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28일 일요일

Dic: Synonyms: strength, power, might, energy, force

These nouns denote the capacity to act or work effectively.

  • Strength refers especially to physical, mental, or moral robustness or vigor:
    "enough work to do, and strength enough to do the work" (Rudyard Kipling).

  • Power is the ability to do something and especially to produce an effect:
    "I do not think the United States would come to an end if we lost our power to declare an Act of Congress void" (Oliver Wendell Holmes, Jr.)

  • Might often implies abundant or extraordinary power:
    "He could defend the island against the whole might of the German Air Force" (Winston S. Churchill).

  • Energy refers especially to a latent source of power:
    "The same energy of character which renders a man a daring villain would have rendered him useful to society, had that society been well organized" (Mary Wollstonecraft).

  • Force is the application of power or strength:
    "the overthrow of our institutions by force and violence" (Charles Evans Hughes).

.... The American Heritage

2010년 11월 23일 화요일

The Construction of Rights

...
자료: http://personal.lse.ac.uk/DOWDING/Files/Dowding_vanHees_Construction_o_fRights_06_02.pdf

지은이(By): KEITH DOWDING* and MARTIN VAN HEES**, June 2002
* Department of Government, London School of Economics, London, UK
** Department of Philosophy,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 In what sense, if any, do rights exist? Can rights form the basis of morality and a system of social justice? If not what does a system of rights add to morality and a system of social justice? Why not bypass rights and look straight to the justificatory foundation or bases of rights to answer our questions about what, morally we should do, or what the just answers to social or political conflict are?

2010년 11월 22일 월요일

Dic: synonyms: idea, thought, notion, concept, conception

These nouns refer to what is formed or represented in the mind as the product of mental activity.


  • Idea has the widest range:
    .."Human history is in essence a history of ideas" (H.G. Wells).

  • Thought is distinctively intellectual and stresses contemplation and reasoning:
    .. "Language is the dress of thought" (Samuel Johnson).

  • Notion often refers to a vague, general, or even fanciful idea:
    .. "She certainly has some notion of drawing" (Rudyard Kipling).

  • Concept and conception are applied to mental formulations on a broad scale:
    .. You seem to have absolutely no concept of time.
    .. "Every succeeding scientific discovery makes greater nonsense of old-time conceptions of sovereignty" (Anthony Eden)
    .

[자료]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

지은이: 김정현 (원광대 철학과 교수), 2005년


[소론] 개념의 운동으로서 변증법과 현실 세계

...


지은이: 나종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한국 역사 속에서 불교와 샤머니즘, 여성

자료: http://www.skb.or.kr/down/papers/146.pdf

지은이: 김정희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Dic: over someone's head

[PHRASE] v-link PHR, PHR after v | If something such as an idea, joke, or comment goes over someone's head, it is too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ypically: be ~; go ~; pass ~.)

  • I admit that a lot of the ideas went way over my head. 
  • All that talk about computers went over my head. 
  • I hope my lecture didn't go over the students'heads.

[PHRASE] v-link PHR, PHR after v | If someone does something over another person's head, they do it without asking them or discussing it with them, especially when they should do so because the other person is in a position of authority. | to an authority higher than someone.
  • He was reprimanded for trying to go over the heads of senior officers.
  • I don't want to have to go over your head, but I will if necessary. 
  • I had to go over Fran to get it done. 
  • My boss wouldn't listen to my complaint, so I went above her.

Dic: in (as a preposition to say while doing something)

■ [PREP] PREP -ing
You use in with a present participle to indicate that when you do something, something else happens as a result.

  • In working with others, you find out more about yourself.


■ while doing something or while something is happening, and as a result of this.
  • In all the confusion, it is quite possible that some people got tickets without paying.
  • In my excitement, I forgot all about the message.
─ in doing sth
  • In trying to protect the queen, Howard had put his own life in danger.


■ while doing sth; while sth is happening.
  • In attempting to save the child from drowning, she nearly lost her own life.
  • In all the commotion I forgot to tell him the news.

.... Cobuild, LDOCE, OALD
Dic. En. Prep. Participle.

2010년 11월 19일 금요일

Dic: market as a verb

[VERB] V n, be V-ed as n

To market a product means to organize its sale, by deciding on its price, where it should be sold, and how it should be advertised. (BUSINESS)

  • if you marketed our music the way you market pop music... 
  • if a soap is marketed as an anti-acne product...
.... Cobuild


2010년 11월 18일 목요일

A few readings in libertarianism


* * *

(기사) 과잉 미디어

중앙일보, 2006.09.29
자료: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463593
지은이: 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전략...) 미디어학자 토드 기틀린은 책 『무한미디어』에서 미디어가 제공하는 ‘감정의 과잉’에 주목한다. 미디어 과포화를 비판하는 그는 “더 큰 문제는 미디어가 없었더라면 우리가 굳이 느끼지 않아도 되는 감정들을 급류처럼 쏟아부으며, 우리의 삶을 불필요한 포화 상태로 몰고 가는 것”이라고 썼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시청자가 원하는 것 또한 ‘감각적 만족’이다. “9ㆍ 11테러 사건에서도 사람들은 단지 사실을 알기 위해서가 아니라 공포와 슬픔, 연민ㆍ안심 같은 감정을 느끼려고 TV를 시청했다.”(같은 책)

기틀린에 따르면 감정의 사회학적 의미에 가장 먼저 주목한 이는 독일의 사회학자 게오르그 지멜이다. 그는 모든 것이 화폐가치로 전환되는 시장경제의 출현이 대중의 냉소주의를 가져왔지만 역으로 인위적인 자극과 흥분이 더욱 필요해질 것이라 예측했다.

기틀린은 “시장적 사고가 급증하던 18세기에 정반대로 내밀한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는 낭만주의가 태동했다.…계산의 시대인 근대는 감정에 헌신하는 문화를 만들어냈다”고 썼다. 물론 이 때 감정은 언제든지 버릴 수 있는 일회용 감정이다. 실제 삶과 상관없는 가짜 감정인 것이다.

과잉 미디어가 쏟아내는 과잉 자극에 취해 감정 과잉상태로 살아가지만, 알고 보면 진짜 내 감정은 아니라는 얘기다. 삶의 경험이 곧 미디어 경험인 ‘미디어 시대’, 이 가짜 감정에서 벗어날 길은 쉽지 않아 보인다. 기틀린의 통찰이 흥미로우면서도 우울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2010년 11월 17일 수요일

소비: 자기유발형 무력감에 대한 진정제

※ 한 소절, 다시 음미해 보며.....

우리가 시장경제에 의존하는 정도가 심해지는 동안 우리 삶의 성격도 점차 변해가고 있다.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우리의 참모습대로 인정받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러한 사태는 무력감을 낳는다. 이 무력감의 정체는 자신을 찾고 싶지만 그럴 수 없기에 “기쁨을 상실한 소비자”들이 외치는, 들리지 않는 울음소리다. 그래서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자기유발형 무력감을 완화시키는 진정제”로 물질적인 소유를 찾게 된다. 소비 행위는 소비자들이 아주 가냘프게 연결되어 있는 자기 자아와의 유대를 회복해보려고 되풀이하는 감정적 습관으로 변질되고 있다.
While we are increasingly dependent on the market economy, the nature of our lives makes it more difficult for us to express our identity and be acknowledged for who we are. This engenders a sense of impotence, an unheard cry for recognition from the 'joyless consumer', so that material possessions serve as 'pacifiers for the self-induced helplessness we have created'.[note] Consumption becomes an emotional habit in which the consumer is repeatedly trying to restore the tenuous bonds of self.
※ TransMirror:
  • 〈an unheard cry for recognition from the 'joyless consumer'〉에서 for recognition은 '인정받고 싶지만'으로 하는 게 직역이겠지만 '자신을 찾고 싶지만'으로 이미지를 뒤집었다. 울음소리란 이미지를 더 통렬하게 전달하 수 있을 것 같아 보인다.
  • 〈the tenuous bonds of self〉자아의 통합 상태가 가냘프고 허약하고 위태로운 상태. 여차하면 분열되어 미쳐버릴 것 같은 그런 마음 상태. 그러나 글자 그대로 '자아의 연약한 유대'처럼 표현하기가 곤란하다. 어쩌면 좀 더 과감한 의역을 도입해, '위태롭기 그지없는 자기 자아와의 유대를 어떻게든 회복해보려고'처럼 옮기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 note: M. Csikszentmihalyi and E. Rochberg-Halton, The Meaning of Things: domestic symbols and the self, Cambridge University Press (October 30, 1981)

※ 관련 주제의 다른 자료들:

Dic: power objects

■ n.pl.

  1. in shamanic traditions, natural objects such as stones or bones that are imbued with sacred meaning or power. 
  2. according to the Pima Indian healing system, items such as roadrunners, buzzard feathers, and jimson weed, which are considered sacred. Nonrespect can lead to sickness known as staying sickness. See also staying sickness.
Jonas: Mosby's Dictionary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 2005, Elsevier.
...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power+objects

■ What is a power object. Power Objects are totems for the shaman. these totems are representative of link between the shaman and the higher self. totems also facilitate a link between nature and with spirit.

... http://www.mysticfamiliar.com/archive/Spiralpathway/sp_power_objects_5.htm


■ (전략...) 현경은「미래에서 온 편지」에서 자기만을 위하여 제단(Altar)을 만들라고 쓰고 있다.
너의 방이나, 네 방이 없다면 공원의 한 구석이나 어는 한 장소를 너의 성지(Holy Place)로 정하고 그곳을 네가 성스럽게 여기는 ‘파워 오브젝트(Power Object)'들로 꾸며봐. 성경책, 불경, 예수님, 부처님, 여신들의 사진, 혹은 네가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닮고 싶은 사람들의 사진, 아니면 아름다운 조약돌, 깃털, 꽃, 초, 향물, 음악 등, 무엇이든 네게 힘을 주는 오브젝트들로 성스러운 제단을 만들고, 그 구석에 앉아 네가 되고 싶은 너 자신, 너의 가장 와일드한 꿈들, 그 모든 것들을 상상하며 너 자신에게 마술을 걸어봐. 그래서 그 가장 이상적인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네 모습을 관찰하는 거야. Enjoy it!
현경이 말하고 있는 ‘제단’은 더 이상 예배의 장소가 아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올리기 위한 예배의 장소가 아니라 ‘힘(Power)’을 얻기 위한 샤머니즘적 주술공간에 지나지 않는다. 이어서 현경은 틱낫한에게서 배운 명상법을 ‘사랑과 치유의 에너지’를 보내는 도구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경은 철저히 자신 안에 내재 되어있는 신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로써 내면의 치유가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명상법이나 현경의 인간관을 살펴 볼 때 현경은 힌두교의 브라만(비인격적 보편적 자아)과 아트만(개체적 자아)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고 있지는 않지만 결과적으로는 힌두교적 신관과 인간관을 가지고 샤머니즘적 주술행위를 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생략)


Dic: serve as something, serve to do something

  • Her death should serve as a warning to other young people.
  • A single example serves to illustrate what I mean.
  • The judge said the punishment would serve as a warning to others.
  • The attack was unsuccessful and served only to alert the enemy.

* * *

[HAVE AN EFFECT] [Intransitive] formal | to have a particular effect or result (serve as, serve to do sth) .

[HAVE PARTICULAR RESULT] ~ as sth | to have a particular effect or result.

.... LDOCE, OALD

  • She ushered me into the front room, which served as her office.
  • I really do not think that an inquiry would serve any useful purpose.
  • Their brief visit has served to underline the dee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The old drawing room serves her as both sitting room and study.
3 [VERB] V as/for n, V n, V to-inf, V n as/for n

If something serves as a particular thing or serves a particular purpose, it performs a particular function, which is often not its intended function.

.... Cobuild

일부 법률 표현

잠정적 보관:

※ 주제어: Dic, 법률, 헌법, 사법권,
※ 자료: http://dic.impact.pe.kr/ecmaster-cgi/search.cgi?kwd=supreme&bool=and&word=yes


제5장 법원
CHAPTER V THE COURTS
제101조 ①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
Article 101
(1) Judicial power shall be vested in courts composed of judges.
②법원은 최고법원인 대법원과 각급법원으로 조직된다.
(2) The courts shall be composed of the Supreme Court, which is the highest court of the state, and other courts at specified levels.
③법관의 자격은 법률로 정한다.
(3) Qualifications for judges shall be determined by Act.

제102조 ①대법원에 부를 둘 수 있다.
Article 102
(1) Departments may be established in the Supreme Court.
②대법원에 대법관을 둔다. 다만,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대법관이 아닌 법관을 둘 수 있다.
(2) There shall be Supreme Court Justices at the Supreme Court: Provided, That judges other than Supreme Court Justices may be assigned to the Supreme Court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③대법원과 각급법원의 조직은 법률로 정한다.
(3) The organization of the Supreme Court and lower courts shall be determined by Act.

제104조 ①대법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Article 104
(1)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shall be appointed by the President with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②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2) The Supreme Court Justices shall be appointed by the President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Chief Justice and with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③대법원장과 대법관이 아닌 법관은 대법관회의의 동의를 얻어 대법원장이 임명한다.
(3) Judges other than the Chief Justice and the Supreme Court Justices shall be appointed by the Chief Justice with the consent of the Conference of Supreme Court Justices.

제105조 ①대법원장의 임기는 6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
Article 105
(1) The term of office of the Chief Justice shall be six years and he/she shall not be reappointed.
②대법관의 임기는 6년으로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연임할 수 있다.
(2) The term of office of the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shall be six years and they may be reappointed as prescribed by Act.
③대법원장과 대법관이 아닌 법관의 임기는 10년으로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연임할 수 있다.
(3) The term of office of judges other than the Chief Justice and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shall be ten years, and they may be reappointed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④법관의 정년은 법률로 정한다.
(4) The retirement age of judges shall be determined by Act.

제107조 ①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법원은 헌법재판소에 제청하여 그 심판에 의하여 재판한다.
Article 107
(1) When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is at issue in a trial, the court shall request a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shall judge according to the decision thereof.
②명령·규칙 또는 처분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대법원은 이를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
(2) The Supreme Court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of administrative decrees, regulations or actions, when their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is at issue in a trial.
③재판의 전심절차로서 행정심판을 할 수 있다. 행정심판의 절차는 법률로 정하되, 사법절차가 준용되어야 한다.
(3) Administrative appeals may be conducted as a procedure prior to a judicial trial. The procedure of administrative appeals shall be determined by Act and shall be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s of judicial procedures.

제108조 대법원은 법률에서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소송에 관한 절차, 법원의 내부규율과 사무처리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Article 108
The Supreme Court may establish, within the scope of Act, regulations pertaining to judicial proceedings and internal discipline and regulations on administrative matters of the court.

제110조 ①군사재판을 관할하기 위하여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을 둘 수 있다.
Article 110
(1) Courts-martial may be established as special courts to exercise jurisdiction over military trials.
②군사법원의 상고심은 대법원에서 관할한다.
(2) The Supreme Court shall have the final appellate jurisdiction over courts-martial.
③군사법원의 조직·권한 및 재판관의 자격은 법률로 정한다.
(3) The organization and authority of courts-martial,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ir judges shall be determined by Act.
④비상계엄하의 군사재판은 군인·군무원의 범죄나 군사에 관한 간첩죄의 경우와 초병·초소·유독음식물공급·포로에 관한 죄중 법률이 정한 경우에 한하여 단심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사형을 선고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Military trials under an extraordinary martial law may not be appealed in case of crimes of soldiers and employees of the military; military espionage; and crimes as defined by Act in regard to sentinels, sentry posts, supply of harmful foods and beverages, and prisoners of war, except in the case of a death sentence.

제6장 헌법재판소
CHAPTER VI THE CONSTITUTIONAL COURT
제111조 ①헌법재판소는 다음 사항을 관장한다.
Article 111
(1)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have jurisdiction over the following matters:
1. 법원의 제청에 의한 법률의 위헌여부 심판
1. The constitutionality of Acts upon the request of the courts;
2. 탄핵의 심판
2. Impeachment;
3. 정당의 해산 심판
3.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4. 국가기관 상호간,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간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권한쟁의에 관한 심판
4. Competence disputes between state agencies, between stat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nd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5. 법률이 정하는 헌법소원에 관한 심판
5. Constitutional petition as prescribed by Act.
②헌법재판소는 법관의 자격을 가진 9인의 재판관으로 구성하며, 재판관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2)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be composed of nine Justices having qualification for court judges, and they shall be appointed by the President.
③제2항의 재판관중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 3인은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자를 임명한다.
(3) Among the Justices referred to in paragraph (2), three shall be appointed from candidates sele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ree appointed from candidates nominated by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④헌법재판소의 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재판관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한다.
(4) The presid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be appointed by the President among the Justices with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제7장 선거관리
CHAPTER VII ELECTION MANAGEMENT
제114조 ①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선거관리위원회를 둔다.
Article 114
(1) The Election Commissions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fair management of elections and national referenda, and dealing with administrative affairs concerning political parties.
②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3인, 국회에서 선출하는 3인과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3인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위원장은 위원중에서 호선한다.
(2)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shall be composed of three members appointed by the President, three members sele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ree members designated by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The Chairman of the Commission shall be elected from among the members.
③위원의 임기는 6년으로 한다.
(3) The term of office of the members of the Commission shall be six years.
④위원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정치에 관여할 수 없다.
(4) The members of the Commission shall not join political parties, nor shall they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ties.
⑤위원은 탄핵 또는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파면되지 아니한다.
(5) No member of the Commission shall be expelled from office except by impeachment or a sentence of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or heavier punishment.
⑥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법령의 범위안에서 선거관리·국민투표관리 또는 정당사무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으며, 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6)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may issue,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decrees, regulations relating to the management of elections, national referenda, and administrative affairs concerning political parties and may also establish regulations relating to internal discipline that are compatible with Act.
⑦각급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직·직무범위 기타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7) The organization, function and other necessary matters of the Election Commissions at each level shall be determined by Act.

제4조 ①이 헌법시행 당시의 공무원과 정부가 임명한 기업체의 임원은 이 헌법에 의하여 임명된 것으로 본다. 다만, 이 헌법에 의하여 선임방법이나 임명권자가 변경된 공무원과 대법원장 및 감사원장은 이 헌법에 의하여 후임자가 선임될 때까지 그 직무를 행하며, 이 경우 전임자인 공무원의 임기는 후임자가 선임되는 전일까지로 한다.
Article 4
(1) Public officials and officers of enterprises appointed by the Government, who are in office at the time of the enforcement of this Constitution, shall be considered as having been appointed under this Constitution: Provided, That public officials whose election procedures or appointing authorities are changed under this Constitution,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shall remain in office until such time as their successors are chosen under this Constitution, and their terms of office shall terminate the day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ir successors.
②이 헌법시행 당시의 대법원장과 대법원판사가 아닌 법관은 제1항 단서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 헌법에 의하여 임명된 것으로 본다.
(2) Judges attached to the Supreme Court who are not the Chief Justice or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and who are in office at the time of the enforcement of this Constitution shall be considered as having been appointed under this Constitution notwithstanding the proviso of paragraph (1).
③이 헌법중 공무원의 임기 또는 중임제한에 관한 규정은 이 헌법에 의하여 그 공무원이 최초로 선출 또는 임명된 때로부터 적용한다.
(3) Those provisions of this Constitution which prescribe the terms of office of public officials or which restrict the number of terms that public officials may serve, shall take effect upon the dates of the first elections or the first appointments of such public officials under this Constitution.

일부 법률 용어

잠정적 보관:


appeal for review: 심사청구
appeal to tax tribunal: 조세심판청구
appeal to the supreme court: (대법원)상고
appeal: 상고, 불복
appeals procedures: 불복절차
appeals 심사


※ 주제어: Dic, 법률, 형사소송,
※ 자료: http://dic.impact.pe.kr/ecmaster-cgi/search.cgi?kwd=supreme&bool=and&word=yes

[용어 용례]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

용어가 사용된 사례를 다 찾아볼 수는 없지만, 몇 개만 살펴본다.


한편 보수논객 전원책 변호사는 한국 사회의 보수를 "탐욕스럽다"라고 혹평한 홍 최고위원에게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전 변호사는 "홍 의원이 이야기하는 보수는 보수의 탈을 쓴 기회주의자, 기득권층에 불과하다"며 "한국의 보수는 그렇게 약아빠지지 않았다. 자식의 교육을 위해 자신의 점심은 굶는, 여러분의 아버지, 할아버지들이 바로 보수주의자들"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공정 사회' 캠페인의 헛점도 지적했다. 전 변호사는 "이런 식으로 정부가 캐치플레이즈를 내 거는 것은 파시스트, 독재자들, 레닌과 스탈린 등 마르크스주의의 아류들, 모택동과 체 게바라 등의 사생아들, 그리고 평양뿐"이라며 "'공정'이라는 구호가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으로 작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했다. 전 변호사는 "어느 날 느닷없이 대통령은 공정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고, 모든 언론을 통해 화두로 떠올랐다"며 "과연 이것이 선진국 진입을 앞둔 대한민국에서 가능한 현상인가"라고 반문했다. 전 변호사는 "우리 사회의 편법주의, 정실주의, 지연·학연·혈연으로 얽힌 근본적인 부패구조 즉 이너서클이 문제"라며 "이 틀을 해체하는 것은 사회공학, 정치공학으로는 불가능하며 '도덕 재무장'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



포퍼는 완전한 사회란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완전한 사회를 혁명과 같은 수단을 동원하여 단번에 이룩할 수 있다는 생각이 세계를 더욱 위험하게 만든다. 포퍼에게 있어 이상적 사회란 상호비판과 토론 속에서 서로의 오류를 교정해가는 그런 사회다. 포퍼는 그러한 자신의 방법을 '점진적 사회공학'(piecemeal social-engineering)이라 불렀다. "점진적 방법에 찬성하는 점진적 공학자는 어떤 이상을 확립하기 위한 투쟁보다는 고통과 부정 그리고 전쟁에 대항하는 체계적인 투쟁이 수많은 사람들의 찬성과 동의에 의해 지지를 받을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사회생활이란 너무 복잡하므로 전체적 규모의 사회공학을 위한 청사진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도,어쩌면 전혀 그 누구도 판단할 수 없다. 말하자면 그것이 실현 가능한지 아닌지,그것이 사실상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인지 아닌지,그 청사진을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 이것과는 반대로 점진적 공학을 위한 청사진은 비교적 간단하다. (...)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자유주의가 이들 집단주의적 형태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해독제역할을 할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요청될수 있는 조건은 크다. 무엇보다 국가의 역할은 민주화이후 여러 다원적인 사회적 힘과 가치들을 압도하면서 팽창일로에 있는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견제할만한 어떠한 가치나 이념도, 시민사회의 발전도, 가치와 세력의 다원화도 발전하지 못하는 조건때문에 그러하다. 민주화이후 한국사회에서 국가권력이 견제되고 분산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강하게 표출된 적은 별로 없다. 정부의 부서간 견제와 균형, 그리고 국가(기구)권력과 시민권력간의 견제와 균형을 원리로하는, 한국민주주의의 제도적 틀의 모델이되는 매디슨적 민주주의원리가 한국민주주의의 제도개혁의 관심사로 떠올랐던것은 기억되지않는다. 한국민주주의의 자유주의적 측면, 즉 개인의 기본권은 그 어떤 가치에 우선하여 존중되고 보호되어야하며, 이들에 의해 국가권력은 견제되고 제한되어야한다는 문제의식은 어디로부터도 제기된적이 없다. 견제되지않고 균형되지않는 국가는 구조적으로 권위주의적이 될수밖에 없고, 자유주의에 의해 대응되지않을때 전체주의적 경향성을 드러내기 쉽다. 과거의 권위주의산업화의 전통위에서, 국가는 경제발전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위해 법의 지배를 존중하지않고, 다른 중요한 가치를 희생해서라도 오로지 성장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하도록 시장을 조직하고 왜곡할수 있다는것이 자연스럽게 수용되고 있는것이다. 진보와 보수를 포함하는 전체사회가 이러한 가치관과 비젼을 자연스럽게 수용한다. 그리하여 국가주의, 민족주의, 경제발전을 지향하는 성장주의는 사회의 가장 지배적인 가치이자 이념일뿐 아니라 그에 대응할수 있는 어떤 경쟁적인 가치도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진보적지식인사회나, 시민운동은 이러한 이념과 가치를 더 추동하는 역할을 한것으로 보인다. 개혁은 국가프로젝트에 의한 사업의 형태로 모습을 띄게되고, 진보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은 물론, 시민사회에서의 시민운동역시 국가의 지원과 힘에 의존하는 “사회적 기획” (social engineering)의 내용을 갖게된다. 최근 황우석논문조작사건이 재판부의 판결에 의해 유죄로 확정된 사례에서도 볼수있듯, 생명공학의 발전은 국가정책의 중요 우선순위를 가지면서 전폭적으로 정부에의해 지원된 바 있었다. 이미 학문적 정직성을 훨씬 벗어난 상황에서도 많은 사람들은 이를 국가발전의 이름으로 그 잘못을 수용하지 않았다. 그만큼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는 없다. 노벨상수상도 국가프로젝트에 의해 추진될수 있는 가능성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또 이를 긍정할수 있는 곳은 한국이외에는 없을것이다. (...)



저자는 평등주의의 건강성은 사회적인 인정(social recognition)에 달려 있다고 한다. 어느 정도이면 불만족이고 어느 정도이면 만족할 것인가는 그 사회의 구성원들의 인식에 달려 있다. 미국처럼 불평등에 대한 "관용의 수준"이 높은 사회가 있고 (...) 따라서 분노와 적개심의 에너지를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에너지로 변환을 시켜야 하는 것이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적인 과제라고 한다.



법(法)은 곧 보수(保守)」로 통한다. 현상유지(statusquo)의 도구로 법이 이용되는 속성 때문이다. 법률가 세상인 미국(美國)에서 법은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의 유력한 도구다.

... 자료: 링크


법이란 국가의 강제력을 가지고 있는 단순한 수단이 아니다. 사회의 문화 현상의 하나이며, 또한 하나의 가치체계이며, 사회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면서 사회를 발전적으로 이끌어 가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또한 英美에서는 법이란 사회를 이끌어 가는 하나의 공학, 즉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법의 사회 시스템이 원만하게 작동하게 되면, 그 사회는 안정적이고 평화스러우며, 그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은 원만한 인격을 갖추어 인격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다.

... 자료: 링크


근대사회의 또 다른 지표는 公共計劃 혹은 計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前근대사회에서는 오늘날과 같은 의미의 계획이 필요하지도, 가능하지도 않았다. 무엇보다 권력의 정당성이 세습적 전통이나 카리스마와 같은 ‘내재적 권위’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대국가에서는 외형적 업적이나 외부적 평가가 권력의 향배를 가늠하며, 바로 그런 이유로 공공계획의 중요성이 증가한다. 산업사회의 출현 또한 계획의 시대를 함께 열었다. 산업혁명 이후 각종 사회적 혼란과 무질서에 대한 정치적 대응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18세기 벤담이나 생시몽, 꽁트 등이 제시한 사회공학적(social engineering) 발상은 공공계획의 기원을 이루었고, 맑스의 사회주의혁명 이론은 급진적 사회계획을 의미했다. (... ...) 물론 근대국가의 합리적 종합계획이 모두 효과적이거나 항상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그것의 극단적인 형태에 해당하는 소위 ‘고도 근대주의’(high modernism) 사회공학이 20세기 인류문명에 수많은 폐해를 남긴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Scott, 1996). 우선 국가의 영향력은 원래 계획한 사회경제적 목표의 달성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성공적 실현과정에서 계급구조나 사회갈등 혹은 정치문화 전반에 걸쳐 ‘非意圖的 結果’를 초래할 수 있다.




저도 문명의 진보는 믿습니다만...하이에크가 이야기하는 자생적 질서를 통한 진보를 믿지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을 통한 진보를 믿지 않기 때문에.

... 자료: 어떤 댓글



  • 『빈 서판』, 14 쪽 : 그리고 인간이 대규모 사회 정화 운동에 의해 개조될 수 있다는 확신은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잔학 행위들을 낳았다.
  • 번역 수정 : 그리고 인간이 대규모 사회 공학 프로젝트에 의해 개조될 수 있다는 확신은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잔학 행위들을 낳았다.
  • massive social engineering projects’를 ‘대규모 사회 정화 운동’이라고 번역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운동’의 주체는 대중일 수 있지만 ‘프로젝트’의 주체는 엘리트이기 십상이다.



신우파에서 볼 때, 복지국가 지지자들은 시장질서의 중요성, 정교함, 잠재력과 같은 복잡성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편적인 사회공학의 가능성만을 인정한다고 본다. 또한, 복지국가 지지자들은 복지국가정책이 공동의 사회적 목적과 욕구와 주장을 만족시킬 수 있고 또 그럴 필요성이 있다고 믿는데 반해. 신우파는 사회는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수단에 대한 동의에 의해서 보다 안전하게 결속될 수 있다고 비판한다. (...) 대량 생산, 대량소비를 바탕으로 형성된 포디즘체제는 근대가 만들어낸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의 최정점인 복지 국가의 물적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복지국가, 즉 선진산업국가의 대량생산, 대량소비를 실현하기 위해 인간은 끊임없이 자연을 개발(착취)해야했고, 이에 따른 수많은 부작용이 발행했으며, 더욱이 이 부작용들은 경제의 분배와 마찬가지로 평등하게 분배되지 못했다. 1970년대 나타난 서구 사회의 공급측면의 위기가 곧 복지국가 위기로 연결되는 가운데 다양한 비판이 터져 나왔지만, 그 가운데서 환경을 파괴해야만 생존이 가능한 기존의 소비 지향적 생활양식과 인간중심이 오만함을 비판하면서 생태주의가 출현하게 되었다.

... 자료: 링크

[자료 참조] 맨큐의 10가지 원칙: 이해와 비판

자료: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자료, 2008년 6월 26일
다운로드: 경제학교과서비판2.hwp
지은이: 홍 훈(연세대학교 경제학과)

※ 이 자료에 이어지는 추가적 내용이 다른 자료 형태로 다른 곳에 있는 듯함. 차차로 메모하며 검토.

* * *

이 글은 신고전학파 경제학 교과서(Gregory N. Mankiew, 《맨큐의 경제학》 김경환 등 역)에서 금과옥조로 생각하는 10가지 원칙을 보다 개념적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고 이를 비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기서 평가나 비판은 특정 논리의 정합성이나 현실적인 타당성을 따질 뿐만 아니라 이 논리와 다른 논리의 연관을 밝히거나 논리가 성립하기 위한 전제나 가정 혹은 조건 등을 파헤치는 일 등을 포함한다.

■ 거론할 대전제: 희소성과 자원배분

■ 10가지 원칙:

기본원리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기본원리 2: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기본원리 3: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기본원리 4: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기본원리 5: 자유로운 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기본원리 6: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기본원리 7: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2010년 11월 16일 화요일

[용어] Social engineering

자료: Wikipedia:



Social engineering is a discipline{??} in political science that refers to efforts to influence popular attitudes and social behaviors on a large scale, whether by governments or private groups. In the political arena, the counterpart of social engineering is political engineering. For various reasons, the term has been imbued with negative connotations. However, virtually all law and governance has the effect of changing behavior and can be considered "social engineering" to some extent. Prohibitions on murder, rape, suicide and littering are all policies aimed at discouraging undesirable behaviors. (... ...)

In practice, whether any specific policy is labeled as "social engineering" is often a question of intent. The term is most often used by libertarians, free-market thinkers, and traditionalists as an accusation against anyone who proposes to use law, tax policy, or other kinds of state influence to change existing social mores or power relationships: for instance, between men and women, or between different ethnic groups.

- Political conservatives in the United States have accused their opponents of social engineering through the promotion of political correctness, insofar as it may change social attitudes by defining "acceptable" and "unacceptable" language or acts, and through such programs as the banning of prayers at public events.

- Political liberals in the United States have accused their opponents of social engineering through the promotion of Abstinence-only sex education, the English-only movement, Sodomy laws and state sponsored school prayer.
(... ...)


In his classic political science book,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I, The Spell of Plato, Karl Popper examined the application of the critical and rational methods of science to the problems of the open society. In this respect, he made a crucial distinction between the principles of democratic social reconstruction (called 'piecemeal social engineering') and 'Utopian social engineering'

Popper wrote:
the piecemeal engineer will adopt the method of searching for, and fighting against, the greatest and most urgent evil of society, rather than searching for, and fighting for, its greatest ultimate good.[1]
According to Popper, the difference between 'piecemeal social engineering' and 'Utopian social engineering' is:
the difference between a reasonable method of improving the lot of man, and a method which, if really tried, may easily lead to an intolerable increase in human suffering.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at any moment, and a method whose advocacy may easily become a means of continually postponing action until a later date, when conditions are more favorable. And it is al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ly method of improving matters which has so far been really successful, at any time, and in any place, and a method which, wherever it has been tried, has led only to the use of violence in place of reason, and if not to its own abandonment, at any rate to that of its original blueprint.[1]

Dic: 유의어: border, margin, verge, edge, rim, brim, brink


  1. border는 경계선 바로 안쪽의 표면부분 또는 경계선에 인접한 안팎의 좁고 가느다란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고 경계선을 가리키는 수도 있다.
    … the border of a rug.
    … I had at last reached the border of the forest.

  2. margin은 구별할 수 있는 어떤 표적이 있어서 다른 나머지의 면과 다소 명확하게 가려낼 수 있는 일정한 넓이를 가진 변두리(border)를 말한다.
    … the margin of a printed page, the margin of a lake

  3. verge는 표면이나 퍼진 면(expanse)의 한계나 말단(termination)을 선명히 나타내는 선이나 대단히 좁은 공간을 가리킨다.
    … The sky was clear from verge to verge.(하늘은 끝에서 끝까지 맑았다.)

  4. edge는 칼·접시·널판·상자 따위와 같은 두 표면이 하나로 접해서 생기는 날카로운 말단선을 가리키며 흔히 무딤에 대한 날카로움과 그에 따르는 베는 힘을 암시한다.
    … the edge of a box
    … Put an edge on this knife.(이 칼에 날을 세워라.)

  5. rim은 바퀴·북 따위처럼 원형이나 곡선으로 된 면의 가장자리를 가리킬 때 쓰인다.
    … the rim of the moon, the rim of a bucket

  6. brim은 물잔 따위처럼 속이 움푹한 그릇 안쪽의 가장자리 또는 호수의 우묵한 바닥에서 가장 높은 선을 가리킨다.
    … Fill the pot to the brim.(솥에 가득히 채워라.)
    … The river had risen to the brim.

  7. brink는 벼랑, 낭떠러지 따위의 끝을 말한다. 그래서 the river's brink라고 하면 강 언덕이 가파른 것을 강조하고, the river's brim이라고 하면 강변에 대단히 가까운 것을 강조한다.
※ 이상의 낱말들은 다 비유적 용법을 가지고 있다.
  • the border of good taste (좋은 취미의 한계선)
  • the margin of error
  • He is on the verge of ruin. (그는 몰락할 지경에 처해 있다.)
  • There was an edge in his tone. (그의 어조는 서슬이 시퍼랬다.)
  • the rim of consciousness
  • a mind filled to the brim (가득히 차 오른 마음)
  • the brink of disaster(금방이라도 재난이 닥쳐올 듯한 지경)

Dic: close, one of its usages as a verb


【MAKE DISTANCE/DIFFERENCE SMALLER】 [I and T]
to make the distance or difference between two things smaller.
  • an attempt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close on:
  • The other car was closing on us fast.
.... LDOCE


2010년 11월 14일 일요일

[자료] 종교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통한 종교의 영향 고찰

자료소개: 학술교육원,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9760
다운로드: 학술교육원, http://www.earticle.net/SourceDownload.aspx?sn=29760
출처: 기독교교육논총 [KCI 등재] 제13집 2006년 6월

제목: 종교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통한 종교의 영향 고찰
지은이: 박은혜, 성결대학교

주제어: 종교성, 종교의 영향, 종교성 향상, 성장심리학,문제중심학습, religiosity, influence of religion, religiosity growth, growth psychology, problem based learning


※ 메모:

프로이트는 종교에 대해 부정적이고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 미성숙한 사람이 종교에 의지하여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한다고 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주1]

한편 융은 종교가 자아인식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즉, 진정한 종교적 경험, 특히 종교적 상징들을 통하여 자신의 '자기'와 만나고 이해하게 되어 분열된 인간의 마음을 온전하게 통합하여 개성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주2]

종교성의 개념

올포트(Allport)의 종교성은 행동 뒤에 숨어있는 하나님을 향한 동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종교의 종류 또는 종교적 행동보다는 종교를 향한 동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동기, 인격, 인지 스타일 또는 다른 어떤 것을 조금씩 의미하는 것이다.[주4]

올포트는 외재적 종교성(extrinsic-religiosity)내재적 종교성(intrinsic-religiosity)으로 종교성을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 둘의 관계는 반대되는 양극이라고 주장했고, 종교적인 사람들은 모두 이 양극 사이의 일정 지점에 놓이게 된다고 주장했다. 여러 학자들이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를 통해 외재적 종교성은 개인이 자신의 태도를 밝힐 때나 느낌을 나타낼 때나 행동을 함에 있어서 비본질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며 종교를 자신의 삶에 이용하는 미성숙한 종교성을 나타내며, 내재적 종교성은 본질적인 동기에 의해 자신의 행동과 느낌, 태도를 나타내고 취하는 성숙한 종교성을 측정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자료] 기독교교육과 상담을 위한 종교성향 진단 프로그램

자료: 초하뮤지엄.넷, http://chohamuseum.net/78
자료 제목: 기독교교육과 상담을 위한 종교성향 진단 프로그램(측정도구)

※ 부분 발췌:

1. 종교 성향 이론  

사람이 어떤 것을 믿고 있다는 것, 즉 인간의 종교성은 사고, 감각, 의지, 행동, 직관, 사회적 심리, 또는 무의식의 세계 등과 같은 정신 현상들 가운데서 어떠한 부분으로 설명되어야 되는가는 종교심리학에 있어서 중요한 논점이 됩니다. 종교성향에 대한 연구는 1954년 종교인과 비종교인에 대한 구별 없이 종교성을 맹목적 서열척도로 구성하여 연구한 피셔(Ficher)의 구분으로부터 출발합니다.1) 그 후 50년대 후반에 들어 비로소 종교성이 다차원적 현상으로 이해되면서 여러 차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렌스키(Lenski, 1963)는 종교성을 예배에 협의적으로 참여하고 공동체적인 참여를 보이는 “집단 참여”의 차원과 교리적 정통성을 갖고 신과 교통하는 경건성을 보이는 “정향(orientation)"의 차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또한 글락과 스탁(Glock & Stark, 1965)은 종교의 다차원성을 제안하고, 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 연구를 종합하는 전체적 접근을 시도하여 종교 믿음, 종교적 실행의 문제, 종교적 체험, 종교적 지식, 종교적 영향력의 결과적 차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외에 종교성을 지향적(salient) 차원으로 구분함으로써 종교에 대한 연구에 크게 공헌한 앨포트(Allport, 1967)의 연구가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의 교수이며 심리학자인 앨포트는 인간의 신앙 가운데 가장 중심적이며 역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가르켜 종교성(religiosity)이라 설명하였습니다. 믿음 체계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종교가 행위자에게 지향적이어야 한다는 근거하에 종교 성향의 성격을 크게 내재적(intrinsic), 외재적(extrinsic) 개념으로 구분하였습니다.2) 앨포트와 로스(Allport & Ross, 1967)는 이 개념을 구분하여 그에 관한 많은 경험적 연구를 발표하였고, 확장된 정의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1) 외재적 종교성향

인간이 절대자를 향한 욕구 자체가 자신의 본능적인 충족이나 자기중심적인 경향에 매여 있을 경우, 이것은 또 다른 욕구에의 분출 통로로서 종교를 사용하고 있다고 봅니다. 종교가 생의 중심동기가 아니며, 단지 도구적인 역할을 합니다. “자기-관심”의 정리된 형태로 말해지고 이를 종교로서 합리화합니다. 즉 종교를 자기 자신을 위하여 이용합니다.

이들의 가치관은 늘 도구적이고 실리적이어서 종교를 안전과 위안, 사회화, 기분전환, 자기 정당화를 위해 유용한 것으로 여깁니다. 또 신앙적 자세는 보다 기본적인 욕구에 맞도록 쉽게 정해지거나 선택적으로 형성됩니다. 그러므로 기도나 예배의식, 그리고 행동강령에 순종함으로써 미래의 일들을 통제할 수 있도록 기제나 절차들을 사용합니다.

 2) 내재적 종교성향

위와 같이 인간의 종교적 심리는 그 내면적 동기에 의하여 본질적인 특성이 구분됩니다. 이러한 두 가지의 성향을 정의하면서 앨포트는 외부지향적 동기를 미성숙한 것으로 보았으며, 종교가 삶의 통일된 인생관을 마련해 주는 원천이 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의 종교적 감정은 미성숙하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은 외부지향적 동기를 가지고 종교를 믿는다고 말합니다. 또한 내면적 동기성, 즉 내재적 종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곧 종교적으로 성숙하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후에 앨포트는 몇가지 실증적인 연구를 거쳐서 이 두가지의 구분에 덧붙여 다음 두 가지의 구분을 추가하였습니다. 즉 “무조건적 종교선호성”, 즉 미분호[화?]된 신앙의 특성이 있는 측면과 “무조건적 종교배타성”, 즉 종교에 대한 저항적 성향을 첨가하였습니다.

앨포트의 이러한 내재적, 외재적, 무조건적 선호, 그리고 무조적적 배타 종교성, 즉 사중 구조적 종교성에 대한 이론은 인간의 종교적 심리를 단순한 묘사적 차원에서 여러 관련 분야와의 상관적 실증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면에서 그 가치가 높습니다. 종교적 심리에 끼치는 성격, 사회성, 지능, 집단의 특성, 그리고 비교 종교적 특성 등의 영향에 관한 다양한 실증적 연구가 뒤를 이어 발전되어 왔습니다.

국내에서도 종교성향과 편견, 도덕성, 삶의 의미, 종교 사회적 안정도 등과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최근 들어 발표되었습니다3). 그 연구 결과 내재적 성향은 외재적 성향의 사람보다 편견이 적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내재적 성향의 사람들은 외재적 성향의 사람들보다 도덕성 수준이 높았습니다.

삶의 의미와 종교적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안정도에서도 내재적 종교성향의 집단이 높고 외재적 성향의 집단이 낮게 나타났음을 보여 줍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종교성향은 내재적 종교성향을 갖는 사람이 삶의 만족도와 종교사회적 안정도, 도덕성, 자아정체감, 그리고 긍정적 사고에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종교 성향 척도 및 측정도구 (이하 생략)

Dic: the demands of something, demands on you

[N-PLURAL] usu N of n, N on n | The demands of something or its demands on you are the things which it needs or the things which you have to do for it.
  • ...the demands and challenges of a new job...

demands [plural] the difficult, annoying, or tiring things that you need to do, or a skill you need to have.
  • demands of: the demands of modern life
  • demands on:
    .. The curriculum makes great demands on the teacher.
    .. There are heavy demands on people's time these days.
.... Cobuild, LDOCE


2010년 11월 13일 토요일

[전철의 신학동네] 칼 구스타프 융의 분석심리학

자료: http://theology.co.kr/article/jung.html
출처: 전철의 신학동네
제목: 칼 구스타프 융의 분석심리학

※ 이하, 발췌를 통한 메모:


(... ...) 융의 사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자기〉Self〈자아〉Ego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자기〉는 우리의 생각의 빛이 닿지 않는 어둠의 세계이다. 무의식의 밑바닥에 깊이 놓여 있는 세계이다. 또한 그 세계는 집단 무의식의 원형으로 모든 것을 포괄하는 세계이다. 
  • 그러나 〈자아〉는 자기의 세계보다 훨씬 작은 세계이다. 그리고 의식과 분별의 세계이다.

융에게 있어서 〈자기실현〉이라 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 〈자아〉가 무의식의 바다 깊은 곳에 있는 〈자기〉를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그 원형의 세계에서 뿜어내는 진실한 목소리를 감지하는 것, 그것이 융이 말한 자기실현의 역사이다. 융에게 있어서 삶은 자아가 자기를 발견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 과정은 바다 위에서 출렁거리는 파도와 같은 자아가 수 천 해리 깊이를 가진 마음의 중심인 자기를 찾아가 는 여정이다. (...) 어둠의 세계인 자기의 세계를 빛의 세계인 자아의 세계로 끌어올리는 과정이 깨달음의 과정, 즉 〈자기실현〉의 과정이 되는 것이다. (... ...) (3절. “칼 융의 사상” 중에서)


■ [주19] 
우리는 개성화(individuation)와 개인주의(Individualism)를 명료하게 구분하지 못한다. 하지만 융에게 있어서 개성화는 개인주의와는 분명 다르다. 개인주의는 한 개인에게 부과된 고유한 기질의 단층이다. 또한 개인주의의 기질은 한 개인의 사회적 실현을 간과하거나 혹은 억압한다. 하지만 개성화는 인간의 전체적인 모습을 온전히 실현하는 과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 개인의 특성에 대한 깊은 사려는, 더욱 성숙한 사회적 실현을 추구하게 하는 바탕이 된다 : C. G. Jung, The Relations between the Ego and the Unconscious, The Collected Works, vol. 7, p.171.

■ [주18] 
융은 우주의 대극쌍으로서 '플레로마'와 '클레아투라'를 말한다. 융에게 있어서[:] 
  • 플레로마는 원형의 세계이고 자기 (Self)의 세계이고 영원의 세계이고 무(無)의 세계이다. 플레로마는 이 세계의 근원이자 뿌리이다. 그리고 플레로마와 대극의 자리에는 크레아투라가 놓여있다. 
  • 크레아투라는 자아(自我)의 세계이고 의식의 세계이다. 융은 의식의 기원을, 이해하고자 하는 지칠 줄 모르는 충동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이해는 지(知)이고 그것은 분별(分別) 을 통해서 가능한 것이다. 
무의 세계인 플레로마의 세계에서 분별의 세계인 클레아투라로 나아가려는 것, 그것은 플레로마 자신이 자신을 밝히[밝게?][밝혀?] 드러내어 보이려는 강렬한 의지이고 신념이다. 그런데 플레로마와 클레아투라의 긴장적 대극적 운동플레로마의 세계인 무로 와해되는 것, 그리고 클레아투라의 세계인 끊임없는 분열상으로 와해되는 것동시에 지양한다
  • 클레아투라를 통하여 플레로마가 승화되어 드러나는 과정, 혹은 플레로마의 중심인 자기로 향해 가는 과정이 개성화(個性化)이다. 이 개성화의 과정은 자기실현이다. 하지만 이 과정은 결코 평탄한 길이 아니다. 깨달음이란 고통스러운 것이며 고통을 거치지 않은 깨달음이란 또한 없기 때문이다. 또한 플레로마의 무로 와해되지 않고 클레아투라의 구별로 와해되지 않는 고양과 상승의 과정으로서의 개성화는, 결국, 세계를 배제하지 않고 수용한다 ; {회상, 꿈, 그리고 사상}, pp.365,466. C. G. Jung(이부영 역), {현대의 신화} (서울 : 삼성출판사, 1993), p.21 참조.


■ 5. 결론 : 칼 융이 주는 의미

첫째, 융은 우리의 의식이 우리의 중심이 아님을 말하고 있다. 우리의 의식은 문명화된 의식이다. 의식은 자아의 세계이다. 이 〈자아〉라는 것은 〈자기〉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는 우리의 중심이 아니다. 오히려 자아는 우리의 중심인 자기를 향해 나아가야 하겠다. 우리는 자아의 세계가 전부로만 착각하며 살아간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자기의 세계와 같이 설명되지 않는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시대에 있어서 의식과 무의식의 해리는 자아의 세계를 전부로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주인의 자리에서 노예의 자리로 추방당하였다. 우리는 중심을 상실하였 다. 현대인의 마음은 에덴동산을 상실한 보헤미안의 서글픈 운명이 맺혀 있다.

융은 희미한 잔영으로만 남아있는 자기의 세계에 대한 탐구를 계속해 왔고, 오늘 우리에게 그 세계는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건네주고 있다. 태초로부터 지금까지 우리 내면 가장 깊은 곳에 고여 있는 자기의 세계는 너와 내가 서로 넘나드는 화해의 세계이고 통합의 세계이다. 그 세계는 보다 보편적이며 진실한 세계이고 영원한 세계이다. 오히려 그곳은 그늘에 가리워진 세계가 아니라 빛의 세계이다. 그리고 중심의 세계이다. 그렇다면 꿈을 통하여, 신화를 통하여, 상징을 통하여 자기의 세계에서 자아의 세계를 향해 건네주는 메세지에 우리는 귀를 모아야 하겠다. 왜냐하면 의식의 치명적인 손실은 꿈에 의해 보완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엇보다도 저 깊은 내면의 무의식을 향해 마음을 열어야 하겠다.

둘째, 우리의 세계는 설명 가능한 세계만이 전부가 아님을 말하고 있다. 특히 자아의 세계 안에서의 ‘이성’이라는 것은 지극히 불완전하기 때문에, 우리의 이성으로는 마음의 전체성을 결코 파악할 수 없 다.[14] 융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판적 이성이 지배하면 할수록 인생은 그만큼 빈곤해진다. 그러나 무의식과 신화를 우리가 의식하면 의식할수록 우리는 더 많은 삶을 통합할 수 있다.”[15] 의식을 넘어선 세계에 대한 겸허함을 상실한 채, 이성의 왕국으로만 전진하려는 현대문명의 기나긴 행렬은 사실 막대한 손실을 지불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현대문명은 합리성에 의하여 바벨탑을 축조하였다. 완고한 탑의 벽돌 하나 하나에 깃들어 있는 합리성의 질료는 비합리성을 신화로 매도하었다. 왜냐하면 바벨탑의 세계에서는, “설명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포하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의 시대는 비합리성이 사멸한 시대이다. 그렇다면 비합리성은 존재하지 않는가. 단지 이성의 등불이 건져내지 못하는 심연의 세계를 존재하지 않는다고 당당하게 선포할 수 있는가. 우리는 여기에서 바벨탑이 감내해야 할 불길한 징후를 예감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심연의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마치 빛이 소멸하고 어둠에 깃든 저 밤하늘에는 단지 우리 눈에 보이는 저 별만 존재한다고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심연은 존재를 망각케 한다. 하지만 존재는 심연에 앞선다. 오히려 존재는 어둠을 품는다. 심연과 어둠에 서 있는 존재는, 비록 설명되지 않을지언정, 자명한 존재이다. 그래서 은폐되어 있고 불가해한 존재 (essentia absconditus et incomprehensibilis)는 모르는 존재(essentia ignotus)가 아니다.[16] 사실 ‘비합리적인 것’은 모르는 것이나 인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그것은 우리와 전혀 상관이 없다. 심지어 우리는 그것에 관하여 ‘비합리적인 것’이라고 조차도 이름붙일 수 없을 것이 다.[17] 이름은 존재의 징표이기 때문이다. 실로 융의 동시성 이론이나 죽은 자와의 대화는 우리의 이성이 얼마나 빈약한 기능인가를 예증해 준다. 오히려 눈에 보이지는 않고 설명되지는 않는 세계가 우리 가까이에 있고, 그리고 그 세계가 우리를 인도한다고 융은 말한다.

셋째, 융은 우리 각자의 生이 매우 소중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모든 인간 심성의 뿌리에는 저 깊은 무의식의 세계, 전체의 세계와 닿아 있다. 그렇다면 각자의 生은 결코 가볍거나 보잘 것 없는 生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生은 우주를 닮아 있다. 영원의 세계인 무의식의 현현이 각자의 生인 것이다. 플레로마의 세계에서 클레아투라의 세계로 뛰어든 최초의 사건이 生이다.[18] 우리의 生은 불멸의 무한한 세계가 유한한 세계 속으로 뛰어든 사건이다. 더 나아가 우리의 生은 끊임없는 성숙을 지향하는 존재이다. 그 지향이 바로 '개성화'인 것이다.[19]

우리는 융을 통하여 살아있음(生)이 결코 예사스럽지 않음을 발견한다. 이제 생은 환희이고 생명은 경이로움이다. 하늘을 향해 날개를 펄럭거리며 비상하는 저 새를 보자. 새는 날기 위하여 얼마나 지난한 시간 동안 새가 되려는 꿈을 꾸었을까. 인간은 인간이 되고 싶어서 얼마나 긴 계절을 인간의 꿈을 꾸었을까. 인간은 백 년의 삶을 만나기 위하여 백 만년 동안, 그 한 순간만을 꿈꾸어 온 존재이다. 백만 년 겨울잠의 기나긴 제의를 통하여 우리의 삶은 주어진 것이다. 우리 삶의 밑둥에는 백만 년의 지난한 세월을 견뎌온 뿌리가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지금 단지 백 년을 사는 삶이 아니다. 우리는 백만 년을 몸으로 살아 가는 푸른 생명나무이다. 그 생명나무가 가장 찬연한 열매를 맺는 그 순간, 그 절묘한 순간이 바로 지금의 生이다. 그러기에 生은 저 영원의 빛의 드러남이다. 또한 지금의 生은 ‘자신의 고유한 모습을 구현 (Individuation)’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어디론가 나아간다.

마지막으로, 꿈은 인류를 구원하는 유일한 길임을 우리에게 예언한다. 꿈이란 자기와 자아가 체험하는 두 지대의 합이다. 그렇기 때문에 꿈은 삶을 회복할 수 있게 해주는 중심의 소리이다. 꿈은 삶의 해리를 통합한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아름다움이 이 세상을 구원하리라!"고 고백하였다면, 융은 "꿈이 이 세상을 구원하리라!"고 지금 우리에게 고백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구원은 꿈을 타고 우리에게 건너오기 때문이다.

우리가 처음 서늘하게 만났던 융에 대한 감정은 이제는 따스한 할아버지로, 예리한 관조의 시선을 통하여 우리의 상한 영혼을 치유해 주는 영혼의 의사로, 오늘의 가난한 마음과 가난한 문명에 한 줄기 빛을 선사하는 천상의 헤르메스로 새롭게 다가오고 있다.

....

꿈은 마음의 가장 깊고, 가장 은밀한 곳에 숨어 있는 작은 문(門)이며 그 문은 저 우주의 태고적 밤을 향하여 연다. 그것은 아직 자아의식이 없던 시기의 마음이었고 자아의식이 일찍이 도달할 만한 곳을 훨씬 넘어서 있는 마음이 될 태초의 밤이다.[20] - 칼 구스타프 융 -

[용어 탐색] affect, positive/negative affect

■ Affect (in psychology):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Affect_(psychology)

Affect refers to the experience of feeling or emotion.[1] Affect is a key part of the process of an organism's interaction with stimuli. The word also refers sometimes to affect display, which is "a facial, vocal, or gestural behavior that serves as an indicator of affect" (APA 2006).
The affective domain represents one of the three divisions described in modern psychology: the cognitive, the conative, and the affective. Classically, these divisions have also been referred to as the "ABC of psychology", in that case using the terms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In certain views, the conative may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affective,[2] or the affective as a part of the cognitive.[3] (... ...)

■ Negative affectivity: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Negative_affectivity
Negative Affect (NA) is a general dimension of subjective distress and unpleasurable engagement that subsumes a variety of aversive mood states, including anger, contempt, disgust, guilt, fear, and nervousness. Individuals high in NA are characterized by distress, unpleasurable engagement, and nervousness. Low negative affect is characterised by a state of calmness and serenity. (... ...)

■ Positive affectivity: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Positive_affectivity
Positive Affect (PA) reflects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feels enthusiastic, active, and alert. High PA is a state of high energy, full concentration, and pleasurable engagement, whereas low PA is characterized by sadness, lethargy, distress, and un-pleasurable engagement. (... ...)

[용어 탐색]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ubjective well-being


지은이: 고진경․윤태영․박재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출처: 한국의학교육 : 제 19 권 제 3 호 2007
제목: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의과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탐색 용어:
  • Coping(대처)
  • Subjective well-being(주관적 안녕감)
  • Positive Affect(긍정적인 정서)
  • Negative Affect(부정적인 정서)
  • problem-focused coping(문제중심대처)
  • emotion-focused coping(정서중심대처)
아래는 발췌한 일부 내용.
* * *


서 론

의과대학의 일상은 스트레스의 연속이다. 의대생들은 학업에 대한 심적 부담, 과중한 학업량, 수면부족, 그리고 재정적 압박까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의과대학의 경쟁적인 환경 속에서 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이나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많지 않다. 신체적, 정신적 고단함은 의과대학의 훈련과정의 한 부분이며, 현재의 성취와 미래의 안정을 위해 응당 참아내야 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현재의 의학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정신 건강에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학생들은 우울감, 불안, 그리고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Guthrie et al., 1998; Mosley et al., 1994). 의대생들이 훈련과정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수준은 보통 사람들이 경험하는 것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Helmers, et al., 1997). 의과대학에 다니는 동안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의 심리적 태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며, 졸업 후 직업생활에서의 정서문제로 이어진다. 이는 결국 환자를 다루는 능력의 저하로 나타나게 된다 (Shanafelt et al., 2002; Wolf et al., 1989; Krakowski, 1982).

이러한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스트레스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학교와 교수들의 인식 수준은 매우 낮다. Alexander & Haldane (1979)의 연구에 의하면 의과대학의 교수들은 학생들의 요구에 둔감하며, 학업에 영향을 줄만한 정서적,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생들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 자신의 심리적 상태에 대해 성찰하고 있었다.

최근 AAMC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 2004)에서는 의학교육 개선방향 중 하나로서 모든 의학교육기관에서 ‘학습자의 건강과 심리적 안녕’을 반드시 고려할 것을 요청하는 등 제도적인 노력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에서는 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있지 않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나 전반적인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하여 1) 학생들이 주로 선택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2) 어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이 더 높거나 낮은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으로 학생들이 소속에 따라 의학과와 의전원 학생으로 구분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3) 두 집단 학생들의 스트레스 적응전략과 주관적 안녕감이 어떻게 다른지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가. 주관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subjective well-being)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Szalai (1980)는 주관적 안녕을 개인이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느끼는 행복감 혹은 만족감으로 정의하였으며, Veenhoven (1991)은 자신의 삶의 질적 수준에 대하여 호의적으로 판단하는 정도로 설명하였다. Campbell et al. (1976)에 의하면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판단은 정서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을 통합하여 내리게 된다. 정서적 측면에서는 자신이 경험하는 정서들의 유쾌한 정도(hedonic level)를, 인지적 측면에서는 스스로 욕망이 성취되었다고 지각하는 정도를 평가한다.

주관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정서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은 각각 긍정적/부정적 정서반응과 생활 만족도로 치환될 수 있다. 즉, 주관적 안녕은 긍정적인 정서 (Positive Affect: PA), 부정적인 정서 (Negative Affect: NA) 그리고, 삶의 만족 (Life Satisfaction: LS) 등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Andrews & Withey, 1976).

나.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처(coping)란 자신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행하는 노력이다. 대처행동은 성격처럼 일관성 있는 반응이 아니라 상황에 따른 융통적 대응으로 나타나며, 의도적인 노력을 포함한다.

Lazarus와 Folkman (1984b)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문제중심대처(problem-focused coping)정서중심대처(emotion-focused coping)로 구분하였다. 문제중심대처는 스트레스의 근원을 변화시키거나 없애기 위해서 문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반응을 말하며, 정서중심대처는 정서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서적 고통을 조절하는
반응을 말한다.

스트레스의 원인이 무엇이든 스트레스 대처가 목표하는 바는 적응이다. 어떤 대처방식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상황에 적응하거나 부적응을 겪는 결과로 이어진다. 대처방식에 따른 적응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가장 잘 적응하며, 회피지향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적응 수준이 낮다. Billings와 Moos (1984)는 우울한 사람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덜 하며, 정서중심적 대처를 더 많이 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분석한 Billing과 Moos (1981)는 문제중심대처는 심리적 안녕과 정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Lazarus와 Folkman (1984a)의 연구에서는 문제중심대처와 정서중심대처가 모두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환자의 심리적 안녕과 기능을 측정한 연구에 의하면 문제중심과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와 같이 적극적인 대처를 많은 사용하는 사람의 안녕감과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하 생략)


지은이: 민지혜, 신우열, 김주환
제목: 긍정적 정서는 우리의 판단을 자유롭게 한다: 유발된 정서가 맥락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모:
  • 긍정적 정서
  • 부정적 정서
  • 맥락 효과(context effect)
  • 정서(emotion): 이 연구에서는 한국심리학회의 심리학 학술 용어 정비위원회의 영문 심리학 학술용어에 따라, ‘emotion’을 ‘정서’로 번역했다.
    http://www.koreanpsychology.or.kr/sub07_5.php (서버 오류로 참조 불가. 2010년11월13일)
  • “정서 유발” ....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에게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키기 위해 얼굴 근육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Strack, et al, 1988).”

Two readings in Emotion, Affect, Feeling

Many thanks to the writers for their articles kindly provided on the Internet, which I put here for my personal reference. Some annotations are added to read and study. So please refer to the source links marked below for each to see the original content.


* * *

자료 1: PSYBLOG: Understand your mind
지은이: Jeremy Dean, NOVEMBER 17, 2006
제목: Blurred Definitions of Affect and Emotion

Blurry and confusing definitions are the stock-in-trade of psychologists, just as they are of many other scientists. Perhaps you have noticed that I have been guilty of using the words 'affect' and 'emotion' rather loosely. I'm not the only one. Similar to many other areas of psychology, emotion researchers are far from decided and united on where to draw the lines, and, indeed, if lines can or should be drawn at all.

Panksepp (2000) offers the following delineation:
  • Emotion is the umbrella term for all of the behavioural, expressive, cognitive and physiological changes that occur.
  • Affect is the conscious experience of an emotion.
  • Emotional affect is the unconscious component of emotion.
  • Non-emotional affect is rather a vague term that just includes everything that isn't an emotional affect, e.g. nausea and pain. [I don't agree with Panksepp here, how can pain be considered non 'action-promoting'?]

Emotional affect, then, is what Panksepp dismissively refers to as "...'spooky' mental issues..." (Panksepp, 2000:50) and what LeDoux (1996) calls the proper and necessary subject of emotion research.

The well-known neurologist and emotion researcher Antonio Damasio has suggested the following taxonomy:
  • A state of emotion can be started and executed unconsciously.
  • A state of feeling is unconscious.
  • A state of feeling made conscious which is the emotion and feeling made conscious (I think!)
  • Affect, then, is the conscious experience of emotion.

Different purposes require different definitions and Panksepp and Damasio have different purposes for their definitions. That said,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For example, Panksepp thinks affect is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Damasio think it is only conscious (or nonconscious as he writes). Panksepp thinks emotion is an umbrella term for everything, Damasio thinks it describes only unconscious aspects. And, as each of them is grappling with these vague concepts, just like the rest of us, they are both correct, for their own purposes.

To take a third example, perhaps more typical, Davidson (2003) appears to use the words 'affect' and 'emotion' interchangeably.
"Sin 2: Affect is subcortical. There is a tendency among some investigators to regard emotions as largely subcortical and to sometimes also assume that cognitions are cortical." (Davidson, 2003:129, emphasis added)
Incidentally I'll be returning to this article to talk about the seven deadly sins of emotion researchers.

Given the state of confusion over meaning, I'm forced to reserve judgement over the 'correct' definition of affect and emotion. I'd like to go along with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ffect' as a "Feeling or emotion, especially as manifested by facial expression or body language" (Dicitonary.com) but, clearly for psychologists and those in related fields, the word's technical usage has yet to settle down.
Damasio, A. (1999). The Feeling of What Happens: Body Emotion and the Making of Consciousness. London: Vintage.
Davidson, R. (2003). Seven sins in the study of emotion: Correctives from affective neuroscience. Brain and Cognition, 52(1), 129-132.
Panksepp, J. (2000). Affective consciousness and the instinctual motor system: The neural sources of sadness and joy. The Caldron of Consciousness: Motivation, Affect and Self-organization, Advances in Consciousness Research. Amsterdam: John Benjamins Pub. Co.
* * *

자료 2: M/C Journal: A Journal of Media and Culture
지은이/출처: Eric Shouse, "Feeling, Emotion, Affect." M/C Journal 8.6 (2005). 13 Nov. 2010.
제목: Feeling, Emotion, Affect

1 ■
AFFECT/AFFECTION. Neither word denotes a personal feeling (sentiment in Deleuze and Guattai).
  • L’affect (Spinoza’s affectus) is an ability to affect and be affected. It is a prepersonal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from one experiential state of the body to another and implying an augmentation or diminution in that body’s capacity to act.
  • L’affection (Spinoza’s affection) is each such state considered as an encounter between the affected body and a second, affecting, body … (Massumi, Plateaus xvi)

2 ■
Although feeling and affect are routinely used interchangeably, it is important not to confuse affect with feelings and emotions. As Brian Massumi’s definition of affect in his introduction to Deleuze and Guattari’s A Thousand Plateaus makes clear, affect is not a personal feeling.
  • Feelings are personal and biographical,
  • emotions are social,
  • and affects are prepersonal.
In the remainder of this essay, I will attempt to unpack the previous sentence and provide some examples that will illustrate why the distinction I’ve made between feelings, emotions, and affects is more than pedantry.

3 ■
A feeling is a sensation that has been checked against previous experiences and labelled. It is personal and biographical because every person has a distinct set of previous sensations from which to draw when interpreting and labelling their feelings. An infant does not experience feelings because she/he lacks both language and biography. Yet, almost every parent will state unequivocally that their child has feelings and expresses them regularly (what the parent is actually bearing witness to is affect, about which, more shortly).

4 ■
An emotion is the projection/display of a feeling. Unlike feelings, the display of emotion can be either genuine or feigned. The distinction between feelings and emotions was highlighted by an experiment conducted by Paul Ekman who videotaped American and Japanese subjects as they watched films depicting facial surgery. When they watched alone, both groups displayed similar expressions. When they watched in groups, the expressions were different. We broadcast emotion to the world; sometimes that broadcast is an expression of our internal state and other times it is contrived in order to fulfill social expectations. Infants display emotions although they do not have the biography nor language skills to experience feelings. The emotions of the infant are direct expressions of affect.

5 ■
An affect is a non-conscious experience of intensity; it is a moment of unformed and unstructured potential.
  • Of the three central terms in this essay – feeling, emotion, and affect – affect is the most abstract because affect cannot be fully realised in language, and because affect is always prior to and/or outside of consciousness (Massumi, Parables).
  • Affect is the body’s way of preparing itself for action in a given circumstance by adding a quantitative dimension of intensity to the quality of an experience. The body has a grammar of its own that cannot be fully captured in language because it “doesn’t just absorb pulses or discrete stimulations; it infolds contexts…” (Massumi, Parables 30).
Before this gets too abstract, let’s return to the example of the infant.

6 ■
An infant has no language skills with which to cognitively process sensations, nor a history of previous experiences from which to draw in assessing the continuous flow of sensations coursing through his or her body. Therefore, the infant has to rely upon intensities (a term that Massumi equates with affect). “Affects are comprised of correlated sets of responses involving the facial muscles, the viscera, the respiratory system, the skeleton, autonomic blood flow changes, and vocalisations that act together to produce an analogue of the particular gradient or intensity of stimulation impinging on the organism” (Demos 19). The key here is that for the infant affect is innate. Through facial expression, respiration, posture, color, and vocalisations infants are able to express the intensity of the stimulations that impinge upon them. Thus, parents are correct when they say their children express emotion. On the other hand, they are incorrect when they attribute feelings to the little tots. Their offspring have neither the biography nor the language to feel.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is one in which we partially learn how to bring the display of emotion under conscious control. Affects, however, remain non-conscious and unformed and “are aroused easily by factors over which the individual has little control . . .” (Tompkins 54). For the infant affect is emotion, for the adult affect is what makes feelings feel. It is what determines the intensity (quantity) of a feeling (quality), as well as the background intensity of our everyday lives (the half-sensed, ongoing hum of quantity/quality that we experience when we are not really attuned to any experience at all).

7 ■
One of the simplest ways to understand how affect continues to operate meaningfully in the lives of adults even after they have gained some conscious control over their emotions is to look at an individual whose affect system has gone haywire. Neurologist, Oliver Sacks, described his experience with such a person. She was an elderly patient who had suffered a hip fracture. The fracture resulted in the immobilisation of her leg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t the time Sacks began working with her, the woman hadn’t regained feeling in her leg in three years. She was not able to consciously move her leg and she felt that it was “missing.” However, when she heard music she would involuntarily tap her foot to the beat. “Th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 ordinary physiotherapy had been of no use. Using support (a walker, etc.), we were able gradually to get her to dance, and we finally achieved a virtually complete recovery of the leg, even though it had been defunct for three years” (Sacks 170-1).

8 ■
The woman in the previous story couldn’t move her leg via the usual conscious mechanisms because the leg had become disconnected from her a-conscious awareness of her body, or “proprioception.” Proprioception is the “continuous but unconscious sensory flow from the movable parts of our body (muscles, tendons, joints), by which their position and tone and motion are continually monitored and adjusted, but in a way which is hidden from us because it is automatic and unconscious” (Sacks 43). Affect adds intensity, or a sense of urgency to proprioception which is why music – the recollection of which is partially stored in the body – could move this woman’s leg when will alone could not.

9 ■
What is remarkable about the story of the woman whose leg danced all on its own is not so much that affect trumped will in this particular case, but that this is just one example of the way in which affect always precedes will and consciousness (Massumi, Parables 29). At any moment hundreds, perhaps thousands of stimuli impinge upon the human body and the body responds by infolding them all at once and registering them as an intensity. Affect is this intensity. In the infant it is pure expression; in the adult it is pure potential (a measure of the body’s readiness to act in a given circumstance). Silvan Tompkins explains that affect has the power to influence consciousness by amplifying our awareness of our biological state:

10 ■
The affect mechanism is like the pain mechanism in this respect. If we cut our hand, saw it bleeding, but had no innate pain receptors, we would know we had done something which needed repair, but there would be no urgency to it. Like our automobile which needs a tune-up, we might well let it go until next week when we had more time. But the pain mechanism, like the affect mechanism, so amplifies our awareness of the injury which activates it that we are forced to be concerned, and concerned immediately (Tomkins 88).
11 ■
Without affect feelings do not “feel” because they have no intensity, and without feelings rational decision-making becomes problematic (Damasio 204-22). In short, affe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bodies, our environment, and others,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that we feel/think as affect dissolves into experience.

12 ■
What does all of this mean for individuals who are interested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It means that describing “media effects”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of ideology sometimes results in the post hoc ergo propter hoc (after this therefore because of this) fallacy. This has to do with the second term in Massumi’s definitions of affect/affection. L’affection is the process whereby affect is transmitted between bodies. “The transmission of affect means that we are not self-contained in terms of our energies. There is no secure distin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Brennan 6). Because affect is unformed and unstructured (unlike feelings and emotions) it can be transmitted between bodies. The importance of affect rests upon the fact that in many cases the message consciously received may be of less import to the receiver of that message than his or her non-conscious affective resonance with the source of the message.

13 ■
Music provides perhaps the clearest example of how the intensity of the impingement of sensations on the body can “mean” more to people than meaning itself. As Jeremy Gilbert put it, “Music has physical effects which can be identified, described and discussed but which are not the same thing as it having meanings, and any attempt to understand how music works in culture must . . . be able to say something about those effects without trying to collapse them into meanings.” In a lot of cases, the pleasure that individuals derive from music has less to do with the communication of meaning, and far more to do with the way that a particular piece of music “moves” them. While it would be wrong to say that meanings do not matter, it would be just as foolish to ignore the role of biology as we try to grasp the cultural effects of music. Of course, music is not the only form of expression that has the potential to transmit affect. Every form of communication where facial expressions, respiration, tone of voice, and posture are perceptible can transmit affect, and that list includes nearly every form of mediated communication other than the one you are currently experiencing.

14 ■
Let me clarify that the transmission of affect does not mean that one person’s feelings become another’s. The transmission of affect is about the way that bodies affect one another. When your body infolds a context and another body (real or virtual) is expressing intensity in that context, one intensity is infolded into another. By resonating with the intensity of the contexts it infolds, the body attempts to ensure that it is prepar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a given circumstance. Given the ubiquity of affect, it is important to take note that the power of many forms of media lies not so much in their ideological effects, but in their ability to create affective resonances independent of content or meaning.

15 ■
The power of affect lies in the fact that it is unformed and unstructured (abstract). It is affect’s “abstractivity” that makes it transmittable in ways that feelings and emotions are not, and it is because affect is transmittable that it is potentially such a powerful social force. This is why it is important not to confuse affect with feelings and emotions, and why I agree with Brian Massumi that Lawrence Grossberg’s term “affective investments” doesn’t make a whole lot of sense. If, as Massumi proposes, affect is “unformed and unstructured,” and it is always prior to and/or outside of conscious awareness, how is one to “invest” in it (Parables 260)? Investment presumes forethought and a site for deposit, and affect precedes thought and is as stable as electricity. This isn’t to say that there aren’t practices where certain enhancing forms of affect are more prevalent, only that the people who engage in those practices are not investing in affect, but rather in the hope of being moved. Of course, one of the lessons of cultural studies is that investing in hope has moved people before.

■ References

  • Brennan, Teresa. The Transmission of Affect. Ithaca: Cornell U. P., 2004.
  • Damasio, Antonio. Descartes’ Error. 1994. New York: Quill, 2000.
  • Demos, Virginia E. “An Affect Revolution: Silvan Tompkin’s Affect Theory.” Exploring Affect: The Selected Writings of Silvan S. Tompkins. Ed. Virginia E. Demos. New York: Press Syndicate of the U. of Cambridge, 1995: 17-26.
  • Ekman, Paul. “Universal and Cultural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 of Emotio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Ed. J. R. Cole. Lincoln: U of Nebraska P, 1972: 207-83.
  • Gilbert, Jeremy. “Signifying Nothing: ‘Culture’, ‘Discourse’ and the Sociality of Affect. Culture Machine 2004. <http://culturemachine.tees.ac.uk/>.
  • Massumi, Brian. “Notes on the Translation and Acknowledgements.” In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A Thousand Plateaus. Minneapolis: U of Minnesota P, 1987.
  • ———. Parables for the Virtual. Durham: Duke UP, 2002.
  • Sacks, Oliver. A Leg to Stand On. New York: Touchstone, 1984.
  • Tompkins, Silvan. Exploring Affect: The Selected Writings of Silvan S. Tompkins. Ed. Virginia E. Demos. New York: Press Syndicate of the U of Cambridge, 1995.

2010년 11월 12일 금요일

Dic: 갈수록

부사.

■ 시간이 흐르거나 일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더.

  • 갈수록 환경오염이 심해진다.
  • 세상인심이 갈수록 각박해진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시간이 지나면 더욱 더. 점점 더.
  • 갈수록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져 갔다.
  • 갈수록 매출이 신통치 않아요.
... 연세한국어사전

[자료] ADD(ADHD), 리탈린(Ritalin), 경기력 향상, 마약,

자료 1: 인간 뇌의 신경과학적 향상은 윤리적으로 잘못인가?
지은이: 이상헌(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논문집 《철학논집》2009. 06

(... ...) 신경전달물질 체계를 약리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주의력, 지각력, 기억력 등의 인지 능력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과거에는 나쁜 아이 정도로 생각되었던 것이 오늘날은 신경학적 기능장애로 이해되는 것이 있다. 바로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이다. 이 장애는 학교에서든 집에서든 과도하게 파괴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신경학적으로는 충동을 제어하고 주의력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에 이상이 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행동 특성만 놓고 본다면 다양한 원인이 지적되고 있다. 주의력은 일차적으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에 의해서 조절된다.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와 암페타민(아데롤)은 두 호르몬 체계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ADHD에 효과적이다.
이 약물들을 정상인에게 사용하면, 각성 상태와 반응 시간에 의미 있는 변화가 생기며, 문제해결이나 기획 등 고급 인지 기능의 향상 효과가 있다. 미국에서는 메틸페니데이트가 상당히 널리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 고등학생의 10%, 대학생의 20% 정도가 리탈린과 같은 신경 자극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주9] (... ...)

자료 2: 마약류 용어해설
지은이: 국가정보원
리탈린(Ritalin)=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리탈린은 非암페타민계 중추신경 흥분제로 주의 산만 및 수면 발작 치료제로 사용된다. 순한 각성제, 항 우울제로 약효가 지속되는 동안 지나친 흥분을 일으키지 않고 약효가 사라진 후에도 우울증을 남기지 않으며 기분과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 의존증이나 금단증상은 암페타민류와 유사하나 발생빈도는 현저히 낮다.

자료 3: Maybe Your Child Has ADD and Needs Ritalin
지은이: Lawrence Diller, Saturday, October 17, 2009
What You Should Do When Someone Tells You: "Maybe Your Child Has ADD and Needs Ritalin"
Perhaps you feel panic, anger or relief. Wait. All they're really telling you is that your child isn't meeting their expectations of behavior or performance. Attention Deficit Disorder (ADD or ADHD for hyperactivity) has become the all too inclusive umbrella term for a variety of childhood (and increasingly adult) problems.
However, given current views on behavior, if they're suggesting ADD they're implying that they think the problem is because of your child's brain - and that may be only be part of the problem or not be the case at all.
Before you pursue investigating a "chemical imbalance"consider the possibilities of a "living imbalance." Are the expectations for your child's behavior and performance too high or reasonable in all their settings? Is his/her performance all that much worse than the other children? These days to be considered "average" is almost pejorative. A vast group of children perform "below"average without being abnormal. These children may be good at certain tasks and less good at others. A living imbalance can also exist when supports for the child and the family are too low. Have there been more stresses (emotional, educational, financial) on the child or his/her family? Has there been less family time for positive attention or immediate and consistent discipline? Maybe changing classes or teachers, getting extra help from an aide or resource teacher is enough to restore the balance between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support.
If the problems are long standing (say more than three months) consider as a start speaking with your pediatrician or family doctor. He/she should be familiar with your child and should be able to offer initial opinions, advice and direction. Be cautious, however, when after a 15 or 20 minute interview Ritalin is offered. No evaluation that short could possibly address the myriad factors involved in a child's behavior. [하지만 15~20분 정도의 면담만으로 리탈린을 처방하겠다고 하면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렇게 짧은 진단만으로 아이의 행동에 관련된 수많은 요인들을 고려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Ritali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both normal and ADD children so a positive response to Ritalin says nothing about the causes. A quick Ritalin-only approach may mask learning, emotional or relational problems and delay their being addressed.
Remember that there are no definitive biological or psychological tests for ADD. Despite attempts to standardize criteria for ADD it remains a diagnosis very much "in the eye of the beholder." Some people and doctors see ADD in virtually every problem situation; others, including some doctors, don't believe that ADD even exists! If you are referred to or find a professional who specializes in ADD (child psychiatrist, behavioral pediatrician, educational psychologist), ask about the doctor's ideas and beliefs on ADD and Ritalin. Find out how they arrive at their diagnosis, opinions and conclusions. If you're not comfortable with their approach, find someone else. If you're not sure ask other professionals in the area their opinions about the specialist you've picked.
A good ADD evaluation should address all the areas of a potential living imbalance. Both parents should give their versions of the problem to the evaluator. Some doctors prefer to use written symptom questionnaires. They are not a replacement for face to face talking between the parents and evaluator or calling the teacher on the telephone. An interview with your child should include an assessment of his/her emotional status, temperament and learning abilities. Someone should meet the child's entire family one time.
After the possible emotional, family or school problems have been evaluated and are being addressed, there may be a role for a medication intervention. Ritalin or similar drugs have been used safely in children for fifty years. No parent is immediately eager to start medicating their child but they should not feel guilty when after a thorough evaluation and multipartite treatment plan, they decide to try Ritalin for their child.
cf. Running on Ritalin: A Physician Reflects on Children, Society and Performance in a Pill
cf. Beyond Ritalin: Facts About Medication and Other Strategies


자료 4: http://www.sportnest.kr/tag/Nest?page=11#recentComments
지은이: 김흥태 (대진대학교 스포츠과학부 교수)
(... ...) 뉴스위크에 따르면, 운동은 늙은 신경세포 간에 연결된 망을 만들어내며, 뇌 세포에 혈액과 영양을 공급한다. 특히 운동을 할수록 뇌에서 생기는 신경세포 영양인자(BDNF)는 지적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하버드대 정신과 의사 존 래티는 "운동은 집중력과 침착성은 높이고 충동성은 낮춰 (우울증 치료제인) 프로작과 리탈린을 복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운동을 중간에 그만두면 신경세포가 잘 작동하지 않으며, 효과를 유지하려면 지속적으로 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연구에 따라 미국 교육당국은 학생들의 운동 시간을 늘리려 하고 있다. 켄터키주 상원은 8학년(중학교 2학년에 해당)까지 매일 30분씩 운동을 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


자료 5: The Ritalin express
BBC News, 23 October 2008
People are well used to seeing performance enhancing drugs in the world of sport, but now chemical enhancement is spreading to the world of academia as students go to extreme lengths to get the right grades.

EPO. Nandrolone. THG. Ephedrine. Anybody who follows sport will have heard of these performance enhancing drugs, usually accompanied by the word "cheat". Now students are taking the same route, using illicit drugs to gain an advantage over their peers in the exams that will shape their lives. Students have long used plentiful cups of coffee, as well as caffeine in pill form, to stay up revising late into the night. But now some are going a step further and taking "study drugs".

At the top of the list of study drugs are Ritalin, a drug prescribed to children who suffer from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and Modafinil, a narcolepsy drug. If not prescribed, Ritalin is a class B drug in the UK, meaning possession can lead to a five-year prison sentence and dealing could put you behind bars for 14 years. Modafinil is also not available over the counter.

So why are students taking them? Modafinil and Ritalin are drugs that stimulate the brain. They make people feel more awake and alert, and help control the behaviour and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ADHD.

'Pulling all-nighters'

"It helps me stay awake and stimulates my mind," says Linda - not her real name - who graduated from Manchester University in June. The 22-year-old psychology graduate took Modafinil with a group of friends several times while working on her dissertation. She used the drug to help her "pull all-nighters" and said that it allowed her to focus on her work for hours at a time."It's a stimulant, similar to caffeine or Red Bull although I didn't get distracted and feel jumpy like you sometimes do on caffeine. You don't feel wired but I did lose my appetite... I found it dificult to eat afterwards. "It's easy to buy and very cheap," says Linda, who bought the drug online, for, she claims, 40p per tablet.

A recent study published in the Pharmacotherapy journal shows that Linda is not alone. At the US university surveyed, 18% of 1,253 first year students had used non-prescribed stimulants, primarily to help with their studies. Other studies have found similar results.

After a few clicks the drugs can easily be found for sale on the internet at affordable prices. This is the source of the pills used by many UK students, although some say they buy their tablets from friends who are prescribed them. Carson, an 18-year-old high school student, takes Ritalin and Adderall, another drug with similar effects, two or three times a week to help him study and socialise. Studying in Utah, US, he buys the pills for $4 (£2.50) each from a friend at college.

Poor results

"When I take Ritalin, I can stay awake in class, concentrate on the subject matter, and even take notes during class. I have more energy, I am more outgoing, and more sociable," says Carson. Carson began taking Ritalin - one every other school day - after a run of poor exam marks, and says that his grades improved dramatically as a result.

"By the end of the school year I was passing every class I was taking." But Carson's reliance on performance-enhancing drugs has spilled over from his study life to his social life. "I now take it recreationally, to help myself be more outgoing and socially at school. This morning I took two Adderall capsules. Subsequently, I talked with more people than I would have otherwise and I spent about five hours studying mathematics, which is completely out of my nature."

While the drugs are considered simply as another study aid to those who use them, there are hidden and potentially very dangerous health hazards, according to Dr Ros Maycock, a general practitioner in Poole. "[These drugs] put a rush of adrenalin into the blood. Your pulse rate and blood pressure increase and your pupils dilate," she says. "There can be potentially very dangerous physical side effects if you have an underlying cardiac disorder. The effects could lead to a heart attack or similar."

When the drugs are prescribed, a doctor usually carries out checks on a patient's blood pressure and susceptibility to side effects and a careful risk verses benefit calculation is made, says Dr Maycock. But for the students, none of these checks are performed and the taker may not know that they are at risk.

Long term effects

"If you had a hidden aneurysm in your brain, it could blow it apart. People never think that they are the ones at risk."
In the short term, Ritalin users can suffer from an array of side effects - anxiety, insomnia, loss of appetite, irritability and headaches and all common. The long-term effects of the drug are largely unknown. But potential health risks aside, some will feel the use of illegal stimulants gives an unfair advantage in exams and essays.

While caffeinated drinks and other legal stimulants are available to everybody, amphetamines such as Ritalin are not, says Hazel Biggs, professor of medical law at Lancaster University. "If people need the drug, it levels the playing field, but if they do not, it may give people an unfair advantage," she says.

There is very little that universities can do to police the use of these substances, short of performing a drugs test on every student entering the exam hall. Manchester University, where Linda studies, has no policy about the use of such drugs.But did Linda, who got a first for her dissertation, not feel she had been dishonest? No. "I didn't feel like I was cheating. If it was that good, everyone would be doing it," she says. While the practice was not condemned by her university friends, she concedes that her parents probably wouldn't approve. And of course, whatever the rights and wrongs of Ritalin as a "study drug", students are still going to have to do the work and perform in the exams. A good night's sleep might not be a bad idea.

Newsweek, February 06, 2008
Are players using an ADD diagnosis to evade the amphetamine ban?

As Major League Baseball begins to dig out from its steroids scandal, new kinds of performance-enhancing substances are sweeping big-league clubhouses: Ritalin, Adderall and other drugs designed to help with Attention-Deficit Disorder. According to records MLB officials turned over to congressional investigators as part of George Mitchell's probe into steroid use in baseball, the number of players getting "therapeutic use exemptions" from baseball's amphetamines ban jumped in one year from 28 to 103—which means that, suddenly, 7.6 percent of the 1,354 players on major-league rosters had been diagnosed with ADD.

One possible reason for this increase: in 2005 baseball banned the use of "greenies," amphetamines that help players remained focused and energetic through the rigors of a 162-game season. Amphetamines were once as common as deli spreads in big-league clubhouses—in some, greenies were used to spike the coffee. Players are now seeking doctors' prescriptions for ADD medications, usually Ritalin and Adderall, apparently to replace the now-illegal energy boosting drugs. (Ritalin is the trade name for the drug methylphenidate, and Adderall is an amphetamine-dextroamphetamine; they are both considered stimulants.)

Certainly, some of the players getting prescriptions for ADD medications may have a legitimate medical need, says David Goodman, a Johns Hopkins University doctor who has been invited to help Major League baseball develop a new strategy for amphetamines. But he calls the ADD drug spike "troubling," since it inevitably raises suspicion that players have simply found a way to evade the amphetamine ban. No cases of abuse have been reported. Determining which cases might be bogus would require a thorough study of both the prescribing doctors and the thoroughness of their examination process. Baseball commissioner Bud Selig says the league is investigating the ADD diagnoses to determine which ones are legitimate medical problems and which ones might be attempts to evade the amphetamines ban.

Separating the legitimate users from the abusers won't be easy. Estimates of ADD vary widely, from as little as 4 percent among adults to as much as 16 percent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 diagnostician needs to assess a variety of behaviors—some of which may seem like ADD but in fact be other conditions. (The medical establishment often uses the term 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interchangeably with ADD). A diagnosis of ADD requires not only evaluating an adult's behavior and mental state but also looking into the individual's childhood and family background. ADD is a genetic condition that makes its first appearance early in life. The symptoms of other conditions—bipolar disease, anxiety disorder, depression, developmental or learning differences—can make ADD diagnoses tricky and subjective.

Complicating the issue is that sports can both strengthen and undermine a person's mental well-being. The intense physical activity fosters a level of focus and commitment that helps the athlete improve the functioning of the brain. In fact, athletic competition can be the best cure for ADD, says Dr. John J. Ratey, an associate professor of psychiatry at Harvard Medical School and the author of "Spark: The Revolutionary New Science of Exercise and the Brain." Ratey has treated athletes who suddenly displayed the symptoms of ADD after injuries sidelined them. He prescribed medications during the down time, then weaned the athlete once he got back into action.
(... ... continued on the source link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