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정보)
제목 : 생각의 지도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 원제 : The Geography of Thought
- 부제 :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and Why
저자 : 리처드 니스벳 (Richard E. Nisbett)
- 사회심리학자
- 미시간대학교 심리학과 시어도어 뉴컴(Theodore M. Newcomb) 석좌 교수로 재직 중
역자 : 최인철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재직
- E-mail : ichoi@snu.ac.kr
- 출판사 : 김영사
출판일자
- 원서는 2003년 출간
- 번역본은 2004년 4월 1일 1판 1쇄 발간
5장. 동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동양과 명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서양
범주를 중시하는 서양과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
- 서양인은 동양인에 비해 사물을 범주화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규칙을 사용하여 새로운 범주를 만드는 일을 더 쉽게 배움
- 서양인은 범주를 이용한 귀납적 추리를 더 많이 사용
-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사물들 간의 관계나 (표면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세상을 조직함
사물을 먼저 배우는 서양 아이들과 관계를 먼저 배우는 동양 아이들
- 범주는 명사에 의해 표현됨 ('곰'을 배우기 위해서는 커다란 몸집, 이빨과 발톱, 긴 털, 사나운 모습과 같은 특성과 명칭을 결합)
- 관계는 동사에 의해 표현됨 (무엇을 던지다는 손과 팔을 이용하여 어떤 사물을 새로운 장소로 옮긴다 라는 의미가 있음)
- 동사는 유동적이고, 명사는 고정적이므로 아이들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빨리 습득함
그러나 동양 어린이들은 명사와 동사를 거의 같은 속도로 학습하며, 동사를 더 빨리 습득하는 경우도 있음
- 동사의 위치가 주목 받는 위치(처음이나 마지막)에 존재
- 사물의 이름보다 관계를 중시함 (자, 여기봐!, 부릉부릉, 자 차를 너에게 줄게, 다시 엄마에게 줘봐. 옳지, 잘했어!)
-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고 범주화하는 서양인의 특성상, 서양 어린이들이 명사를 쉽게 습득함
- 영어에서는 속명(generic noun, 범주 자체에 대한 이름)을 문장 구조상 구별할 수 있지만, 동양에서는 맥락을 통해서만 구분 가능함
- 동양의 어린이들이 서양에 비해 범주화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기가 늦음
문화적 차이는 순전히 언어의 차이에 기인하는가?
- 영어에서는 문장 구조를 통해 명사가 범주를 의미하는지, 특정 개체를 의미하는지 구분할 수 있지만 중국어는 그렇지 않음
- 부모들이 언어를 가르칠 때 탈맥락적으로 가르침 : 대상에 초점을 맞추므로 주어에 집착하고(It rains), 행위자 중심적임(He dropped it)
- 동양의 언어는 주제 중심적 (이곳은 스키 타기에 좋다)
언어 상대성 가설 (에드워드 사피어Edward Sapir, 벤저민 워프Benjamin Whorf)
- 언어 구조 상의 차이가 사고 과정의 차이를 낳음
- 문화의 효과도 존재하지만, 언어의 효과도 무시할 수 없음
- 동양인들은 세상을 관계로 파악하고, 서양인들은 범주로 묶일 수 있는 사물로 파악하며 아이들 역시 이렇게 양육됨. 덧붙여 언어의 문화적 차이 또한 일정 영향을 끼침
댓글 없음:
댓글 쓰기