원으로 시작해 매장 관리를 하면서 성장한 사람들이었다. 재무담당 임원과 인사담당 임원도 밑바닥에서부터 성장한 매장 관리인이었고, 이들과 캘러핸과 본부장 네 사람이 캘러핸어소시에이츠의 경영위원회를 구성했다. 각 연쇄점 사업의 본부장은 캘러핸어소시에이츠 본사 이익에도 참여하고 자기가 경영하는 연쇄점의 이익에도 참여했는데, 본사 참여지분은 작고 자기 담당 연쇄점의 참여지분은 컸다. 마찬가지로 각 본부장 산하의 점장들은 연쇄점 전체 이익의 작은 지분에 참여하고, 자기 매장 이익의 큰 지분에 참여했다. 이런 식으로 차등을 둬서 18개월 이상 근속한 직원들 모두가 이익분배에 참여했다.

캘러핸은 직원들에게 승진 기회를 주려면 회사가 성장해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했다. 반면 어느 연쇄점 사업이라도 한 사람이 사업의 구석구석까지 잘 파악해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규모 이상으로 성장해서는 안 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면 결국 6~7년마다 한 번씩 신규 사업에 진출해야 함을 뜻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그가 슈퍼마켓 첫 매장을 연 지 정확히 30년이 지난 1995년 가을(6년을 한 주기로 치면 5 번째 주기를 맞게 된 시점), 새로 진출해야 할 신규 사업을 찾아야 했다. 캘러핸은 고민 끝에 가장 유망한 업종으로 두 개를 골랐다. 하나는 청바지, 부츠, 웨스턴셔츠 등을 다루는 “야외복” 연쇄점이었고, 다른 하나는 스테이크, 로스트비프, 닭요리를 다루는 간이 레스토랑 연쇄점이었다. 하지만 신규 사업은 한 번에 하나만 골라 달려들어야 함을 캘러핸은 잘 알고 있었다. 신규 사업을 제자리에 올려놓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충분히 배웠고, 사업 초기 첫 2~3년 동안 자기 시간의 대부분을 투여해야 함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캘러핸어소시에이츠는 주된 사안을 모두 경영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결정하는 정책을 따랐다. 예전에는 정책이랄 것도 없이 경영위원들이 캘러핸의 통솔을 따르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리 됐었다. 하지만 캘러핸이 사업확장안을 새로 꺼내자 예상 밖으로 반대가 대단했다. 그 시점이 신규 사업에 들어가야 할 때라는 점은 모두가 인정하는 바였다. 또 한 가지 사업에만 집중해야 한다는 생각도 똑같았다. 게다가 캘러핸이 선정한 두 업종 모두 전망이 아주 좋다는 점에 대해서도 모든 경영위원의 생각이 일치하는 것 같았다. 하지만 경영위원의 절반이 “패션”(야외복 판매)과 관계된 사업에는 한사코 반대했다. 또 나머지 절반은 “개인서비스” 사업(레스토랑) 진출에 대해서 한사코 반대했다.

“식품과 가정용 제품에 대해서는 아는 게 많다”고 이야기하는 첫 번째 그룹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우리 고객들은 가정주부와 주택소유자들입니다. ‘야외복’은 일단 아이들 옷이 주류고, 스타일과 광고 판촉과 성적 매력을 다루는 일이죠. 우리가 잘하는 일이 아닙니다.” 두 번째 그룹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레스토랑은 우리가 할 일이 아닙니다. 물건을 파는 일은 우리가 잘 압니다. 하지만 레스토랑은 서비스와 분위기를 파는 일이고, 요리도 하고 손님 시중을 드는 일입니다. 우리가 잘하는 일이 아닙니다.”

캘러핸은 몹시 화가 난 채 말했다. “좋습니다. 여러분들은 뭐가 우리 사업이 ^아닌지^ 말했습니다. 우리 사업이 무엇이고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결정하려면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 두 업종 모두 사업기회가 좋다고들 모두 동의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따져봐야 할 일은 ^우리^가 할 일이 무엇이고,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고, ^우리^가 확신하는 게 무언지라는 문제입니다.”


질문: 마지막에 나온 질문을 어떻게 풀어 가면 좋겠는가?

* * *

다음 자료에서 일부를 발췌. 《피터 드러커의 매니지먼트 사례집 개정판(Management Cases: Revised Editions)》

[용어 메모] 기소 유예 (또는 연기) 합의 (deferred prosecution agreement)



※ 발췌 메모:

1. 다임러에 대한 FCPA 기소유예 기간 연장 (미국법 박물지, Apr 2012)

미국에서 많은 해외 부패 사건들이 불기소 합의(non-prosecution agreement, NPA) 또는 기소유예 합의(deferred prosecution agreement, DPA)로 종결된다. 미국에서 해외 부패 사건 가운데 미국 법무부의 불기소 합의 또는 기소유예 합의 사건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에는 50%, 2011년에는 40%에 이르렀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불기소 합의나 기소유예 합의를 하게 되면, 회사나 개인은 2~3년 정도의 기간 동안 부패 방지를 위한 준법 감시 프로그램을 확립해서 이행하고, 독립적인 감사인으로부터 부패 방지 감사를 성실히 받는 등의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그 기간 동안 위반 사항이 없으면 기소 없이 사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 ... ) 하지만 모든 사건이 그렇게 행복한 결말을 맞는 것은 아닌가 보다. 독일의 자동차 회사 다임러는 2010년 4월 미국 법무부와 해외 부패 방지법 위반 혐의에 관해 1억 8,500만 달러 벌금과 2년 간 기소유예에 합의했다. 2년이 지나 4월 4일에 그 유예 기간을 올해 연말까지로 연장 신청하는 서류가 법원에 제출되었다. ( ... ... )


2. 토요타, 가속 페달 결함에 관해 12억 달러 기소유예 합의 (미국법 박물지, Apr 2014)

토요타 자동차가 자동차 가속 페달 결함 사건에 관해서 12억 달러를 내기로 하고 2014년 3월 19일 미국 법무부와 형사합의를 하였다. ( ... ... ) 미국 법무부가 토요타 자동차에 적용된 혐의는 자동차 결함 그 자체가 아니다. 미국 법무부는 토요타 자동차가 가속 페달 결함을 숨기거나 그에 관해 거짓말을 함으로써 소비자를 속여서 토요타 자동차를 사게 하였다고 혐의를 구성하면서 형사범죄인 통신수단을 이용한 사기(wire fraud) 규정을 적용하였다. 토요타 자동차는 그러한 혐의사실과 범죄를 인정하였다. 미국 법무부와 토요타 자동차는 3년간 기소유예 합의(deferred prosecution agreement)를 하였는데, ( ... ) 합의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 ... )


3. 모든 악마가 여기에 있다 (베서니 맥린/조 노세라 지음. 이종호/윤태경 옮김. 자음과모음. 2011)

( ... ... ) 주가가 하락하고 시장이 AIG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을 때, AIG는 일련의 작은 사건에 봉착했다. 첫 번째 사건은 2001년에 있었다. 증권거래위원회가 AIG의 자회사인 내셔널 유니온 화재보험을 고소했는데, 브라이포인트라는 회사가 1,200만 달러의 손실을 은폐하는 것을 돕고자 가짜 보험 계약을 맺었다는 내용이었다. 한 전직 임언은 "하루치 회계 장부만 검토해도 가짜라는 것을 알 수 있는 허술한 사기"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린버그가 자료 제출을 최대한 미룬 탓에 증권거래위원회는 사건 수사에 2년이나 걸렸다. 전직 임원이 말한다. "그린버그는 관료들에게 오만하고 비협조적이었습니다." 증권거래위원회는 조사를 마치고 나서 AIG에 1,000만 달러 벌금을 부과하고, "AIG가 브라이포인트 사기 사건에 가담한 죄뿐 아니라 증권거래위원회 조사에 비협조적으로 나온 죄 때문에 이러한 벌금을 부과한다"라는 내용을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증권거래위원회가 브라이포인트 사건으로 AIG를 조사하고 있을 때, 또 다른 사건이 터졌다. 증권거래위원회가 AIG 금융상품부를 고발한 것이었는데, 피츠버그 은행인 PNC가 7억 5,000만 달러의 수상한 대출을 장부에서 숨길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사기성 거래를 했다는 것이었다. 이번에도 정부가 수사를 마치기까지 여러 해가 걸렸다. 결국 AIG는 8,000만 달러를 벌금으로 내고, 4,600만 달러를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AIG FP는 기소유예합의서(deferred prosecution agreement)에 서명했다.

증권거래위원회가 애초에 AIG에 부과한 벌금은 6,000만 달러였다. ( ... ... ) 그린버그의 이러한 행보에 증권거래위원회는 격분했고 ( ... ) 정부는 AIG에 부과한 벌금을 8,000만 달러로 올리고, 기소유예합의서에 서명하라는 명령을 했으며, 정부가 임명한 준법감시인을 AIG에 계속 근무하게 만들었다. ( ... ... )


4.[이희종 변호사가 본 미국 법조] 미국 FCPA의 특징과 대응 방안 (법률신문, 2013-12-19)

지난 달 26일 글로벌 유전 회사인 웨더포드(Weatherford)가 미국의 FCPA(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위반 혐의로 미국 사법당국에 1억 5300만 달러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하였다. 미국 텍사스에서 설립되었고, 지금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웨더포드는 전 세계 100여국에 약 6만5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는 세계 수위의 유전회사이다. 웨더포드의 해외 지사 수 곳이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 석유 사업을 수행하면서 수년에 걸쳐 현지 공무원들에게 뇌물을 제공한 것이 문제되었다.

웨더포드는 이러한 혐의를 인정하고, 미국 법무부와 기소 연기에 합의 (DPA, Deferred Prosecution Agreement)하였다. 8720만 달러의 벌금을 내고, 향후 최소18개월간 독립적인 컴플라이언스 모니터를 받고, FCPA위반 사항을 예방, 적발할 수 있는 내부 통제 및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 처분이다. 아울러 웨더포드는 같은 컴플라이언스 실시 조건 하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와도 6560만 달러의 몰수 및 벌금(civil penalty)을 내기로 합의하였다. 미국 법무부는 위 사건을 발표하면서, 기업의 느슨한 내부 통제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컴플라이언스 환경이 해외 자회사들의 부패 행위를 얼마나 조장할 수 있는지 증명하는 사안이라고 논평하였다.

DPA[앞에서 지은이는 '기소 유예 합의'라고 적지 않고 '기소 연기 합의'로 표현]는 검찰이 법원에 일종의 공소장을 제출함과 동시에 공판의 진행을 연기하고, 피의자 회사가 DPA 의무 사항을 모두 이행한 경우 공소를 취소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수사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불기소 처분의 하나인 우리나라의 기소유예와는 차이가 있다.

해외부패방지법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FCPA는 더 이상 국내에서도 낯설지 않은 법이다. 이 법은 크게 외국 공무원에 대한 뇌물 공여 행위를 처벌하는 뇌물 금지 규정(anti-bribery provision)과 내부 회계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제 장치로서 장부 기입 및 회계를 규제하는 회계 규정(accounting provision)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양 규정의 위반 시 막대한 금액의 벌금과 몰수, 징역 등 민형사적 책임이 뒤따른다.

( ... ... )

FCPA 규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특징 중의 하나는 대부분의 사건들이 DPA 또는 유사한 NPA(Non-Prosecution Agreement) 등 법무부의 조건부 기소 처분 또는 기소 유예 약정으로 종결된다는 점이다. 이 처분들은 앞서 본 웨더포드의 사례와 같이 거액의 벌금 부과 외에 향후 FCPA 위반 행위를 방지, 적발할 수 있도록 외부 모니터링을 받거나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미국의 연방 검찰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범죄 혐의를 입증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으면 기소에 이르지만 사안에 따라 위법성의 정도와 죄질, 피의자의 전력과 비난 가능성, 범행 후 피의자의 태도, 피해자의 범위와 피해 정도 등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불기소 처분을 하기도 한다. 특히 피의자가 기업인 경우, 위와 같은 고려 사항 외에도 해당 기업이 위법 사항을 인지한 후 신속히 자발적으로 인정하고 수사에 협력하였는지,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였는지 여부가 검찰이 기소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이러한 일반원칙은 FCPA위반 사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 ... ... )


2017년 3월 16일 목요일

[발췌 메모] fiduciary의 의미장에 참고가 되겠기에


출처: 자산운용업자의 투자자 보호 의무의 법적 기초로서의 신인 의무
지은이: 정대익(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발췌:

이 글에서는 먼저, 자산운용업자의 신인 의무(fiduciary duty)의 구성 요소인 주의 의무와 충실 의무의 관계를 간단히 알아 본 후 ( ... ... )

II-1. 신인 의무 (수탁자 의무, fiduciary duty)의 개념

수임인적 혹은 수탁자적 지위에 있는 자(fiduciary)라 함은 타인을 대리하여 혹은 타인의 이익을 위하여 행위하는 자를 말한다. 수임인 혹은 수탁자의 지위를 가지는지 여부는 언제 쉽게 결정날 수 있는 것은 아닌데, 법률 관계의 기초를 이루는 제반 사정에 따라서 판단한다.

기원을 보면 이러한 수임인(수탁자)의 신인 의무는 판례법상 인정된 의무이며, 제정법  일부에서도 명문 규저을 두어 신인 의무를 인정하고 있다. 수임인(수탁자) 지위(신인 관계)가 인정되어 신인 의무가 발생하는 예를 들면 변호사와 의뢰인, 신탄 수탁자와 수익자. 회사와 이사 사이등이다. 대륙법계 시각에서 보면 신탁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인 의무가 발생하는 기초가 되는 법률 관계는 위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지은이의 주석:

이 글에서는 fiduciary duty를 신인 의무로 번역하고 사용하고, 개념 구분이 가능한 것을 전제로 신인 의무는 주의 의무(duty of care)충실 의무(duty of loyalty)로 구성된 것으로 본다. fiduciary duty를 충실 의무로 사용하는 사례가 보이고, fiduciary에 중점을 두어 수탁자 의무로 번역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fiduciary duty를 충실 의무로 번역해 사용하는 경우 fiduciary duty의 구성 요소인 duty of loyalty와의 구별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탁자를 의미하는 라틴어 fiducia(여성)와 fiduziar(남성)에서 기원한 fiduciary가 수탁자로 번역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나, 대륙법 시각에서 볼 때 본인과 대리인 사이에서 대리인, 의뢰인과 변호사 사이에서 변호사,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의사, 회사와 이사 사이에서 이사 등도 신탁 관계와는 무관하게 fiduciary이기 때문에 fiduciary를 이글에서는 <수임인(수탁자) 혹은 수임인적(수탁자적) 지위를 가진 자>로 교차하여 사용한다.

[발췌] MMF에 대한 리스크와 규제 (신대리의 금융이야기, 2016)


출처: 신대리의 금융이야기, 2016. 5.15


※ 발췌:

( ... ... ) 미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에서 MMF를 평가할 때 고정 순자산가치(stable net asset value)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MMF의 한 주당 순자산가치를 1달러로 고정하는 것인데 이는 편입 자산을 매입 시점의 장부 가격으로 평가한다는 의미입니다. 환매 요청이 들어왔을 때 시가로 평가한 순자산가치(이를 shadow NAV라고 함)가 장부 가격보다 0.5% 이상 하락했을 경우에만 시가를 적용합니다.

이때 손실이 발생하는데 '달러를 깬다(breaking the buck)'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MMF가 도입된 이래 '달러를 깨는' 사태는 1994년에 딱 한 차례 있었을 뿐입니다. 미국 MMF의 잔고가 2.7조 달러에 달할 정도로 막대한데 손실 경험은 한 번밖에 없으니 사람들이 MMF를 안전 자산으로 인식했던 것도 이해할 만합니다.

이런 인식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깨졌습니다. 리먼브라더스가 파산을 선언한 다음 날인 2008년 9월 16일에 대형 MMF인 Reserve Primary Fund가 '달러를 깨는 선언'을 한 것입니다. 편입 자산이었던 리먼브라더스 발행 CP에서 큰 손실이 발생한 탓이었습니다. 그제야 MMF에서도 손실이 날 수 있음을 깨달은 투자자들이 MMF 환매에 나섰고, 이 요청에 부응하느라 편입되어 있던 각종 자산이 매물로 쏟아지면서 자산 전체의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머니마켓이 일대 소용돌이에 휩싸인 것입니다. ( ... ... )

[발췌] Money Market Mutual Funds: Are They Investments or Cash? (2013)


출처: Third Way, July 19, 2013


※ 발췌 (excerpt):

( ... ... ) Like a typical mutual fund, the sponsor of an MMF pools the savings of investors into a fund typically organized as a trust. But MMFs are restricted in the type of investments they may make and they calculate their assets and liabilities in a way that is distinct from other mutual funds. And unlike other mutual funds, MMF investors can redeem their shares on demand at the price they paid for them. In that sense, they share some similarities with bank accounts,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write checks on some accounts.

A typical mutual fund invests people's savings in a wide variety of stocks, bonds, and other securities, each designed to meet investors needs and risk appetites. The mutual funds issues shares to investors representing their individual slice of the assets in the trust. Mutual funds have a variety of investment strategies, and their performance is typically tracked against a benchmark─such as the S&P 500─to allow investors to measure how well their mutual fund is doing against the broader market.

But unlike a typical mutual fund, an MMF is restricted under the 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 to only investing in short-term, high quality securities. This means that the fund holdings must mature within a much narrower time period than other mutual funds.[*] The securites held must have a high credit rating and offer minimal credit risk.[n1]

( ... ... )

How Are MMFs and Money Market Deposit Accounts Different?

While these two types of produts sound the same, they aren't. Money Market Deposit Accounts (a.k.a. bank savings accounts) are offered by banks as a savings vehicle. They fall under commercial banking regulation and are not an investment product. There are limits on Money Market Deposit Accounts, like minimum balances and limits on withdrawals, and unlike MMFs, they are insured by the 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FDIC).[n6]


The NAV, the Floating NAV, and the Shadow NAV

As noted earlier, one difference between a typical mutual fund and an MMF is the type of assets in which they can invest. The second difference is the way MMFs report their value to investors. That brings us to somethng called the "NAV," "the floating NAV," and the "shadow NAV."

NAV stands for "Net Asset Value," and it is defined by the SEC as a mutual fund's total assets minus its total liabilities.[n7] If an MMF holds $50 million in assets and has $10 million liabilities, its NAV is $40 million. To determine the NAV per share of an MMF, you divide the NAV by the number of shares outstanding. If an MMF has a $40 million NAV and 40 million shares outstanding, it has a $1 per share NAV.

All mutual funds calculate their NAV every business day. Most mutual funds use mark-to-market accounting, which means mutual funds calculate the value of the assets in their portfolio based on their market value at the close of each day.  Because the value of the mutual funds's assets and liabilities changes daily, the NAV changes daily─that is known as a "floating NAV." Mutual funds publish their floating NAV every business day, and investors can redeem their shares at the floating NAV.[n8]

What makes an MMF unique is that its NAV does not float, it stays stable. MMFs maintain a $1 per share NAV daily, which is known as a $1 stable NAV. Because MMFs are restricted to investments in short-term, high quality assets, fluctuations in their NAV are typically tiny. Therefore, MMFs are allowed to use amortized cost accounting─which means they can value their securities at the price they bought them instead of using mark-to-market accounting, as long as these securities have less than 60 days to maturity.[n9]


OK─MMFs publish a $1 stable NAV daily, but we just noted that fluctuations in their NAVs occur. What's happening here?

Although MMFs use amortized cost accounting, if they instead used mark-to-market accounting their NAV would fluctuate, or float, just like a traditional mutual fund. It usually fluctuates a tiny amountㅡmaybe $1.001 to $0.999 per share. The tacking of these fluctuations is called the "shadow NAV." MMFs do not publish their shadow NAV for investors every day, but are required to report their shadow NAV to the SEC every month. The SEC publishes the shadow NAV 60 days later.[n10]


But what happens when an MMF's shadow NAV experiences an unusual drop in value?

When the shadow NAV drops below $0.995 per hsare (i.e. one half penny below a dollar per share), MMFs may no longer use amortized cost accounting to maintain a $1 per stable NAV. They are forced to switch to a floating NAV, publishing this value every day for investors.

Likewise, if the assets of an MMF are greater than its liabilities such that the shadow NAV is greater than$1.005, MMFs pay dividends to their shareholder to get the shadow NAV closer to $1 per share.[n11]


What is Breaking the Buck?

In its most simple explanation, it is the switch from a $1 stable NAV to a floating NAV. Historically, when the shadow NAV of an MMF has approached $0.995 per share, the financial institution that created the fund has contributed additional money to keep their assets above $0.995 per share so they can continue to publish a $1 stable NAV.[n12]  But on rare occasions, the management of the funds has been unable to do this.

On one such occurrence, in August 2008, the commercial paper offered by Lehman Brothers qualified under SEC rules as a liquid, short-term investment for MMFs. Yet on September 15, 2008, Lehman Brothers filed for bankruptcy. Virtually overnight, this liquid, short-term investment dropped precipitously in value. Investors in Lehman paper were left holding the bag.

One such investor was the Reserve Primary Fund─the oldest and one of the largest MMFs in the U.S. The $62 billion Reserve Primary Fund held $785 million of Lehman commercial paper, and losses on these assets dropped its shadow NAV to $0.97 per share. Three cents per share may not seem like a whole lot of money, but in the MMF world it is ver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Reserve Primary Fund, in the midst of the financial crisis, the sponsor was unable to kick in cash to maintain the $1 stable NAV. The fund was forced to "break the buck" and go to a floating NAV.

The Reserve Primary Fund was the fist MMF open to the public to break the buck, and the second one ever.[*] Its failure to maintain a $1 stable NAV sparked a panic in the market, leading investors to withdraw their money from other prime MMFs for fear they held Lehman debt or the debt of other troubled companies. Since MMFs are not insured, people began to pull their money from these funds to avoid potential losses. In the period immediately following Lehman's bankruptcy, institutional investors redeemed $300 billion from many prime MMFs.  ( ... ... )


Why did the Reserve Primary Fund "breaking the buck" cause such volatility in the market?

( ... ... )

When market participants speak of markets “seizing up” this is one of the nightmare scenarios they discuss. Without these credit markets operating fully, businesses and governments struggle to get short-term loans. Without short-term loans, payrolls cannot be met. When payrolls cannot be met, the economy stops. This is what regulators mean when they say that MMFs pose systemic risk in times of crisis, despite their safety under most economic conditions.


MMFs After the Financial Crisis

2010 MMF reforms

( ... ... ) The Financial Stability and Oversight Council (FSOC) was created by the Dodd-Frank Act to protect against systemic risks—hazards that could cause vast damage to financial markets and the overall economy. In November 2012, FSOC identified MMFs as a potential source of systemic risk, and released recommendations to reform MMFs for public comment.

Proposals for reform can be broken down into three general categories:

1) requiring MMFs to switch to a floating NAV,
2) maintaining the $1 stable NAV with redemption restrictions, and
3) maintaining the $1 stable NAV with required capital buffers.

( .... .... )

[용어] (non-) arm's length transaction



※ Dictionaries

arm's length (Merriam-Webster)

  1. a distance discouraging personal contact or familiarity: ex) kept former friends at arm's length now. 
  2. the condition or fact that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are independent and on an equal footing.
arm's length (Collins)
  1. lacking intimacy or friendliness, esp when possessing some special connection, such as previous closeness: ex) we now have an arm's-length relationship
  2. (of commercial transactions) in accordance with market values, disregarding any connection such as common ownership of the companies involved.
arm's length agreement (Collins)
a commercial transaction done in accordance with market values, disregarding any connection such as common ownership of the companies involved


※ 발췌 (excerpts):

1. arm's length transaction (Business Dictionary)

Basis of determining fair market value (FMV), it is a dealing between independent, unrelated, and well informed parties looking out for their individual interests. Transactions involving family members, and partent companies and subsidiaries, are deemed arm-in-arm dealings. To qualify as an arm's length transaction, neither of the involved parties may have any interest in the transaction's consequences to the other party.


2. arm's length principle (Wikipedia)

The arm's length principle (ALP) is the condition or the fact that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are independent and on an equal footing. Such a transaction is known as an "arm's length transaction".

It is used specifically in contract law to arrange an agreement that will stand up to legal scrutiny, even though the parties may have shared interests (e.g., employer-employee) or are too closely related to be seen as completely independent (e.g., the parties have family ties).

It is also one of the key elements in international taxation as it allows to an adequate allocation of profit taxation rights among countries that conclude double tax conventions, through transfer pricing, among each other. ( ... ... )


3. 국제 대출 거래에서 주간사의 신인 의무에 관한 연구 (박찬동 지음. 국제거래법연구, 2014)

( ... ) 국제 대출 거래에서 차주는 대규모 기업이나 금융기관 등 민간 기업과 외국 정부나 국제금융기구 등 공공기관이다. 이러한 차주는 한 은행이 대출할 수 있는 금전보다 큰 규모의 대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차주는 국제 금융 시장에서 대주단 대출(syndicated loan)을 이용한다. 대주단 대출은 두 개 이상의 대주가 함께 참여하여 단일 대출 서류에 기초하여 공통된 조건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복수 은행 대출 약정(multi-bank loan arrangement)이다. 복수의 금융기관이 대주단을 구성하므로 차주와 대주단 사이에서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금융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은행을 '주간사 은행(lead manager bank)', '주선 은행' 또는 '주간사(arranger)'라고 한다. 일부 경우에 주간사가 다른 금융기관과 함께 간사단을 구성하여 주간사 업무를 분담하기도 한다. ( ... )

영미 법계를 중심으로 국제 대출 거래에서 주간사가{주간사를??} '신인 의무(fiduciary duty)'를 부담하는 '수임자(fiduciary)'로 볼 수 있는지에 관하여 법원과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다. ( ... )

( ... ... ) 이러한 근거로 대주는 차주의 신용 관련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금융기관이며, 전문적인 당사자 사이의 '대등한 지위의 거래(arm's length transaction)'는 신뢰와 신임의 요소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 ... )


4.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약칭: 국제조세조정법): 영문법령, 국문법령

Article 2(10). The term "arm's length price" means a price which is applid or deemed to be applied in the ordinary trade of a resident, domestic corporation or domestic business place with persons, other than a foreign related party.

제2조(10항). "정상가격"이란 거주자, 내국법인 또는 국내사업장이 국외특수관계인이 아닌 자와의 통상적인 거래에서 적용되거나 적용될 것으로 판단되는 가격을 말한다.


5. Arm's Length Transaction이란? (하와이 부동산 소식)

6. ...

2017년 3월 15일 수요일

[메모] capital surchage on TBTF banks


※ 발췌 (excerpts):

1. FRB press release, Jul 2015

The Federal Reserve Board on Monday approved a final rule requiring the largest, most systemically important U.S. bank holding companies to further strengthen their capital positions. Under the rule, a firm that is identified as a global systemically important bank holding companies, or GSIB, will have to hold additional capital to increase its resiliency in light of the greater threat it poses to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U.S.

The final rule estabishes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a GSIB and the methods that those firms will use to calculate a risk-based capital surcharge, which is calibrated to each firm's overall systemic risk. Eight U.S. firms are currently expected to be identified as GSIBs under the final rule: ( ... ).

"A key purpose of the capital surcharge is to require the firms themselves to bear the costs that their failure would impose on others," Chair Janet L. Yellen said. "In practice, this final rule will confront these firms with a choice: they must either hold substantially more capital, reducing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fail, or else they must shrink their systemic footprint, reducing the harm that their failure would do to our financial system. Either outcomes would enhance financial stability."

LIke the proposal issued in December 2014, the final rule requires GSIBs to calculate their surcharges under two methods and use the higher of the two surcharges. The first method is based on the framework agreed to by the Basel Committee on Bank Supervision and considers a GSIB's size, interconnectedness, cross-jurisdictional activity, substitutability, and complexity.

The second method uses similar inputs, but is calibrated to result in significantly higher surcharges and replaces substitutability with a measure of the firm's reliance on short-term wholesale funding. As seen during the crisis, reliance on this type of funding left firms vulnerable to runs and fire sales, which may impose additional costs on the broader financial system and economy.

Under the final rule and using the most recent available data, estimated surcharges for the eight GSIBs range from 1.0 to 4.5 percent of each firm's total risk-weigted assets. Because the final rule relies on individual GSIB data that will change over time, the currently estimated surcharges may not reflect the surcharges that would apply to a GSIB when the rule becomes effective.

"A set of graduated capital surcharges for the nation's most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will be an especially important part of the strengthened regulatory framework we have construct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Governor Daniel K. Tarullo said.  ( ... )

The surcharge will be phased in beginning on January 1, 2016, becoming fully effective on January 1, 2019.


2. Understanding SIFIs: What Makes an Institution Systemically Important? ( Emily Line | ThirdWay.org, Nov 2015)

( ... ) For a long time, federal financial regulation focused on protecting the consumer. ( ... ) Post-financial crisis, the focus of financial regulation has shifted to protecting the financial sector from itself. Systemic risk mitigation is meant to ensure that if one institution drowns in a liquidity crisis, it does not pull other interconnected financial institutions under the water.

Thus, the term "SIFI" was invented: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s have been deemed so important to the functioning of the economy that special rules and buffers were put in place to (1) reduce the probability of failure and (2) ensure that if they do go down, they go down alone.

( ... ... )

Who Are the SIFIs?

SIFIs are a creation of Dodd-Frank, and any ^bank^ with assets above $50 billion is deemed systemically important. These 33 banks must adhere to stricter requirements on capital and liquidity than other banks. They must also go through yearly stress tests and have a plan for orderly liquidation. Pretty simple so far.

Because the biggest SIFIs is about 40 times larger than the smallest SIFI, international regulators have created a special class of SIFIs called ^Global Systemically Important Banks^, or ^G-SIBs^. Compared to regular SIFIs, these banks must maintain even higher risk mitigation requirements.

Whereas the SIFI designation is based completely on the objective measure of asset size and is determined by the U.S., the G-SIB determination takes a more holistic approach and is made by an international body. This body,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central banks and financial regulators, and its G-SIB designation supersedes U.S. SIFI designation.

( ... ... )

Issue #!: How Tough Should the Rules Be?

( ... ... )

All banks over $1 billion in size, SIFI or not, have to follow new enhanced capital standards under Dodd-Frank. Enhanced capital standards set a minimum ratio of ^equity to assets^. Equity provides a cushion that grows and shrinks as asset values fluctuate.  Regulators have historically used the ratio of total equity to total assets to determine a bank's amount of leverage.  After the crisis, a new ratio was created using risk-weigted assets ( ... ... )

For the eight global systemically important banks there is a third standard called the ^G-SIB surcharge^. This is a requirement for the eight globally important banks to hold even more capital than the other SIFIs. The idea behind the G-SIB surcharge is that "too big to fail" banks must either build up more capital (to reduce the likelihood of failure) or shed assets (to get smaller). When the Fed finalized the G-SIB surcharge rule earlier this year, it decided to make the U.S. requirements stronger than the global standard. The Fed also recently finalized another rule just for the G-SIBs that will require them to hold a certain amount of debt to serve as the second line of defense after the equity cushion. This rule, called Total Loss Absorbing Capacity(TLAC), is also a part of the global Basel Committee protocol.

( ... ... )

Non-SIFIs can avoid many, but not all, of these burdens. Dodd-Frank imposes new, graduated requirements on all banks bigger than $1 billion, and the rules becomes more stringent as bank size increases. ( ... ... )


3. Federal Reserve Approves Capital Restraints for Big Banks (Peter Eavis | NYT, Jul 2015)




2017년 3월 14일 화요일

[메모] ISD(투자자 국가 제소, 투자자-국가 분쟁 해결)에서 판정 불복 및 항소 수단에 관한 추적




※ 판정 불복과 항소 수단에 관한 내용을 별로 발견하지 못했다.


1. TPP 투자 챕터의 특징 및 법적 쟁점 (이재민, 2015)

( ... ) 주지하시다시피 한미 FTA, 한중 FTA 등 굵직한 FTA 협상을 거치며 항상 주요 쟁점으로 마지막까지 협상 테이블에 남아 있던 이슈는 다름아닌 투자 챕터 관련 문제들이었다. 그간 비밀리에 진행되어 오던 TPP 협정문은 이런저런 경로로 일부 챕터가 대외에 공개되었으며 투자 챕터 역시 그중 하나이다.8) 현 시점에서의 최종적이고 공식적인 투자 챕터 문안은 아직 입수 가능하지 아니하나 현재 공개된 문안이 큰 변화 없이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인 협상의 기본 골격을 제시하고 있으며, 아마 최종적으로 타결이 예상되는 문안도 현재 공개된 문안과 상당히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 )

( ... ) 투자 협정의 핵심인 투자분쟁해결절차는 오로지 외국인 투자자만 제소자격을 갖고 투자 유치국 정부는 항상 방어적 위치에만 서게 되기 때문이다. ( ... )


2. 투자자·국가 소송(ISD) 최신 판정 분석 (법무부, 2013)

( ... ) ICSID 중재판정취소

ICSID 협약의 중재 시스템은 '자기 완결적'으로 협약 내에 중재 판정의 해석, 수정, 취소 등에 관한 조항을 두고 자체적인 중재 판정에 대한 불복 및 재검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ICSID 중재 판정은 각 국가의 국내 법원의 관여를 일체 허락하지 않고 있다. ICSID 협약은 동 협약에 의하여 내려진 중재 판정이 당사자에게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협약이 정한 절차 외에 어떠한 항소나 구제 절차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아울러 체약국은 협약에 따른 중재 판정을 구속력 있는 것으로 승인하고, 자국 법원의 판결과 동일하게 집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ICSID 중재 판정에 불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협약 제52조에서 정한 제한적인 사유에 근거하여 판정의 취소(annulment)를 구하는 것이다. 즉, 협약 제52조에서 제1항에 명시된 5가지 사유만을 취소 신청의 요건으로 원용할 수 있으며, BIT 및 국제법의 적용이나 사실관계에 관한 착오 등은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또한, 중재 판정의 취소는 단지 원 중재 판정의 무효만을 위한 절차이며, 중재 판정 내용의 변경을 위한 것은 아니다. ICSID 협약에서는 자체 '중채판정취소위원회'의 중재 판정 취소 이외에는 어떤 경우에도 불복을 허용하고 있지 않다. 즉, ICSID 협약 제53조의 "판정은 당사자를 구속하며 본 협약에 규정된 바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상소(appeal)나 또는 기타 구제수단(remedy)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에서 이러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 ... )

Dic/ manifest, manifestation


manifest. adj.

─ If you say that something is manifest, you mean that it is clearly true and nobody would disagree with it if they saw it or consider it. (FORMAL) = patent
─ easily noticed or perceived; obvious; plain.

  • the manifest failure of the policies
  • There may be unrecognized cases of manifest injustice of which we are unaware.
manifest. v. If you manifest a particular quality, feeling, or illness, or it manifest itself, it becomes visible or obvious. (FORMAL) = show
  • He manifested a pleasing personality on stage.
  • There frustration and anger will manifest itself in crying and screaming.

manifestation. n.

─ A manfestation of something is one of the different ways in which it can appear.
─ a very clear sign that a particular situation or feeling exists.
  • Different animals in the colony had different manifestatins of the disease.
  • These latest riots are a clear manifestion of growing discontent.

─(2) A physical entity typifying an abstraction: embodiment, exteriorization, ...
─(3) Something visible or evident that gives grounds for believing in the existence or presence of someting else: badge, evidence, indication, mark, note, sign, token, ...

.... COBUILD, Collins, LDOCE, Roget's II


cf. 양상(樣相)

─ 변전하는 가운데 어떤 시점에서 드러나는 일의 모양이나 상태.
  • 복잡한 양상을 드러내다
  • 새로운 증거의 발견으로 재판의 양상이 달라졌다.
─사물이나 현상이 나타내는 모습이나 상태.
  • 두 사람의 대화가 은연중 대립의 양상을 띠자, 방 안의 분위기가 멀쑥해지고 말았다.
  • 부부간의 역할 분담에 있어서도 변화의 양상이 여러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 유럽 경제는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고용 사정이 개선되는 등 개도국과는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연세 한국어 사전

2017년 3월 11일 토요일

[메모] Collateral consequences of criminal conviction


1.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Collateral_consequences_of_criminal_conviction

※ 발췌 (excerpt): 

Collateral consequences of criminal conviction are the additional civil state penalties, mandated by statute, that attach to criminal convictions. They are not part of the direct consequences of criminal conviction, such as prison, fines, or probation. They are the further civil actions by the state that are triggered as a consequence of the conviction.

( ... ... ) beyond the terms of the sentence, a defendant can experience additional state actions that are considered by the States to be collateral consequences such as: disenfranchisement (in some countries this may be separately meted out), disentitlement of education loans (for drug charges in the United States), loss of a professional license, or eviction from public housing.

These consequences are not imposed directly by the judge, and are beyond the terms of a sentence itself for the actual crime. Instead, they are civil state actions and are referred to as collateral consequences.  ( ... ... )


2. 피고인의 형벌 감수성이 양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2016)

지은이: 하민경, 표현덕, 강현주 | 출처: 사법정책연구원. 2016.

※ 발췌:

앞서 언급한 이탈 또는 변경의 사유로서 제시되 내뇽 중 법정에서 선고되는 형별 이외의, 피고인이 형벌로 인하여 겪게 되는 제재, 자격 박탈 등 일체의 불이익을 '부수적 결과(collateral consequence)'라고 부른다[주]191 법률(code), 행정 명령(executive order)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민사적(civil), 규제적(regulatory) 성격의 부수적 결과에는 권리, 이익, 특권의 박탈이 포함되며 상세히는 고용에서의 불이익, 직업상 면허 취득의 불인정, 정부와의 계약 당사자가 될 수 없게 하는 제약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 ... ) 연방법과 주법을 모두 포함하여 미국 전역에 걸친 부수적 불이익에 관하여는 '유죄 판결의 부수적 결과에 관한 목록(National Inventory of the Collateral Consequences of Conviction, NICCC)' 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다.

[발췌] Re: employers' potential legal liabilities when hiring applicants with criminal records


※ 발췌 (excerpts):

1. Texas Law Limits Liability in Hiring Employees with Criminal Records, Still Not Full Protection from EEOC (28 Aug 2013)

The Texas Legislature has taken an important step to help protect employers who are willing to give applicants with a criminal record a second chance. House Bill 1188, which takes effect Sept. 1, 2013, will limit the liability of employers who hire applicants with a criminal record. The new law provides that a "cause of action may not be brought against an employer, general contrator, premises owner, or other third party solely for negligently hiring or failing to adequately supervise an employee, based on evidence that the employee has been convicted of an offense."

HB 1188 will benefit both employers and those with criminal records who are seeking employment, who often have difficulty finding a job.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Corrections, about 5 million Texa adults have criminal records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Texans who are no longer on probation or parole have felony convictions on their records. As inmates leave prison and try to gain self-sufficiency, they are often met with resistance by employers who are concerned that hiring ex-offenders may expose them to liability.

( ... ... ) While the new Texas law will ease many employers’ concerns of potential liability for hiring applicants with criminal records, it will not completely insulate employers from all claims of negligent hiring or supervision resulting from employment of such individuals.


2. EEOC(U.S.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s Tips for Small Business re: Criminal Records


3. Policy Options: Limiting Employer Liability When Hiring Individuals Formery Incarcerated (Philadelphia Work Inc.)

( ... ) Employers balance two challenges when considering hiring returning citizens: the possibility of lawsuits for discriminatory hiring practices and the concerns over negligent hiring claims. This brief addresses the concerns we hear from employers about hiring a formerly incarcerated applicant and the potential for a negligent hiring lawsuit. Recognizing employer concerns, some states have adopted negligent hiring protections that limit emploer liability associated with hiring returning citizens. Pennsylvania has not adopte any such legislation.

Philadelphia Works has identified 12 states that have passed the laws to limit employer liability when hiring formerly incarcerated individuals. The three common approaches are:
  • (1) Limit the use of an employee’s criminal history as evidence during a trial unless the nature of the criminal history bears a direct relationship to the facts underlying the cause of action (e.g. Colorado; Minnesota); 
  • (2) Establish a state-issued certificate which functions as a bond to protect the employer by a presumption of due care as long as the employer knew a candidate had such a certification at the time of hiring (e.g. Georgia; Illinois; North Carolina; Ohio; Tennessee) ; 
  • (3) If the employer has complied with the law to conduct a criminal background investigation, the employer is presumed not to be held liable for negligent hiring under certain circumstances  (e.g. Florida; Massachusetts; New York).
( ... ... )


4. STANDARDS FOR HIRING PEOPLE WITH CRIMINAL RECORDS

As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advocates in states that do not ha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should encourage the passage of laws that prohibit employers from refusing to hire applicants simply because they have been arrested or convicted and require employers to individually assess the qualifications of people with criminal records.

(Important note: Federal courts have ruled that Title VII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prohibits employers from imposing blanket bars to employment of people with conviction histories. Coming soon, you will find more information in the Legal Action Center’s toolkit Enforce Anti-Discrimination Laws.)


5. Background Checks in the Hiring Process: A Guide for California Nonprofits and Small Business (Revised Jan 2017)

( ... ) The challenge for the employer in addressing these important hiring goals is to make sure that any background check process accurately measures these qualities without unfairly discriminating against any applicant or otherwise breaching the law. ( ... )

Why Might an Employer Perform a Background Check?

Depending upon the particular background check process implemented by the employer, the check ^may^:
  • corroborate that potential employees with access to confidential information or in a position of power over other individuals (such as senior managers and/or personnel in the finance; human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re trustworthy;
  • identify whether potential employees harmed third parties while under previous employment and therefore could be said to have a "propensity for violence;"
  • reduce the risk of a violent or unsafe workplace;
  • provide the employer with reassurance that the individual can be trusted around vulnerable clients or other vulnerable thrid parites;
  • corroborate that potential employees were trustful in their application materials and during interviews.
Many employers not required by law to conduct background checks decide to implement such procedures anyway in order to avoid potential legal liability related to "negligent hiring," discussed below.

Performing a background check may also have some drawbacks, however, in that it may:
  • discourage individuals well suited to a particular position from applying because of an offense committed in the past;
  • give "false positives" due to incorrect information or clerical errors; either through duplicate names or through unearthing of expunged records;
  • give employers a false sense of security with regards to workplace safety;
  • have a disparate impact on populations that have higher rates of involvement with the criminal justice system.
( ... ... )

Negligent Hiring

In California, if an employer "... knows, or should know, facts which warn a reasonable person that the employee presents an undue risk of harm to third persons in light of the particular work to be performed," then the employers is potentially liable for negligence in the hiring or retention of an employee if the acts of the employee result in harm to a third party while he or she is on the job or performing a job-related functin.[n3] A well-performed and well-tailored background check helps an employer understand whether a potential employee could reasonably be considered to pose a threat to third parties while engaged in a particular position. An employer's analysis of risk in light of the "particular work" is the key. For example, unsupervised access to vulnerable populations, sensitive information, or valuable property potentially can present "undue risk of harm ... ^in light of the particular work to be performed."[n4]  When the employee does not have such an unsupervised access, however, the risk of
negligent hiring is minimized.

( ... ... )

6. Negligent Hiring (USLegal.com)

Negligent hiring is a claim made by an injured party against an employer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employer knew or should have known about the employee's background which, if known, indicates a dangerous or untrustworthy character. Pre-employment background checks, employee drug testing, and employment physical exams are some of the ways negligent hiring claims can be avoided. Roughly half of the states legally recognize that an employer is responsible for, and can be held accountable for, checking the background and references of any job applicant before placing that applicant in a position of high public contact. Employers have been found liable for negligent hiring or retention of dangerous or incompetent employees in most states, including ( ... ... )
 

[발췌] Collateral Costs: Incarceratino's Effect on Economic Mobility (2010)



출처: Collateral Costs: Incarceratino's Effect on Economic Mobility. Pew Charitable Trust. 2010.

※ 발췌 (excerpt):

There are several paths through which serving a term of incarceration may adversely affect employment prospects:

- Inmates are necessarily withdrawn from society and have severely limited opportunity to gain work experience while incarcerate.
- Inmates build relationships with a highly criminally active peer group, a factor that may permanently alter their future work trajectory.
- Released inmates usually are placed on parole or some form of supervision, a status that increases the likelihod of future incarceration spells since viloations of supervision rules are grounds for return to prison.
- Incarceratin can generate child suport arreagages for non-custodial fathers, a factor that may decrease the incentive to work.

( ... ... )

Tossed into a competitive labor market, former inmates are viewed suspiciously by many prospective employers. They bear the indelible stigma of incarceration that ranks them low or any list of job candidates, and face a number of laws barring them from working in certain occupations. Finally, while some employers might be inclined to hire a former inmate, many are dissuaded from doing so by potential legal and financial liabilities.[n27]

[n27] Harry Holzer (2009). "Collateral Costs: Effects of Incarceration on Employment and Earnings Among Young Workers." In ^Do Prisons Make Us Safer?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Prison Boom^, ed. Steven Raphael and Michael Stoll, 239-263.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 ... ... )

The first approach is straightforward and begins with the proactive reconnection of former inmates with the job market. Research o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prison back to the community has documented the importance of securing stable employment as a critical contributing factor to successful reentry. However, there are numerous barriers, both formal and informal, for ex-inmates who are seeking work. Formerly incarcerated people can be prohibited by law from working in many industries, living in public housing, and receiving various governmental benefits, including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TANF), food stamps and educational benefits. And the stigma of having a felony record can be insurmountable obstacle when a former inmate is eligible for employment. Job seekers with a criminal record are offered half as many positions as those without criminal records, and African American applicants receive two-thirds fewer offers. These scenarios are the catalyst for effort by some to remove the collateral consequences of incarceration and to "ban the box," which would prevent employers from requiring that job seekers disclose past criminal convictions on job applicants.[n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